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면 쓰레기, 나누면 매주 50만 명의 끼니”

[컬처]by 중앙일보

다큐 ‘푸드 파이터’ 주인공 로니 칸

2004년 호주서 음식 구조단체 시작

사업 그만두고 사회 운동가 변신

“흠집있는 과일도 훌륭한 식재료”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04년 호주에서 이벤트 회사를 운영 중이던 로니 칸(67)은 어느날 호화 연회 후 무더기로 버려지는 음식물을 보며 ‘이건 아닌데’ 싶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먹을 만큼 충분한 식량이 생산되는데 그 중 3분의 1 이 버려지고 7억9500만 명이 날마다 굶주림에 시달린다니. 이걸 바로 잡을 수 없을까.”


동거하는 남자에게 이런 생각을 말하자 남자는 “나는 자선사업 따윈 안 믿어”라고 했다. ‘내 삶이 잘못됐구나. 겉으론 돈을 벌었지만 공허함 뿐이구나.’ 칸은 남자와 헤어지고 인생 후반의 목표를 세웠다. “세상 어디서도 멀쩡한 음식이 버려지는 일이 없게 전력을 다하자.”


그때부터 수퍼마켓·음식업체 등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받아 굶주리는 이들에게 전달하는 일을 시작했다. ‘남는 음식’이란 유통기한은 지났지만 먹는 데 지장 없단 의미다. ‘수확한다’(harvest)는 의미에서 작명한 먹거리 구조단체 ‘오즈 하베스트’는 첫 달 4000인분을 굶주린 이들에게 전달했다. 5년 만에 보다폰 재단의 후원 프로그램으로 결정됐는데 조건이 ‘전업 운동가여야 할 것’이었다. “지금 아니면 영영 못하겠지 싶어 내 사업을 접었죠.”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5년이 지난 현재 오즈 하베스트는 호주에서만 기부처 3700곳과 협약을 맺고 자선기관 1300곳을 후원하며 매년 2500만 끼를 제공하고 있다. 매주 50만인분이다. 뉴질랜드와 영국, 그리고 자신이 출생한 남아공에도 각국 하베스트를 만들어냈으며 푸드 도네이션을 넘어 사회 교육 프로그램도 실시 중이다.


그의 이같은 삶과 운동을 그린 다큐 ‘푸드 파이터: 먹거리를 구하라’(감독 댄 골드버그)가 오는 6일 개막하는 제5회 서울국제음식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된다. 칸 대표도 개막식 참석을 위해 주한 호주대사관 초청으로 첫 내한한다. 각국의 다양한 음식문화를 소개하며 ‘인생의 맛’을 음미해 온 영화제에서 이례적인 선택이다. 그만큼 지속가능한 음식 문화가 우리 삶의 화두가 됐단 얘기다.


내한에 앞서 본지와 e메일 인터뷰를 통해 칸 대표는 “사람들은 ‘난 음식을 낭비하지 않아’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우리 조부모 세대에선 멍들거나 괴상하게 생겼다고 식재료를 외면하거나 버리진 않았다. 그런데 우리는 매일 그러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큐 첫 장면이 이를 뒷받침한다. 칸과 자원봉사자들이 대형마트 쓰레기통을 열었을 때 멀쩡한 샌드위치와 포장도 뜯지 않은 채소·과일 꾸러미가 나온다. 산지에선 약간의 흠집만 있어도 상품성이 없다며 멀쩡한 과일·작물을 폐기한다. 이렇게 버려지는 먹거리 규모가 호주에서만 연간 400만t, 연 200억 호주달러(약 16조2800억원)에 이른다. 한국은 더하다. 환경부에 따르면 연간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총량은 약 550만t. 8800억 원의 처리비용을 포함해 22조원 이상의 경제 손실이 발생한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사는 쇼핑백 다섯 개 중 하나 분량은 그대로 쓰레기통으로 가죠. 그런데도 호주 인구 2500만 명 가운데 200만 명은 식료품 구입비 부족에 시달려요. 그뿐인가요. 만약 음식물 쓰레기가 국가라면 중국·미국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많은 메탄가스를 배출하는 주범입니다.”


2년 넘게 4대륙을 넘나들며 촬영한 다큐멘터리는 끊임없이 먹거리 문제를 제기하고 협력단체를 늘려가는 할머니 여전사를 담았다. 영국 찰스 왕세자의 부인 카밀라 파커볼스의 후원을 이끌고 유명 셰프 제이미 올리버와 대규모의 CEO 요리 이벤트를 성공리에 해냈다.


호주 정부와 협조 속에 2030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50% 줄인다는 정책 목표도 세웠다. 음식물 기부를 원활히 하기 위해 2005년엔 관련 법 개정도 이끌어냈다. 남는 식재료를 기부하는 측에서 이로 인한 과실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내용이다. 대신 책임은 온전히 수거하는 측이 지게 된다. 칸 대표는 “엄격한 관리를 통해 아직까지 아무런 위생·안전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그런데도 (우리 파트너인) 콴타스 항공은 남는 요거트를 주지 않고 폐기한다. 이를 설득해 받아내는 게 요즘 과제”라고 말했다.


일흔을 바라보는데도 매일 빽빽한 스케줄을 소화하는 비결을 묻자 “먼저 내가 무엇으로 인해 행복한지 찾고 그걸 위한 일을 늘려가라. 또 주변에 열정적인 사람을 둬라. 열정은 사람을 감화시킨다”고 말했다. 다큐에선 이렇게 고백한다.


“처음 시작할 때만 해도 몰랐다. 이 여정이 어디로 나를 이끄는지. 하지만 중독성이 있다. 변화를 만들어내는 걸 확인하니까. 바꿀 수 있는 길은 하나뿐이고 한 번에 한 사람씩 바꾸면 된다.”



11일까지 엿새 동안 서울남산국악당과 대한극장에서 열리는 서울국제음식영화제에선 각국의 음식과 문화를 그리는 29개국 67편의 영화를 만날 수 있다. 특히 한국영화 100주년을 맞아 마련한 특별전 ‘영화로 만나는 한국사회와 음식문화’에선 신상옥 감독의 ‘쌀’(1963)과 박철수 감독의 ‘삼공일 삼공이 301, 302’(1995) 같은 작품도 만날 수 있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2.08.06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