벤츠코리아 디젤 요소수 조작 모르쇠..한국만 호구?

[테크]by 이데일리
벤츠코리아 디젤 요소수 조작 모르쇠.

2015년 9월 미국발 폴크스바겐 디젤게이트가 터지기 전만 해도 한국 소비자들은 수입 디젤 승용차에 대한 무한한 사랑을 해왔다.


클린 디젤을 외치던 폴크스바겐의 디젤게이트에 이어 지난해 BMW 디젤차 화재 사고까지 이어지면서 디젤 엔진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때를 맞춰 미세먼지까지 심각해지면서 디젤차에 대한 관심이 줄고 있는 게 사실이다. 한국에서는 약 13만 대의 폭크스바겐-아우디 계열사(포르쉐 포함) 디젤 자동차의 리콜이 진행됐다. 아울러 허위로 인증을 진행한 일부 브랜드까지 폭로되면서 차량 인증이 취소 되고 판매가 중단됐었다. 폴크스바겐 역시 디젤게이트로 부도덕한 회사로 낙인이 찍히고 환경파괴에 주범이라는 오명까지 뒤집어썼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 1000만대에 달하는 디젤 승용차가 리콜 또는 보상을 받는 등 자동차 역사에 전후무후한 기록을 세웠다.


그렇다면 폴크스바겐 및 아우디 회장을 구속시키고 10조원에 달하는 천문학적 벌금을 내면서 세상을 떠들석하게 한 디젤게이트는 끝이 난 것일까. 아니면 꼬리를 물고 새로운 형국으로 전이하는 것일까. 3년 반이 지난 현재까지도 그 후폭풍은 현재 진행형이다.지난해 6월 독일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 및 아우디 디젤게이트가 새롭게 등장했다. 벤츠 C클래스, 아우디 A6 등 주요 디젤 모델에 배출가스를 줄이는 불법 소프트 웨어를 내장한 것으로 확인되면서다. 주요 내용은 신차 배기가스 인증을 받을 때는 미세먼지의 주범인 질소산화물을 줄여주는 요소수를 제대로 분사하고 일반 도로 주행에서는 요소수를 소량만 분사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유럽 전역에서 77만 4000대의 리콜이 진행됐다. 아울러 벤츠, 아우디는 각각 10억 유로(1조3천억원) 내외의 벌금을 무는 것으로 알려진다.

벤츠코리아 디젤 요소수 조작 모르쇠.

문제가 된 디젤 엔진을 단 모델은 한국에서도 폭발적인 인기 속에 수 만대가 판매됐다. 환경부는 이런 내용을 인지하고 지난해 6월 조사에 착수했다.문제는 작년 12월로 예정된 조사 결과 발표가 소리소문 없이 연기됐다는 점이다. 2개월이 더 지났는데도 어떤 내용도 나오지 않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요소수 조작 건과 별개로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메르세데스-벤츠 최고급 세단 S350d에 대한 대대적인 리콜을 발표했다.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제작차 배출 허용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부적합 판정을 받은 S350d 5222대에 대한 리콜을 명령했다. 대상 차량은 2013년~2015년에 제작된 S클래스 디젤 엔진을 단 모델이다. 2억원에 육박하는 S클래스 디젤 모델이 한국의 초미세먼지 발생에 지대한 공(?)을 세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2016년부터 수입차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며 매년 30%가 넘는 급성장을 하고 있다. S클래스 디젤 모델은 한국이 세계 판매 1,2위를 석권할 정도로 기세가 대단하다. 벤츠코리아의 디젤 판매 비중은 2017년만해도 70%를 넘어섰다.

요소수 파문 무엇?

벤츠코리아 디젤 요소수 조작 모르쇠.

최근 온 국민이 미세먼지로 고통받고 있는 가운데 주요 관계부처인 환경부가 이처럼 디젤차 인증을 허술히 진행하고 뒤늦게 리콜로 대응한다는 것은 비난을 면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그렇다면 벤츠 디젤 요소수 파문이 발생된 이유와 환경부의 결과발표가 늦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아우디 차종은 경유차 질소산화물저감장치인 선택적환원촉매(SCR)의 요소수 분사와 관련, 요소수 탱크에 남은 양이 적을 때 일부 주행조건에서 분사량을 줄이는 소프트웨어를 장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상대적으로 확인이 쉽고 리콜을 통해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벤츠 디젤은 상황이 조금 다르다. SCR 촉매용 요소수를 일반 주행에서는 제대로 뿜어주지 않는 별도의 SW를 장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벤츠와 아우디는 불법인줄 알면서도 왜 이런 선택을 하게 된 것일까?

벤츠코리아 디젤 요소수 조작 모르쇠.

먼저 요소수의 역할을 알면 이해가 쉽다. 배출가스의 질소산화물에 요소수를 분사하면 질소와 물로 바꿔 유해 물질을 제거시킨다. 요소수를 이처럼 정상적으로 분사시키면 요소수 탱크 용량이 커야 하고 연료 소모량도 많아져 연비가 나빠진다. 결국 벤츠는 질소산화물 농도를 줄이는 소프트웨어를 인증 실험실 조건에서만 작동시키도록 조작한 것이다. 실제 주행에서 요소수를 제대로 작동되지 않도록 조작, 연비는 지키고 클린 이미지를 챙겼다는 점이다.


환경부 조사 절차는 이렇다. 우선 평택항 내 인증을 위해 대기 중인 신차 중 차종별 1대의 차량을 임의선정하여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로 입고한다. 이후 실내 및 실외 주행모드를 비롯한 다양한 운전조건에서의 오염물질 배출과 선택적환원촉매(SCR) 제어로직 등을 검증한다. 또 소프트웨어 검증이 완료된 차종은 해당 업체로부터 문제된 제어로직을 적용한 기술적 사유 및 타당성 등에 대한 관련 서류를 받는 해명 절차를 거친다. 환경부는 이런 기간으로 4개월을 예상했지만 길어지고 있다. 이 배경에는 디젤 게이트와 미세먼지 파문, BMW 디젤 화재사태로 인해 나빠진 여론을 의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환경부 벤츠 요소수 조작 조사 발표, 왜 더딘가?

벤츠코리아 디젤 요소수 조작 모르쇠.

환경부는 조사 지연 이유로 “요소수 조작 여부 검사 자체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데다 타 제작사의 배출가스 조작 여부 검사 일정마저 영향을 미쳤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원래대로라면 12월 말까지였지만, 요소수 부분 임의설정 여부는 규명 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같은 시기에 피아트가 배출가스 임의설정 판단을 받으면서 아우디·벤츠 조사 일정이 뒤로 밀렸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속사정은 조금 다른 듯 하다. 익명을 요구한 환경부 관계자는 “아우디코리아는 관련 서류 제출 등에 협조적인데 비해 벤츠코리아는 서류 제출 등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해 조사가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수입차 업계 고위 관계자는 “드미트리 실라키스 벤츠코리아 사장이 주한유럽상공회의소 회장을 겸임하면서 이번 요소수 조작 사건을 한국 정부의 '독일차 때리기' 라는 부정적 시각으로 몰고 간다”며 “벤츠 이외의 수입차 업체들은 환경부 조사에 협조적인데 비해 압도적 판매 1위인 벤츠만 유독 각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요소수 조작 디젤차 국내에서 몇 대나 팔렸나?

벤츠코리아 디젤 요소수 조작 모르쇠.

독일 정부가 요소수 분사 로직을 조작한 불법 소프트웨어를 의심해 리콜 대상으로 발표한 차량은 아우디 3.0리터 A6, A7 차종, 벤츠 1.6리터 비토 차종과 2.2리터 C220 d 및 GLC220 d 차종이다. 이 차종에 달린 엔진은 국내에서도 판매됐다. 아우디의 경우 A6 40 TDI quattro, A6 50 TDI quattro, A7 50 TDI quattro 등 3개 차종 6천 6백여 대다. 벤츠의 경우 C200 d ,C220 d 및 GLC220 d 차종 등 2만 8천여 대에 달한다.


환경부는 이번 요소수 분사량 조작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대기환경보전법 위반에 따라 인증취소, 리콜, 과징금 처분, 형사고발 등 관련 행정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또한 임의설정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독일에서 내려진 리콜과 동일한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폴크스바겐 디젤게이트 2차전으로 접어드는 요소수 파문. 결국 클린 디젤(아우디), 블루 이피션시(벤츠 디젤)는 모두 독일발 사기로 판명됐다는 점이다. 2월말까지 일주일째 계속되는 뿌우연 한국의 미세먼지를 보면서 말이다.


[이데일리 오토in] 카가이 박성민 기자

2019.03.11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