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에 필요한 시설이 되어 있는 방. 또는 오락을 하는 방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978년 ‘아타리 브레이크아웃(일명 벽돌 깨기)’이 한국에 등장해 인기를 얻었고, 1979년에 ‘스페이스 인베이더’가 도입되며 오락실도 전국적으로 확산하였습니다. 그리고 1982년 스페이스 인베이더와 갤럭시안의 계보를 잇는 슈팅 게임 '갤러그'의 등장으로 전자오락실이 대유행하기 시작했죠. 당시 갤러그의 등장으로 1979년 서울 시내에 900여 곳이었던 전자오락실이 1982년 3,570여 곳으로, 1983년에는 6,000여 곳으로 늘어났습니다
번호나 그림 따위의 특정 표시를 기입한 표(票). 추첨 따위를 통하여 일치하는 표에 대해서 상금이나 상품을 준다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복권과 비슷한 유물이 고대 이집트 유적에서 발견되기도 했지만, 기록상 가장 오래된 복권은 기원전 1세기경 중국의 한나라에서 등장합니다. 진나라가 멸망하고 세워진 한나라는 체제와 영토를 정비해야 하고, 진나라 때 벌여놓은 만리장성 공사 등으로 돈이 많이 필요했죠. 하지만 전쟁 직후의 국가 재정으로는 무리였어요. 그래서 재정을 확보할 방법을 찾다가 고안해낸 것이 복권이었죠. 이 한나라 때의 복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