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스마트카 지원정책 분석

[테크]by 알려줌

스마트폰과 결합해 가장 영향력을 발휘할 플랫폼은 무엇일까요?

최근 가장 주목받는 주인공은 바로 스마트카입니다.


스마트카는 차의 안과 밖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운전자의 안전을 지켜주고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차를 말하는데요. 그 핵심기술이 바로 자율주행 기능입니다.

 

이 자율주행 자동차 연구를 선도하는 나라는 역시나 미국인데요.


그동안 미국이 주 단위로 자율주행차 면허를 발급하고 연구개발 인프라 조성과 규제 개선을 진행해왔다면, 얼마 전부터는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로 향후 10년간 40억 달러(4조8000억원) 투자를 발표 하고, 오바마 대통령과 교통부 장관까지 나서서 자율주행차 상용화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직접 약속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기술 개발 주체도 이제 정부기관에서 구글과, 애플 등 정보통신기술 민간 업체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유럽은 유럽연합 차원에서 스마트카 공동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EU는 스마트카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카 안전 부품을 의무 장착하도록 했고, 2014년 9월엔 자율주행차 시험주행의 걸림돌이었던 비엔나 도로교통협약을 수정하여, EU와 러시아 등 72개국에서 자율주행차 시험주행과 상용화가 법적으로 가능해진 상태입니다.

 

특히 독일은 2017년까지 자율주행차 상세 법안을 마련할 계획이며, 비엔나 협약 미가입국인 영국은 운전자가 탑승한 자율주행차에 한 해 일반 도로에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다른 EU국들보다 앞서 승인을 한 상태입니다.

 

자 그럼 아시아는 어떨까요.

 

일본은 2013년부터 자율주행차의 일반도로 시험주행을 허가했고, 자율주행차 보급을 위해 정부 차원의 혁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0년 도쿄올림픽과 연계해 자율주행 시스템을 선보인다는 목표 아래 2014년부터 연구개발 지원에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중국은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ICT 업체들이 자동차 산업에 진출해 종횡무진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뒤에서 강력하게 정책으로 밀어주고 ICT 업체가 자금력을 바탕으로 이끌어가는 게 중국 자율주행차의 특징인데요.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차 5000만대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대규모 보조금 지급과 인프라 구축에 나선 상태입니다.

 

대한민국 역시 신 성장 동력으로 스마트카를 지원사격에 나서고 있지만, 선진국들의 집중적인 지원에 비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게 업계의 지적입니다.

 

우리정부는 2016년 2월부터 고속도로 1개 구간, 일반국도 5개구간에서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을 허가할 예정인데요. 출발이 늦은 만큼 속도를 내 IT강국의 명성이 스마트카 시장에서도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2016.02.21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삶에 도움이 되는 꿀팁 커뮤니티! 전문가가 알려주는 알기쉬운 깊은 지식!
채널명
알려줌
소개글
삶에 도움이 되는 꿀팁 커뮤니티! 전문가가 알려주는 알기쉬운 깊은 지식!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