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세포 잠재우는 가바 줄여 파킨슨병 치료한다

[테크]by 파이낸셜뉴스

IBS 연구진 "도파민 신경세포 잠들면 파킨슨병 유발"

파이낸셜뉴스

파킨슨병. 게티이미지 제공

파킨슨병은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나이가 들수록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 우리 뇌 속에는 운동에 꼭 필요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있다. 기존에는 중뇌에서 도파민 생성 기능을 하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죽으면 각종 운동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파킨슨병에 걸린다고 생각했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이론을 뒤집고 도파민 신경세포가 죽지 않고 잠들어도 파킨슨병이 유발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현재 파킨슨병 치료는 레보도파를 이용해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하는 방법이 우선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없는 방법이며 장기간 레보도파를 복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파킨슨병 초기에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도파민 생성 기능을 멈춘 상태이지만 아직 사멸하지 않고 살아있다. 연구팀은 이 때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재우는 '가바(GABA)'의 양을 줄이면 파킨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인지 교세포과학 그룹 이창준 연구단장 연구팀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서울아산병원과 공동으로 이러한 사실을 새롭게 규명한 연구성과를 10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온라인에 실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반응성 별세포에서 분비된 과도한 가바가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들게 해 파킨슨병을 유발시킴을 밝혔다.


이창준 단장은 "별세포 연구로 기존 파킨슨병 이론을 뒤집어, 파킨슨병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파이낸셜뉴스

중뇌 흑질의 별세포 반응성이 커지면 마오비에 의해 가바 생성이 활발해진다. 과도한 가바가 도파민 신경세포를 억제하면, 도파민 신경세포 내의 도파민 생성효소인 TH(티로신 수산화효소)가 사라진다. 이후 도파민 부족으로 파킨슨병 운동증상이 나타난다.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별세포는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다. 별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해 주변 신경세포에 여러 영향을 미치는 상태일때 반응성 별세포라고 한다. 이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중풍 등 뇌질환에서 주로 나타난다. 반응성 별세포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를 과도하게 분비한다. '도파민 신경세포 잠들었다'는 가바에 의해 억제돼 도파민 생성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연구팀은 도파민 부족으로 운동기능에 이상이 생긴 파킨슨병 쥐를 준비한 후, 마오비(MAO-B) 억제제를 투여해 반응성 별세포의 과도한 가바 분비를 막는 실험을 진행했다. 가바의 양이 줄자 도파민 신경세포가 잠들지 않게 됐고 도파민 생성이 원활, 운동기능 이상 증세가 완화됐다.


추가적으로 연구팀은 쥐의 도파민 신경세포를 빛으로 자극하는 광유전학적 실험을 진행했다. 빛자극으로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들게 하거나 깨운 후, 그에 따른 걸음수 변화를 관찰했다. 정상 쥐의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들게 하면 걸음수가 줄어들고, 파킨슨병 쥐의 도파민 신경세포를 깨우면 걸음수가 늘어났다. 도파민 신경세포가 잠들어 있을수록 걸음수가 줄어들고 파킨슨병 증상을 보임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파킨슨병 동물모델에서의 전임상 실험을 통한 효능 평가와 독성 시험을 완료해 치료제 개발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뉴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인지 교세포과학 그룹.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김만기 기자 monarch@fnnews.com

2020.01.15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Copyright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