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일·안성기·최은희·전도연·강수연…우리 시대의 아이콘, 이들뿐이랴

[컬처]by 한겨레

[한겨레-CJ문화재단 공동기획]


한국영화 100년 빛과 그림자 ③ 우리의 별들


‘다작 스타’ 김진규 ‘카리스마’ 신영균


근대화 혼란 흑백 필름으로 위로


‘만년 청년’ 신성일 524번 출연하며


시대의 면면 작품으로 담아


한겨레
한겨레

영화의 꽃이 배우임은 물론이다. 한국영화 100주년을 빛낸 남녀 배우는 셀 수 없이 많다. 한국영화 100년의 자화상으로 ‘시대의 얼굴을 담은 배우들’ 15인을 꼽아봤다.


김승호(1918~1968)는 춘사 나운규와는 또 다른 차원에서 한국 영화사의 절대적·전설적 배우요 스타 연기자였다. 국회의원, 교수, 사장, 사기꾼, 샐러리맨 등 다채로운 배역을 소화해 냈건만, 우리들의 영원한 아버지로 기억되고 있는 ‘로맨스 빠빠’! 강대진 감독의 <마부>(1961)는 그 이미지를 결정적으로 형상화한 걸작. 전후 급격한 근대화 과정에서 흔들리는 시대의 서민적 아버지상을 절절하게 구현했다.


김진규(1922~1998)는 ‘다작 스타’였으면서도 ‘지적’이었고, 진중한 이미지에 부드럽고 섬세했으며, 우수 어린 푸근함과 비애감까지 두루 겸비한 입체적·복합적 배우였다. <하녀>(김기영·1960), <오발탄>(유현목·1961),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신상옥·1961) 등 최강 걸작들의 주연을 싹쓸이했다. 이만희 감독의 유작 <삼포 가는 길>(1975)의 정씨는 무일푼이면서도 포용·배려·나눔의 서민적인, 우리 시대의 중년으로 내 심상에 굳건히 자리하고 있다.


신영균(1928~ )은 단언컨대 “한국영화의 남성 아이콘”이다. “그 누구보다 개성적인 육체성과 호소력 있는 스타 페르소나를 통해서 급격한 근대화 과정에서 대중들이 겪었던 혼란과 모순을 대리 표출하고 또 위로했다.”(주유신 영산대 교수) 특히 <연산군>(신상옥·1961)의 폭군 연산은 내 인생의 ‘카리스마’로 각인돼 있다.


신성일(1937~2018)은? 비교 불가의 대한민국 대표 스타 아이콘! 출연 영화 524편의 다작을 ‘자랑’(?)하면서도 소모되지 않고 스타성과 동시에 생명력까지 견지했던 불가사의한 ‘영화 청년’. 80대의 나이로 고인이 될 때까지 그와 함께 머물렀던 이미지는 대한민국 ‘청춘 영화’의 대명사 <맨발의 청춘>(김기덕·1964)의 두수였다.


생명력에서 이 배우를 따를 이 있을까? 이장호의 <바람 불어 좋은 날>(1980)에서 이명세의 <개그맨>(1989)에 이르기까지, 1980년대 한국영화의 페르소나였던 안성기(1952~ ). 박중훈과 환상적 ‘케미’를 이뤘던 <칠수와 만수>(박광수·1988), <투캅스>(강우석·1993), <라디오 스타>(이준익·2006) 등은 어떻고? 그가 없다면 우리 영화계는 얼마나 쓸쓸할까.


1990년대 한국영화를 빛낸 한석규(1964∼ )는 어떤가. <초록 물고기>(이창동·1997)의 막동, <접속>(장윤현·1997)의 동현, <8월의 크리스마스>(허진호·1998)의 정원이 없는 한국 영화사는 상상조차 할 수 없다.


송강호(1967∼ )는 천의무봉의 배우. <반칙왕>(김지운·2000) 이후 <기생충>(봉준호·2019)에 이르기까지 20년 가까이 한국 영화계를 지켜오고 있다. 최민식, 설경구, 황정민 등 걸출한 동료와 선후배 배우들이 동시대를 함께 빛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대표작을 특정하기 불가능한 ‘우리 시대 최고 배우’임에 이견을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병헌(1970∼ )은 ‘국제성’을 겸비한 국내 유일의 월드스타-연기자다. 김진규의 지적 풍모, 신영균의 남성다운 육체성, 신성일·최무룡의 아이콘적 외모, 안성기의 육중한 연기력, 장동휘-박노식-허장강 등의 액션 파워까지 두루 겸비. <달콤한 인생>(김지운·2005)의 선우로 그가 보여준 클로즈업은 내 삶의 영화 클로즈업이다.


‘최고 여우’ 최은희 ‘70년대 디바’ 김지미

신·구 트로이카 이끈 문희·장미희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강수연·전도연

국제성 겸비한 ‘월드 스타’ 되기도


이제 여자 배우들로 넘어가보자. 황정순(1925~2014). 김승호의 ‘엄마 버전’. “1960년대 변화하는 시대를 따뜻한 모정을 자아내는 연기를 도맡으며 한국적 어머니상을 대표”(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했던 연기자다. 김희갑과 함께 소화해낸 ‘팔도강산 시리즈’의 어머니상은 내 뇌리를 떠난 적이 없다.


한국 영화사 최고 여배우 최은희(1926~2018). 1950~70년대 한국 영화계의 여성 아이콘. 사실 그녀의 삶 자체가 한 편의 드라마였다. “그녀는 부드러움만 간직한 배우가 아니다. 그녀의 부드러움 너머에는 꿈틀거리는 강함이 있다… 그녀는 내부에 불씨를 간직한 휴화산과 같은 배우였다.”(다음 ‘근현대 영화인 사전’)


아는가? ‘동양의 엘리자베스 테일러’였던 여배우를? 김지미(1940~ ). 불세출의 미모와 여장부 같은 강인한 캐릭터를 토대로 한국영화의 1960~70년대를 풍미했던 디바. 지미필름을 설립(1987년)해 제작자로도 활동했는데, 임권택의 <티켓>(1986)도 그중 한 편이다. 그 걸작의 ‘인간적 포주’ 지숙은 주연 아닌 조연이었으나, 김지미의 현현이었다.


누군가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여배우 한 명만 대라면, 예나 지금이나 그 이름은 문희(1947~ )다. 신성일과 호흡을 맞춘 <초우>(정진우·1966)를 통해 스타덤에 오른 뒤, 결혼과 더불어 은퇴할 때까지 고작 6년 동안 무려 500여편의 작품에 출연했다. 윤정희, 남정임과 함께 여배우 트로이카 시대를 이끌었다.


장미희(1958~ ). 정윤희, 유지인과 함께 1970년대 여성 배우 ‘신트로이카’를 형성했던 톱스타. 배창호의 <적도의 꽃>(1983), <깊고 푸른 밤>(1985) 등 주연작의 수준에서 두 스타를 압도한다. <겨울여자>(김호선·1977)의 이화는 <별들의 고향>(이장호·1974)의 경아와 나란히 한국 영화사의 기념비적 캐릭터였다.


강수연(1966~ )은 베네치아(베니스)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작 <씨받이>(임권택·1987) 등으로 일찌감치 “월드 스타”로서의 인기를 구가했던 한국 대표 여배우다. 혹 그녀의 파란만장한 삶은 <처녀들의 저녁식사>(임상수·1998)의 당찬 호정 그 자체가 아니었을까. 더 이상 부연설명이 필요 없을 21세기 대한민국 최고 여배우 전도연(1973~ ). <접속>부터 최근작 <생일>(이종언·2019)에 이르는 모든 영화가 대표작이다. 그중 그녀를 2007년 ‘칸의 여왕’에 오르게 한 <밀양>(이창동)의 신애가 더 애잔한 것은 나만은 아닐 터.


전찬일/영화평론가·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한겨레 LIVE 시작합니다 ]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9.06.16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