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도 폭염 속 25도서 자란 ‘NO스트레스’ 채소…값은 더 쌌다

[푸드]by 리얼푸드

[헤럴드경제(교토)=윤현종 기자] 7월 한복판. ‘제일 더울 때 가 봐야 취재의 진정성이 느껴질거야!’란 호기는 나리타 공항에 내리는 순간 서서히 녹아내렸다. 상상도 못한 열기와 습기. 손에 든 작은 선풍기 바람은 애처롭다. 섭씨 40도ㆍ습도 70%를 뚫고 가는 출장은 그래서 만만찮다.

7월 18일 교토 소재 식물공장 스프레드(SPREAD)에 도착했을 당시 찍은 차량 외부기온(우측 상단 연두색 테두리 참조). 섭씨 42도다. 일본서도 습하고 덥기로 유명한 교토의 이날 기온은 오후 내내 40도를 웃돌았다.[윤현종 기자]

7월 18일 교토 소재 식물공장 스프레드(SPREAD)에 도착했을 당시 찍은 차량 외부기온(우측 상단 연두색 테두리 참조). 섭씨 42도다. 일본서도 습하고 덥기로 유명한 교토의 이날 기온은 오후 내내 40도를 웃돌았다.[윤현종 기자]

차에 탔다. 어딜 가도 ‘38도’ ‘40도’가 채워버린 폭염의 큐브를 벗어날 순 없다. 오후 3시가 되자 외부 기온이 42도를 가리킨다. “차 안 퍼지는 게 신기하네요” 혼잣말이 절로 나왔다.

그렇게 오아시스(?)를 찾아갔다. 교토에 자리한 일본 최대 식물 공장 ‘스프레드(SPREAD)’다. 날로 악화하는 기후 환경을 완벽히 통제한 공간. 작물의 생육 환경은 쾌적했다. 식물이 알맞게 자라는 모든 조건이 갖춰져 있었다. 날씨 대신 데이터가 키우는 제품은 생산량이 일정해 가격도 안정적이다.

행복하게 자란 채소는 소비자도 ‘행복하게’ 만들고 있었다.

식물공장 스프레드 전경 [윤현종 기자]

식물공장 스프레드 전경 [윤현종 기자]

▶농약은 없다. 태양과 흙도 없다= 공장이 만드는 야채라고 인스턴트를 생각하면 오산이다. 스프레드의 발상은 햇볕과 토양을 단순히 대체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 취재진을 안내한 안도 미나코 씨는 “태양과 흙보다 더 나은 조건을 작물 재배에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프레드 가메오카 공장 면적은 2만5000㎡ 규모다. 약 8000평 규모의 실내에는 건강한 녹색 기운을 뽐내는 상추 등 잎채소가 층층이 쌓인 재배 시설에서 자라고 있다. 재배실 온도는 24시간 내내 25℃. 산들바람이 느껴진다. 자연풍에 가까운 에어컨 바람이다. 일렬로 놓인 작물을 따라 만든 패널엔 물이 흐른다. 농약은 일체 배제한 배양액이다. LED 조명은 시시각각 조도를 맞춰준다.

식물공장 내부. 작물생육에 가장 좋은 환경서 자라고 있는 상추.[제공=스프레드]

식물공장 내부. 작물생육에 가장 좋은 환경서 자라고 있는 상추.[제공=스프레드]

40일. 씨를 뿌려 모종을 옮기고, 재배실에서 길러낸 뒤 트리밍(일종의 가지치기) 과정을 거쳐 포장ㆍ출하하는 데 걸리는 기간이다.

모든 과정은 완벽히 통제된 공간 속에서 이뤄진다. 오카이 요시후미 매니저는 “최적의 재배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일종의 ‘폐쇄공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곳이 자연보다 더 나은 환경이라면 작물들은 더 건강하게, 많이 살아남아야 한다. 재배생산률이다. 씨앗 100개를 뿌렸다면 공장에서 자란 채소는 얼마나 생존할까.

“97%입니다” 오카이 매니저의 설명이 이어졌다. “일반적인 (자연에서 자란) 상추의 성공률 70%와 비교하면 높은 편이죠.”


▶“공장 채소에서 단 맛이 나는 이유는…”= 이렇게 자라난 채소는 맛이 어떨지 궁금했다. 재배실 앞에 테이블을 놓고 스프레드 공장서 생산한 네 종류 상추 제품을 모두 먹어봤다.

식물공장서 키운 상추를 직접 먹어보고 있는 본지 기자

식물공장서 키운 상추를 직접 먹어보고 있는 본지 기자

아삭한 식감은 기본. 3∼4초 가량 씹다보니 단맛이 느껴졌다. 왜 상추에서 단맛이 났을까. 스프레드 관계자들은 “작물들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채소가 받는 ‘스트레스’의 정체가 궁금했다. 일본 취재를 마치고 돌아와 국내 전문가에게 물어봤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최수현 연구사의 설명을 들어보자.

“작물 생육에 필요한 광(光)파장대가 따로 있어요. 그 파장대를 벗어난 빛을 쪼이면 작물의 스트레스 요인이 됩니다. 이걸 ‘광 스트레스’라고 부르죠.”

“600∼700나노미터(㎚)가 작물 성장에 가장 적합하다”고 말한 최 연구사는 이렇게 덧붙였다.

“식물에겐 수분 스트레스ㆍ건조 스트레스ㆍ양분 스트레스 등등 최적의 생육 조건에서 벗어나는 모든 조건이 ‘스트레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7월 11~13일 일본 도쿄서 열린 국제시설농업박람회(GPEC)에 출품된 오사카대학 식물공장의 상추[윤현종 기자]

7월 11~13일 일본 도쿄서 열린 국제시설농업박람회(GPEC)에 출품된 오사카대학 식물공장의 상추[윤현종 기자]

식물공장 채소가 맛있다는 건 스프레드에서만 확인한 게 아니었다.

7월 11∼13일 도쿄에서 열린 국제시설농업박람회(GPEC)에서도 같은 경험을 했다. 오사카 부립 대학이 내놓은 식물공장 상추였다. ‘버터비어 양상추’와 ‘프릴 양상추’를 먹어봤다. 역시 달콤했다.

대학 부설 식물공장 품질관리부에서 일하는 아유미 엔조지 씨는 “식물공장에서 자란 상추는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를 잘 받지 않는다. LED 조명을 쓰다보니 빛 공급도 일정하다. 불필요한 이물질이 안 들어가 쓴맛도 없다”고 말했다.


▶NO 스트레스 채소, 가격도 ‘편안하다’= 스트레스 안 받고 자란 채소. 가격은 어떨까. 공장 관계자에게 돌직구를 날렸다. ‘품질이 좋아도 비쌀 것 같다’고.

오카이 매니저는 “상추 한 봉지에 한 뿌리가 들어간다. 스프레드 제품 가격은 198엔 정도다. 소비세 포함 214엔”이라며 망설임 없이 말한다. “모든 비용을 고려해 이 정도 가격이면 승산이 있다고 봤다”고 덧붙였다.

일본서 야채값 214엔은 쌀까, 비쌀까. 스프레드공장에서 차로 10여분 거리인 대형마트에 들렀다. 검증이 필요했다. 

스프레드 공장 홍보용으로 진열한 상추제품(오른쪽)과 취재진이 교토 시내 대형마트에서 직접 확인한 스프레드 제품(왼쪽). 회사 측에서 내놓은 가격보다 마트 판매가격이 오히려 더 저렴했다.[윤현종 기자]

스프레드 공장 홍보용으로 진열한 상추제품(오른쪽)과 취재진이 교토 시내 대형마트에서 직접 확인한 스프레드 제품(왼쪽). 회사 측에서 내놓은 가격보다 마트 판매가격이 오히려 더 저렴했다.[윤현종 기자]

일본판 이마트로 불리는 이온(AEON) 교토점엔 우리가 돌아봤던 그 식물공장 제품이 진열돼 있었다. 가격은 소비세를 합쳐 170엔. 우리 돈 1700원 수준이었다. 오히려 공장 출하 가격보다 저렴했다. 바로 옆에 놓인 일반 재배 상추와 비슷한 값이었다. 더 비싼 제품도 눈에 띄었다. 현지 물가정보업체에 따르면 이 시기 일본 대도시 상추 가격은 최고 300엔을 기록했다.

오카이 씨 설명은 거짓이 아니었다. 스프레드가 소비자를 등지겠다 마음먹지 않는 한, 제품 값이 오를 가능성은 거의 없는 셈이다. 이온과 비슷한 규모인 다른 일본 대형마트 고위 관계자도 취재진과 만나 “식물 공장 재배 야채는 판매가격 변동이 없어 소비자들이 선호한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그럼 식물 공장이 아닌, 밖에서 자란 ‘노지 재배 채소’ 상황은 어떨까.

[캡처 촬영=윤현종 기자]

[캡처 촬영=윤현종 기자]

7월 13일 오후 6시. 닛폰TV ‘뉴스에브리’는 폭염에 시달린 작물 가격이 폭등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도쿄 어느 슈퍼 채소 값은 2주일 새 약 1000원(100엔)이 올랐다. 각지 야채에 ‘이변’이 생겼다는 뉴스는 덤. 뉴스에브리는 “기온이 높아 일부 작물이 뒤틀리는 등 변형이 일어났다”는 농부의 한숨섞인 목소리도 내보냈다. 이날 도쿄 지역 낮기온은 최고 39도를 기록했다.


▶공장채소, 어떻게 성공했을까= 안전한 품질에 균일한 가격. 비결은 많이 생산하고 많이 팔지만 제품 당 이윤은 적게 남기는 ‘박리다매’다.

스프레드의 안도 씨는 “하루에 상추 2만1000포기를 생산ㆍ출하하는데, 이 물량은 매일 일본 전역 2400개 점포에 공급한다”며 “초기 설립 시점부터 공장을 크게 지어 대량생산을 추구했다”고 말했다.

스프레드 공장서 생산 중인 상추제품

스프레드 공장서 생산 중인 상추제품

‘규모의 경제’는 일본서 활약 중인 식물공장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전략이다. 취재진이 GPEC 박람회에서 만난 시설재배 관계자들이 한 목소리로 꼽은 성공비결이기도 하다.

스프레드 채소제품의 가격변동이 없는 또 다른 이유는 유통혁신이다. 자체 물류회사를 세워 유통단계를 최소화 했다.[제공=스프레드]

스프레드 채소제품의 가격변동이 없는 또 다른 이유는 유통혁신이다. 자체 물류회사를 세워 유통단계를 최소화 했다.[제공=스프레드]

또 다른 비결은 물류 혁신이다. 스프레드는 2002년 자체 유통회사를 세웠다. 이를 통해 공급 단계를 일원화ㆍ단순화했다. 스프레드의 물류 계열사가 움직이는 자사 제품량은 매일 700톤이다.


▶정부도 한몫 했다=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3월 현재 스프레드와 같은 형태의 식물공장은 182곳이다.

스프레드만 ‘잘 나가고’ 있는 게 아니다. 최근 일본 식물 공장 산업은 채산성 악화에 따른 오랜 적자 상태를 벗어나 다시금 기지개를 펴고 있다.

여기에는 일본 정부의 지원책도 크게 기여했다. 우선 공장 설립의 규제 문턱을 확 낮춰 세금을 줄여줬다.

본지 취재진과 인터뷰하며 일본 식물공장 산업에 대해 설명한 시미즈 하루야 농림수산성 과장보좌 [윤현종 기자]

본지 취재진과 인터뷰하며 일본 식물공장 산업에 대해 설명한 시미즈 하루야 농림수산성 과장보좌 [윤현종 기자]

일본에서 농업용 토지에 매기는 세금은 일반용지 1000분의 1 수준이다. 정부는 두 차례 법 개정을 통해 식물공장을 짓는 땅도 농업용지로 인정했다.

도쿄에서 만난 시미즈 하루야 농림수산성 과장보좌(사무관 급)는 “2016년 농업진흥지역정비법을 개정했다. 땅을 갈아 농사만 지어야 했던 농업용지에도 식물공장을 지을 수 있게 했다. 아예 법조문에 ‘식물 공장’이란 단어를 명시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나아가 최근엔 농작물을 생산만 하고 있어도 농지가 될 수 있도록 관련 법을 제정했다”고 설명했다.

‘교통정리’에도 힘썼다. B2B(기업 간 거래) 분야의 경우 식물 공장 작물과 노지 작물 판매 시장을 분리했다.

하루야 보좌는 “식물 공장은 시장 개척 단계부터 사전 계약처를 확정해야만 정부 ‘수혈’을 받도록 했다. 소규모 일반농가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다”고 말했다.


factism@heraldcorp.com

2018.11.12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Eat, Play, Cook의 즐거움이 있는 자연식·친환경·건강식 푸드 매거진
채널명
리얼푸드
소개글
Eat, Play, Cook의 즐거움이 있는 자연식·친환경·건강식 푸드 매거진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