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 테크 ]

라즈베리 파이 3
“혁신적 미니 PC로 손색이 없다”

byITWorld

역시 사물은 겉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된다.


라즈베리 파이 3 모델 B는 앞서 출시된 라즈베리 파이 2 모델 B와 외관이 동일하다. 동일한 포트, GPIP 핀 레이아웃, 기본 보드 레이아웃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관에 속아서는 안 된다. 라즈베리 파이 3는 앞서 모델과 마찬가지로 크게 업그레이드가 된 버전이다. 훨씬 우수한 성능은 물론이고, 기존 라즈베리 파이 모델의 불편한 설정 과정 일부가 사라졌다. 그러면서도 가격은 이전 모델과 동일한 35달러에 불과하다.


라즈베리 파이 3는 지금까지 나온 라즈베리 파이 중 가장 간편하고 강력한 기기다. PC로 사용될 만한 잠재력을 지닌 첫 번째 장치이기도 하다. 그러나 '혁명'보다는 '진화'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업그레이드다. 여기에는 크게 사랑을 받았던 기존 라즈베리 모델 및 보드와 호환된다는 의미가 있다.

라즈베리 파이 3 “혁신적 미니 PC

훨씬 빠르고, 우수하며, 단단하고, 강력한 모델

라즈베리 파이의 '매력'은 기술적인 사양이 아니라 사용자의 가능성에 달려있다. 그러나 라즈베리 파이는 놀랍도록 실용적인 라즈베리 파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놀랍도록 창의적인 발명을 할 수 있는 하드웨어이기도 하다. 바뀐 부분과 성능을 자세히 다루기 전에, 간단히 사양을 살펴보자.

SoC: 브로드콤 BCM2837 64비트 SoC(System-on-chip)와 4개의 ARM Cortex-A53 CPU 코어(클록 1.2GHz)

CPU: 4X ARM Cortex-A53, 1.2GHz

GPU: 브로드콤 VideoCore IV

RAM: 1GB LPDDR2 (900MHz)

네트워킹: 10/100 이더넷, 2.4GHz 802.11n 무선

블루투스: Bluetooth 4.1 Classic, BLE(Bluetooth Low Energy)

스토리지: 마이크로SD

GPIO: 40v핀 헤더(파퓰레이티드)

포트: HDMI, 3.5mm 아날로그 오디오-비디오 단자, USB 2.0 4개, 이더넷, CSI(Camera Serial Interface), DSI(Display Serial Interface)

라즈베리 파이 3는 3가지 측면에서 성능이 업그레이드됐다. 그래픽과 컴퓨팅 성능을 높인 새로운 SoC, 일체형 2.4GHz 802.11n 와이파이, 일체형 블루투스 4.1 BLE이다.


사양만 놓고 봐서는 별 것 아닌 업그레이드이다. 그러나 활용도가 크게 상승한다. 일체형 무선 기능 지원을 예로 들 수 있다. 기본 권장 라즈베리 운영체제를 이용해 즉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라즈베리 파이 하드웨어 전용 운영체제를 개발해 사용 편의성이 개선됐다. 특히 표준 리눅스 배포판은 무선 연결 지원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악명 높았기 때문이다. 기존 라즈베리 파이 모델의 경우, 와이파이 어댑터를 구입하거나 이더넷 포트로 유선 연결을 해야 했다. 통합 와이파이 하나만으로도 기존 라즈베리 파이 모델에 비해 크게 발전한 모델로 평가할 수 있다.


라즈베리 파이 3의 새로운 장점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1세대 라즈베리 파이의 가장 큰 골칫거리는 '연결'이었다. USB 2.0 포트를 단 한 쌍만 지원했기 때문이다. 외장 하드 드라이브를 비롯해 다양한 주변 장치는 말할 것도 없고, USB 키보드와 마우스, 와이파이 어댑터를 연결할 때에도 USB 허브가 필요했었다. 라즈베리 파이 2에서는 USB 포트의 수를 4개로 늘려 이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했다. 라즈베리 파이 3는 여기에 블루투스까지 추가했다. 저렴한 미디어 스트리밍 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등 무선 주변 장치를 연결할 때 편리하다. 또 센서 등을 연결해 더 발전된 라즈베리 파이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다.


이렇게 무선 기능을 추가시켰지만 크기가 커지지는 않았다. 신용카드 크기 그대로다. 라즈베리 파이 재단 "현미경이나 돋보기로 봐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초소형 무선 기술을 탑재했다."고 자랑한다.


라즈베리 파이 3에 새로 도입된 SoC는 라즈베리 파이 2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라즈베리 파이 3는 파이 2와 동일하게 쿼드 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파이 2는 900MHz ARM Cortex-A7 코어였지만, 파이 3는 Cortex-A53 CPU(클록 1.2GHz)로 더 강력하다. 다시 말해, 라즈베리 파이 3가 클록 속도가 더 높은 코어를 갖고 있다. 두 모델 모두 브로드콤 VideoCore IV 그래픽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지만, 라즈베리 파이 3에서는 그 속도가 250MHz에서 400MHz로 향상됐다.

라즈베리 파이 3 “혁신적 미니 PC

또, SoC를 업그레이드해 성능과 활용도를 크게 높였다. 라즈베리 파이 3은 1080p 비디오를 초당 60프레임(기존 모델은 초당 30프레임)에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에피파니 브라우저에서 유튜브 비디오를 초당 60프레임으로 재생했을 때 부드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별도로 설치할 수 있는)아이스위즐 브라우저로 재생한 로컬 비디오와 유튜브 비디오는 부드럽게 표현됐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라즈베리 파이 3가 35달러짜리 컴퓨터라는 것이다. 앞서 모델은 지메일 확인이나 리브르오피스로 문서 편집 등 기본 작업을 수행할 때에도 작동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 그러나 라즈베리 파이 3에는 이런 문제가 많지 않다. 윈도우 데스크톱이나 크롬북이 아닐까 혼동할지도 모른다. 라즈베리 파이 재단을 설립한 에벤 업튼의 "성능을 50~60% 높여 PC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장치를 구현했다"는 말은 거짓이 아니다. 라즈베리 파이 3로 기본적인 생산성 작업과 웹 브라우징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요 벤치마크 상당수가 라즈베리 파이의 ARM 기반 프로세스 테스트를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몇몇 테스트로 성능 개선을 정량화할 수 있었다. 라즈베리 파이 웹사이트에 있는 라즈베리 제시(Raspbian Jessie) 빌드가 탑재된 라즈베리 파이 2와 파이 3를 로딩했다.

라즈베리 파이 3 “혁신적 미니 PC

가장 먼저 선스파이더 1.0.2 자바스크립트 벤치마크로 라즈베리의 기본 브라우저인 에피파니를 테스트했다. 벤치마크 완료까지 소요되는 밀리세컨드를 측정하는 테스트다. 수치는 낮을 수록 좋다. 결론을 말하면, 라즈베리 파이 3가 직전 모델의 성능을 크게 앞선다.

라즈베리 파이 3 “혁신적 미니 PC

아이스위즐 브라우저를 대상으로 한 구글 옥타인(Octane) 2.0 테스트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이 경우, 숫자가 높을 수록 더 좋다. 라즈베리 파이 3의 결과가 파이 2보다 약 2배 가까이 높았다.

라즈베리 파이 3 “혁신적 미니 PC

시스벤치 테스트로는 컴퓨팅 성능을 측정했다. 라즈베리 파이 3의 싱글 스레드 성능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싱글 코어 2개를 사용, 소수를 2만까지 계산하는 테스트를 실시했다.

라즈베리 파이 3 “혁신적 미니 PC

또 각 시스템 코어 4개를 모두 사용해 테스트했다. 각 장치가 작업을 끝내는데 걸리는 시간(초)이 테스트 결과로, 낮을 수록 더 좋다. 여기서도 라즈베리 파이 3가 파이 2를 크게 앞선다. 계산을 몇 분 정도 더 빨리 끝냈다.


기억할 점은 라즈베리 파이 2가 1세대 라즈베리 파이보다도 4~5배 높은 성능을 전달했다는 것이다. 1세대 모델에서 라즈베리 파이 3로 업그레이드할 경우에는 놀라운 성능 향상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조각조각이 아닌 한 판짜리 라즈베리 파이 완성

35달러에 불과한 라즈베리 파이 3의 잠재력은 아주 인상적이다. 그러나 보드만으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HDMI로 TV나 모니터를, 2.5 암페어(5볼트) 마이크로 USB 코드로 전원을 연결해야 한다(전원의 경우 모토 X는 불충분해 킨들 파이어 충전기를 이용). 또 USB나 블루투스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해야 한다. 참고로 블루투스 연결을 활성화시키기 전에 USB를 이용해 설정을 해야 한다. 보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파이를 집어넣을 상자나 케이스를 준비하는 것도 좋다.

라즈베리 파이 3 “혁신적 미니 PC

또 마이크로SD 카드로 운영체제를 가져와 스토리지로 이용해야 한다. 기존 PC에 연결해 운영체제를 가져오려면 마이크로SD 카드 어댑터가 필요할 수 있다. 라즈베리 파이 운영체제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인 리눅스 배포판은 물론 윈도우 10 IoT, 미디어 스트리밍용 OpenElec , 파이에 기반을 둔 기상 관측용 라스비안(Raspbian) 빌드 등 특수 목적 OS가 있다.


이번 리뷰에서는 라즈베리 파이 재단이 공식 지원하는 운영체제인 라스비안(Raspbian)이 설치된 라즈베리 파이 3를 테스트했다. 라즈베리 파이 재단의 Noobs 설치 도구 및 셋업 가이드를 이용하면, 운영체제 설치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라스비안은 아주 단순한 운영체제다. 아이들이 컴퓨터 공학을 학습할 수 있는 저렴한 컴퓨터를 구현하겠다는 재단의 사명에 부합한다.

라즈베리 파이 3 “혁신적 미니 PC

라스비안에는 이미지 뷰어, 에피파니 브라우저, 리브르오피스 생산성 소프트웨어 등 기본 운영체제 도구 외에 많은 개발용 소프트웨어가 들어있다. Wolfram Mathematica, 파이썬 프로그램 개발 도구, Java 통합 개발 환경 등이 있다. 또 아이들을 위한 애니메이션 코딩 IDE인 스크래치 등 교육용 소프트웨어, 라이브 코딩 환경의 코드로 새로운 사운드를 만드는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환경인 소닉 파이(Sonic Pi)가 있다. 뿐만 아니라, 유명한 마인크래프트의 라즈베리 파이 버전인 마인크래프트 파이도 들어있다. 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파이톤 프로그래밍 환경을 이용, 마인크래프 파이톤 API로 핑(Ping)을 해야 한다.


또 파이 스토어(Pi Store)에서 수 많은 도구를 입수할 수 있다. 아니면 코드와 관련, Terminal 창에서 새 소프트웨어를 구현할 수 있다. 라스비안은 운영체제의 기본적인 요소 모두를 제공한다.

라즈베리 파이 3 “혁신적 미니 PC

라즈베리 파이 3의 성능은 제한된 '메이커' 프로젝트 구현을 넘어 기초적인 PC로 기능을 할 수 있을 만큼 우수하다. 또 실용적인 하나의 유즈 케이스 이상을 제공한다. 물론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특수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밖에도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장치다. 필자는 딸 아이의 학교 과제 중 하나로 라즈베리 파이 3를 이용할 계획이다. 앞선 모델에서는 불가능했던 일이다.


기술적인 사양만 봐서는 앞선 모델보다 조금 더 성능이 향상된 모델이 라즈베리 파이 3다. 그러나 현실에서의 활용도가 크게 높아졌다. 라즈베리 파이 2는 1세대 모델의 성능 문제, 포트 문제를 해결한 모델이다. 라즈베리 파이 3는 여기에 더해 활용도를 크게 높이는 무선 기능 등을 전달하고 있다. 주변 장치 연결과 관련된 문제점이 사라졌고, 코어 성능이 충분할 정도로 개선됐다. 활용도 문제를 고민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기존과 동일한 35달러에 이런 업그레이드를 구현했다. 라즈베리 파이에 관심이 있는 사람, 저렴한 가격의 업무용 컴퓨터, HTPC, 파일서버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라즈베리 파이 3를 강력히 권한다. 


글. Brad Chac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