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볶이 가래떡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여러 가지 채소를 넣고 양념을 하여 볶은 음식. 양념은 간장으로 하기도 하고, 고추장으로 하기도 한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어렸을 적 먹던 컵볶이는 500원이면 먹을 수 있었는데 이제 거의 2만원을 내야지 떡볶이를 먹을 수 있게 되었죠. 만드는 방법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은데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이런 의문에서 떡볶이를 조사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미리 말씀드릴 것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없습니다. 다만 어떤 흐름에서 궁중 떡볶이가 즉석 떡볶이가 되고 매운 떡볶이가 등장하게 되었
돼지의 창자 속에 고기붙이, 두부, 숙주나물, 파, 선지, 당면, 표고버섯 따위를 이겨서 양념을 하여 넣고 양쪽 끝을 동여매고 삶아 익힌 음식.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저저번에 떡볶이의 역사를 조사했었기 때문에 이번 주제로 순대를 떠올린 것은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아마 다음번 주제는 큰 이변이 없는 한 김밥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분식 시리즈 뿌셔! • 솔직히 고백하자면 이때까지 병천 순대, 아바이 순대, 백암 순대 등등 순대들은 이름만 다르고 뭐가 다르지 싶었는데요. 소창/대창을 썼는지에 따라, 속을 어떤 것으로 채워
삼겹살 돼지의 갈비에 붙어 있는 살. 비계와 살이 세 겹으로 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고기이다.≒세겹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Comment. •지난 금요일은 삼겹살 데이였습니다만 요즘도 삼겹살 데이를 많이들 챙기는지 모르겠네요. 제가 마지막으로 삼겹살 데이를 챙긴 것은 7년전 쯤에 백종원의 새마을 식당에서 삼겹살데이에 할인했을 때였습니다. 요즘은 삼겹살데이 행사가 딱히 눈에 띄는 게 없네요. 사람들이 삼겹살 데이가 아니어도 삼겹살을 자주 먹기 때문일까요? •삼겹살의 역사를 찾으며 가장 큰 도움받았던 책은 <삼겹살의 시작>인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소니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워크맨? 플레이스테이션? 놀랍게도 소니의 첫 제품은 전기밥솥이었습니다. 근데 더 이상한건 1946년 창업한 소니는 원래 라디오 수리점이었다는 것이죠. 그러니까 라디오 수리점에서 전기밥솥을 출시한거예요. 그래서 일까요? 결과는 대실패였습니다. 전기밥솥을 수백 대 생산했지만 팔지 못하고 창고에 재고로 쌓였다고 해요. 비슷한 시기에 미쓰비시에서도 전기밥솥 제작을 시도하지만 실패했죠. 창업자 이부카의 회고에 따르면 “고급 쌀을 조심스럽게 끓이면 꽤 쓸만 했지만, 조금이라도 쌀의
오락에 필요한 시설이 되어 있는 방. 또는 오락을 하는 방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978년 ‘아타리 브레이크아웃(일명 벽돌 깨기)’이 한국에 등장해 인기를 얻었고, 1979년에 ‘스페이스 인베이더’가 도입되며 오락실도 전국적으로 확산하였습니다. 그리고 1982년 스페이스 인베이더와 갤럭시안의 계보를 잇는 슈팅 게임 '갤러그'의 등장으로 전자오락실이 대유행하기 시작했죠. 당시 갤러그의 등장으로 1979년 서울 시내에 900여 곳이었던 전자오락실이 1982년 3,570여 곳으로, 1983년에는 6,000여 곳으로 늘어났습니다
번호나 그림 따위의 특정 표시를 기입한 표(票). 추첨 따위를 통하여 일치하는 표에 대해서 상금이나 상품을 준다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복권과 비슷한 유물이 고대 이집트 유적에서 발견되기도 했지만, 기록상 가장 오래된 복권은 기원전 1세기경 중국의 한나라에서 등장합니다. 진나라가 멸망하고 세워진 한나라는 체제와 영토를 정비해야 하고, 진나라 때 벌여놓은 만리장성 공사 등으로 돈이 많이 필요했죠. 하지만 전쟁 직후의 국가 재정으로는 무리였어요. 그래서 재정을 확보할 방법을 찾다가 고안해낸 것이 복권이었죠. 이 한나라 때의 복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