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다

[여행]by 채지형

동양과 서양이 만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낸 용광로, 실크로드. 건조한 바람만이 퍽퍽하게 불어대는 길을 낙타에 비단을 싣고 한 걸음씩 나아갔을 대상들. 그들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심장이 두근두근 뛴다. 

 

‘실크로드’는 1877년 독일의 리히트호펜이라는 지리학자가 비단이 오갔던 곳이라 하여 붙인 이름. 실크로드라는 이름을 갖고 있지만, 이 길을 통해 오간 것은 비단뿐만이 아니다. 각종 물품과 보석, 불교와 이슬람교가 그 길을 통해 흘러가고 흘러들었다. 기원전 한무제 때 장건이 사신으로 서역에 다녀온 후 만들어진 실크로드는 자타공인 세계무역의 중심지였다. 

사막으로 이어진 허시후이랑

중국 지도를 펼쳐 보면 한가운데에 ‘란저우(蘭州)’라는 지명이 있다. 1,400여 년의 역사를 품고 있는 란저우는 실크로드 문화유산이 풍부한 간쑤성의 성도로 교통과 문화, 역사, 경제의 중심지다. 중국인들이 ‘어머니의 젖줄’이라는 황허가 도시 가운데를 유유히 관통하고 있다. 그래서 란저우에 가면 어디에서든 황토색이 눈에 들어온다.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건조한 사막만이 이어지는 허시후이랑

본격적인 실크로드 여행을 위해 란저우에서 나와 허시후이랑(河西走廊)을 따라 달린다. ‘허’는 황허를 뜻하는 단어로 허시후이랑은 황허강 서쪽의 긴 복도라는 뜻이다. 한쪽에는 평균 해발 4,000m의 치렌산맥이, 또 다른 한쪽에는 황무지 같은 사막이 끝없이 펼쳐져 있다. 900km 길이에 폭은 40~100km. 실크로드 상인들은 이 좁고 긴 평지를 따라 비단을 나르고 전쟁을 하고 오아시스를 찾았다. 일직선으로 뻗은 허시후이랑에는 허시사군으로 불리는 우웨이, 장예, 주취안, 둔황 같은 오아시스 도시들이 이어져 있다.

 

먼지를 풀풀 내며 달리고 또 달려도 창밖의 풍경은 변하지 않는다. 건조한 사막만이 이어진다. 버스를 타고 온몸이 바싹바싹 말라간다. 옛날 대상들은 어땠을까. 말과 낙타를 타고 사막을 지났다는 사실만으로도 머리가 숙어진다.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자연이 만들어낸 수채화, 치차이산

허시후이랑을 따라가다 보면 장예를 만난다. 장예는 란저우에서 510km 떨어진 도시로 마르코 폴로가 1년간 머물렀던 곳이다. 장예에서 꼭 가 봐야 할 곳은 자연이 만든 예술품인 치차이산(七彩山). 어떻게 흙에서 저런 색이 날까 의문이 들 정도로 빨간색과 노란색이 섞여 오묘한 빛을 내는 산들이 펼쳐져 있다. 정식명칭은 ‘장예단하국가지질공원’으로 ‘단하’는 붉은 노을을 의미한다. 오랜 세월 동안 풍화와 퇴적작용으로 만들어진 치차이산은 계곡을 따라 510km나 이어져 있다. 전체 공원은 4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구역마다 조금씩 다른 맛을 보여 준다. 희게 보이는 곳은 소금 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이 넓은 곳이 과거에 바다였다는 설도 있다.  

실크로드의 꽃, 둔황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불심으로 세운 둔황의 석굴사원 모가오쿠

실크로드의 백미는 둔황의 모가오쿠다. 과거 실크로드를 오가는 이들은 거친 땅과 예측할 수 없는 기후, 적들의 침략 속에서 항상 불안했다. 그들은 무사 안녕을 빌기 위해 석굴을 파고 그 안에 불상을 세웠다. 그리고 벽화를 그려 넣었다. 그렇게 1,000년 동안 무려 1.7km에 달하는 깎아지른 절벽에 735개의 석굴이 만들어졌다. 석굴 하나는 절 하나와 마찬가지. 735개의 사찰이 아파트처럼 옹기종기 모여 있다고 상상해 보자. 처음 석굴에 들어가 벽화를 보았을 때 소름이 돋고 전율이 흘렀다.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모가오쿠가 처음 생긴 것은 16국 시대인 366년. 낙준이라는 승려가 석산 위에 나타난 부처의 상을 보고 만든 것이 시작이다. 이후 14세기까지 여러 시대에 걸쳐 수많은 승려와 조각가가 석굴을 정성스럽게 만들었다. 석굴 안의 불상과 벽화에는 당시의 생활상이 상세하게 담겨 있다. 놀랍게도 건조한 기후와 빛이 들어가지 않은 굴속에 자리해 1,000년 전 신비로운 색이 남아 있다. 까맣게 변한 것도 있고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도 있지만 오묘한 아름다움을 풍기는 옥색이나 자주색, 노란색 등 여러 색이 석굴 안을 아름답게 빛내고 있다.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둔황의 야시장에서 파는 기념품들. 사막과 낙타가 주 소재다

남아있는 석굴은 수백 개에 이르지만, 관람객들이 볼 수 있는 석굴은 몇 개 되지 않는다. 예약을 해서 가이드와 함께 1시간 동안 10여 개 정도 석굴을 돌아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특별히 보고 싶은 석굴이 있으면 가이드에게 미리 요청을 해 놓는 것이 좋다.

끝과 시작이 있는 곳

란저우와 장예, 자위관을 거쳐 둔황에 도착한 상인들은 이곳에서 서역으로 갈 채비를 한다. 실크로드는 둔황에서 북로와 남로로 갈라진다. 북로로 가려면 옥문관을 통해, 남로로 가려면 양관을 통해서 길을 떠나게 된다.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옥이 오갔다고 해서 붙은 이름, 옥문관

둔황 시내에서 80~100km 떨어져 있는 옥문관과 양관은 단순한 통로가 아니다. 비단을 낙타에 실은 상인들에게 익숙한 곳의 끝, 새로운 서역의 시작을 의미한다. ‘옥’이 오갔다고 해서 이름 붙은 옥문관은 거대한 문 하나만 달랑 남아 있고, 서역 남로 입구인 양관은 높이 4.7m의 봉화대만 남아 있다. 옥문관 너머 바라보는 길도 아름답지만 양관 봉화대에서 내려다보는 풍광은 더없이 황홀하다. 높은 곳에서 광활하게 펼쳐져 있는 고비사막을 내려다보면 끝없이 펼쳐져 있는 길이 안겨 주는 막막함과 그 길을 헤쳐 나가야 하는 비장함이 함께 느껴진다. 

실크로드를 따라 1,200km를 달리

위험이 도사리는 서역으로 향하는 길목, 양관. 거상들의 떨림을 상상하며 바람을 맞는다

당나라 시인 왕유는 양관에서 ‘그대에게 한 잔의 술을 권하니, 서쪽 양관으로 나가면 옛 벗이 있겠는가’라고 읊기도 했다. 익숙한 것과 이별하고 새로운 것을 향해 나가는 두려움. 얼마나 위험한 일이 펼쳐질지, 얼마나 흥미진진한 일을 만나게 될지 모르는 그 마음. 실크로드 여행을 마무리하는 양관에서 수천 년 전 실크로드를 통해 서역으로 나간 그들의 심정을 조금은 알 것도 같았다.  

2017.11.28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모든 답은 길 위에 있다고 믿는 여행가. '지구별 워커홀릭' 등 다수의 여행책을 냈다.
채널명
채지형
소개글
모든 답은 길 위에 있다고 믿는 여행가. '지구별 워커홀릭' 등 다수의 여행책을 냈다.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