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 어린이를 입양한 이유

[컬처]by 한겨레

‘해외 입양의 한국적 기원’ 탐구


한-미의 입양체계 세계로 확산


미국사회 입양 동기 분석 눈길


한겨레

왜 그 아이들은 한국을 떠나지 않을 수 없었나

-해외 입양의 숨겨진 역사

아리사 H. 오 지음, 이은진 옮김/뿌리의집·1만9000원


한국전쟁 직후부터 현재까지 20만명의 한국 어린이가 다른 나라들에 입양됐다. 그 가운데 11만명이 넘는 어린이가 미국으로 향했다. 1995년까지 한국은 미국에 어린이를 가장 많이 입양 보내는 나라였다. (이후 중국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한국 어린이가 미국에 입양된 어린이의 대다수를 이룬다. 아리사 H. 오(오현정) 미국 보스턴 칼리지 역사학과 부교수가 쓴 <왜 그 아이들은 한국을 떠나지 않을 수 없었나>는 한국과 미국 사회의 어떤 힘과 압력들, 그리고 국제 정치적 배경이 ‘세계 1위 어린이 수출국’을 만들었는지 역사적으로 살피면서 “국제 입양의 한국적 기원”을 탐구한다. 입양이 한국과 미국 사회에 미친 영향도 고찰한다.

한겨레

지은이가 ‘한국적 기원’을 연구하는 까닭은 한국전쟁 이후 한국에 자리잡은 ‘해외 입양 복합체’(입양기관·입양절차·입양기준·관련 법률·운송방법 등)가 1970년대 베트남과 중남미, 80년대 인도, 90년대 루마니아·러시아·중국으로 퍼졌다고 보기 때문이다. 한국과 미국이 합작해 구축한 국가간 입양 관행과 체계가 확산되면서 오늘날 수십억달러 규모의 세계적 산업이 탄생했다는 것이다.


한국전쟁과 그 직후 한국 어린이의 처지는 “미국인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비참한 어린이들을 “구출”해야 했다. “<라이프> 등 대중잡지에 실린 어린이 사진과 기사들이 미국인의 동정심을 자극해 기부금을 쏟아내게 했다.” 미군도 많은 지원을 했고, 부대에 ‘마스코트’(군부대에 ‘입양’된 소년)를 두는 관행도 있었다. 미군이 마스코트를 입양한 게 첫 입양 사례였다.


한국의 고아들은 ‘순수’ 한국 아동, 그리고 ‘지아이(GI) 베이비’(미군 병사와 현지 여성 사이에 태어난 아이)인 혼혈 아동으로 나뉘었다. 한국 사회는 지아이 베이비에게 “매춘부의 자식이라는 낙인을 찍었고, 단일민족의 순수성을 위협한다”고 봤다. 혼혈 아동은 법적·사회적으로 설 자리가 없었다. “미군에게서 태어난 혼혈 아동을 치울 목적으로 해외 입양이 시작됐다.” 미국인들은 자국 군인의 자녀인 이 아이들을 입양하기를 원했다. 한국 정부와 단체들은 국가간 입양제도를 만들 방법을 궁리했다. 미국에서는 신앙심과 애국심이 섞인 ‘기독교적 미국주의’가 한국 어린이 입양 운동을 부추겼다고 저자는 밝힌다. “한국 아동 입양 이야기는 어떻게 냉전의 국제 정치가 가장 심오한 방식으로 국내 문제이자 집안 문제가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해리 홀트(1905~1964)가 이 운동을 상징했다. “홀트는 한국계 지아이 베이비 입양을 선교활동으로 여겼고, 나아가 미국인으로서 인종에 대한 조국의 관대함을 증명하고 세계 곳곳에서 신생 독립국의 충성을 얻는 조국의 냉전 활동에 참여하는 길이라 생각했다.” 홀트는 입양에 ‘혁신’을 가져왔다. 하나는 양부모가 한국에 오지 않아도 되는 ‘대리 입양’이었고, 또 하나는 전세기를 이용한 대규모 수송이었다. 입양 과정은 빨라졌고, 비용도 절감됐다. “어떤 의미에서 홀트는 해외 입양 산업의 아버지라 할 수 있다.”

한겨레

한국에서 해외 입양은 ‘순수’ 한국 어린이를 외국으로 내보내 빈곤과 유기 아동, 미혼모 자녀 등 허술한 사회복지 문제를 해소하는 수단이 됐다. 많은 어린이들이 부모가 있는데도 “고아로 둔갑돼” 미국으로 보내졌다. 외화(달러)를 버는 정부 사업이기도 했다. 입양된 한국 어린이는 미국 사회에 도전이었다. “‘한국 아동이 무엇을 상징하는가’라는 질문의 답은 미국인이 인종, 국민, 시민권, 가족을 정의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이 책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대목들이 한국 어린이를 입양한 미국 사회의 동기, 입양된 한국 어린이가 미국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한 설명이다. 한국은 혼혈 아동과 미혼모 자녀를 해외로 보내면서 가부장적 민족주의를 강화시켰지만, 미국에서는 한국 어린이가 인종·가족 담론을 더 포용적인 방향으로 이끌었다.

한겨레

저자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현재에도 진행 중인 해외 입양은 한국인들에게 ‘한국인이란 어떤 의미인지’ ‘어떤 사람을 한국인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왜 중요한지’ 생각해보게 한다”며 “이런 질문을 던지는 촉매제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받아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영상 그 이상 ‘영상+’]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9.06.12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Copyright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