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유럽 증시 33년만 최악의 날…'경제 팬데믹' 막을 카드 없다

[이슈]by 중앙일보

미국 주요 주가지수 10% 동반 급락

1987년 검은 월요일 이후 최대 낙폭

트럼프 유럽 입국 제한 조치, 시장 충격 키워

유럽 증시도 10% 넘나드는 하락세 기록


지난 9일(현지시간) ‘검은 월요일’은 시작에 불과했다. 12일 미국과 유럽 증시가 주가지수 하락률이 10%를 넘나드는 대폭락 장세로 동시에 빠져들었다.


세계 금융시장을 덮친 충격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을 이미 넘어섰다. 주가 하락 폭으로는 검은 월요일이란 용어의 시초가 됐던 1987년 이후 최대였다. 세계 증시의 역사가 이날 다시 쓰였다. 33년 만에 닥친 최악의 하루였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미국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하루 전보다 2352.60포인트(-9.99%) 급락한 2만1200.62로 마감했다. 단 하루 만에 다우지수는 2만3000대에서 2만1000대로 수직 하강했다. 10% 가까이 하락하면서 2만 선 붕괴를 바로 눈앞에 뒀다.


나스닥종합지수도 750.25포인트(-9.43%) 추락하며 7201.80으로 내려앉았다. 9000선이 무너진 지 불과 6일(거래일 기준) 만에 7000선을 지키기도 버거운 상황이 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260.74포인트(-9.51%) 하락한 2480.64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 증시가 개장하자마자 S&P 500지수가 폭락하며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이 지수 하락 폭이 7%를 넘어가면서 시장 충격 완화를 위해 뉴욕 증시 전체의 주식 거래가 15분간 일시 중단됐다.


9일에 이어 사흘 만에 서킷 브레이커가 다시 작동했다. 하지만 이런 조치에도 주가지수 하락세는 멈추지 않았다. 시장 충격에 놀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날 이례적으로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대규모 유동성 공급 계획을 밝혔지만 주식시장 공포 심리를 진정시키기는커녕 불안만 키웠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러 악재가 동시에 터져 나오면서 Fed 대응은 효과를 내지 못했다.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번지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두고 11일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공식 인정했다.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촉발한 유가 전쟁은 아랍에미리트(UAE)의 참전으로 인해 확전 양상으로 치닫는 중이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 여행객 입국 30일간 제한 조치를 코로나19 대책이라며 들고나오면서 ‘검은 목요일’ 발발의 방아쇠를 당겼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유럽 입국 제한 조치가 코로나19 확산으로 흔들리던 금융시장을 더 큰 불안으로 몰아넣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코로나19 대유행과 지금의 경제 혼란을 제어할 만한 능력이 사실상 없다는 판단에 시장은 투매 양상으로 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방송 CNN은 “그동안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규제 완화와 세금 감면에 환호해왔다”며 “하지만 이제 월스트리트(미국 증권가)와 트럼프 대통령의 우호적 관계는 공식적으로 끝이 났다”고 지적했다.


앞서 유럽 증시도 33년 만에 최악의 목요일을 보냈다. 이날 유로스톡스 50지수는 전일 대비 360.33포인트(-12.40%) 하락한 2545.23으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12.24%), 영국(-10.87%), 이탈리아(-16.92%), 프랑스(-12.28%) 등 유럽 주요 증시 모두 10% 넘는 낙폭을 기록했다. 역시 87년 10월 이후 최대 낙폭이다.


유럽 증시 동반 급락에 놀란 유럽중앙은행(ECB)이 이날 정례 통화정책회의에서 시장에 돈을 쏟아붓는 대규모 유동성 공급에 나서겠다고 발표했지만 약효는 없었다. 시장의 불안을 가라앉힐 만한 효과를 내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이날 0%인 기준금리를 낮춰 ‘마이너스(-)’ 금리 시대를 열 것이란 시장의 기대를 깨고 ECB는 동결을 선언했다. 유동성 공급 대책만 내놨다. 앞으로 시장이 얼마나 더 나빠질지 예측하기 어려운데 ECB로선 얼마 남지 않은 금리 인하란 실탄을 꺼내 들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럽만의 문제가 아니다. 동시에 터져 나오는 악재에 각국 정부, 중앙은행 모두 마땅한 대응 카드를 찾지 못하고 있다. 북미ㆍ유럽ㆍ아시아 할 것 없이 대부분 국가가 초저금리, 눈덩이 재정 적자 등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어서다. 현실로 다가온 글로벌 경제 ‘팬데믹’ 상황에서도 이를 잡아줄 마땅한 ‘브레이크’가 없단 얘기다.


미 경제매체 포천지는 “이미 주식시장은 침체기에 접어들었다”며 “이제 시장은 살려달라고 아우성치는 형국”이라고 전했다.


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2.08.07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