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한나 강한국제특허법률사무소 대표 변리사 의사, 검사, 변호사···직업명 뒤에 ‘사’짜가 붙는 직업군을 마주하면 왠지 모를 부러움을 피할 수 없다. ‘사짜 직업’ 대부분이 전문직인데다 고수익·안정성을 보장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특히 그 직업군들은 학창시절 웬만큼 엉덩이 싸움에서 이겨본 사람들만이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안다. 그래서인지 시대가 변하고 신문물이 탄생해도 ‘사’짜 직업을 가진 이들을 마주할 때면 암묵적으로 그들의 노력을 인정해주는 분위기다. 최근 ‘사짜 직업’ 중 주목받고 있는 직군이 있다. 바로 변리사다. 지
강석민 스마일게이트 3D 모델러 하나의 게임이 기획 단계부터 출시에 이르기까지에는 시간과 돈, 수많은 전문가들의 노력이 담겨져야 가능하다. 전세계 약 2천만 명의 유저들, 동시 접속자 수 130만 명이라는 숫자로 MMORPG 게임 중 글로벌 1위를 기록한 ‘로스트아크(LOSTARK)’ 역시 그 중 하나다. 7년 간 1,000억 원이 투입된 이 게임에는 개발자를 비롯한 다양한 전문가들의 열정이 오롯이 녹아있다. 그 중 ‘3D 모델러’는 로스트아크 캐릭터에 생동감을 불어 넣어 현실 속 있을 법만 가상의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로스트아크
비워야 비로소 보이는 직업 ‘정리정돈전문가’ ‘비워야 비로소 소중한 것이 보인다’는 말은 인생을 살면서 한번쯤 곱씹을만한 문구다. 늘 어떻게 비워낼지를 고민하지만 고민에서 끝나는 현대인들이 대부분이다. 버리고 비우는 것마저 누군가의 손길이 필요해진 세상, 새로운 직업들이 주목받는다. ‘정리정돈전문가’역시 마찬가지다. 누군가가 버리지 못한 물건들을 정리해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직업인 ‘정리정돈전문가’는 최근 유망직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새로운 대체기술이 범접할 수 없는 이 직업에 대해 박소현 오늘의집정리 대
구글코리아 1호 개발자 이동휘 아임웹 CTO [강홍민의 JOB IN] ① 반지하서 아이 셋 키우던 서른 넘은 가장이 구글에 도전한 이유 <바로가기> 구글 합격 후 바로 실리콘밸리로 가셨나요. “합격하고 3개월 정도 미국에서 연수를 받고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2년 정도 지사에서 근무를 했었어요. 그리곤 2009년에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2021년까지 구글에 있었죠.” 구글에서는 어떤 업무를 맡았었나요. “주로 검색 파트에 있었어요. 여러 프로젝트를 했지만 검색파트의 백엔드 개발을 담당했었죠. 구글은 백엔드 개발에만 수 백 명의 개발자
2021년 귀속 연말정산, 신용카드 사용액·기부금·주택자금 등 공제 혜택 상향···꼼꼼한 확인 필요 국세청 홈텍스, 모바일 간편인증 및 간소화 자료 일괄제공 서비스 등 도입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다. 지난 15일 연말정산 소득 및 세액공제에 필요한 증명 자료를 조회할 수 있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개통되면서 연말정산 공제 여부가 직장인들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13월의 보너스’라 불리는 연말정산 체크리스트를 알아보자. 2021년은 코로나19로 침체된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소비에 대한 공제 혜택이 늘어났다. 2021년 사용한 금
김민경 오디오 콘텐츠 기획자 TV가 없던 시절, 집집마다 라디오도 귀한 시절이 있었다. 할머니가 틀어 놓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라디오 극장’은 가던 걸음도 멈추게 하던 놀라운 힘이 있었다. ‘제5공화국’, ‘이수일과 심순애’의 대사 한마디를 놓칠 새라 귀를 쫑긋 세우며 하던 일도 멈춰 듣던 시절, 몇 번이고 들었던 똑같은 내용이지만 들을 때마다 새로웠던 라디오 극장이 2021년 끝자락에 부활했다. 밀리의 서재가 제작한 현대판 라디오 극장 ‘오디오 드라마’는 독자들에게 이미 검증받은 책을 드라마 타이즈로 각색해 선보이는 오디오 콘
박영신 문학동네 출판편집자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문학동네의 사무실 한 켠을 차지하고 있는 편집부. 그곳은 까치발을 들고도 사람의 정수리가 보이지 않을 만큼 높디높게 책이 쌓여져 있다. 소설부터 인문학, 시, 에세이, 사회·과학 등등 책이란 공통분모 외엔 같음을 찾을 수 없는 다종다양한 책 더미 속엔 출판편집자(이하 편집자)이 원고와 씨름 중이다. 편집자들이 모여 있는 그 공간은 정숙(靜肅)이 익숙한 듯 편집자들은 물론 그곳을 지나가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고 발걸음을 늦췄다. 적막이 감도는 그곳에서 박영신(45) 문학동네 국내2팀 부
조기현 스포카 도도카트팀장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가장 큰 차이점이요? 마인드 차이죠. 어떻게든 내가 유리한 입장을 고수하려고 할 때와 어떻게든 만들어보려는 그 차이가 가장 큰 것 같아요.” 조기현(38) 스포카 도도카트팀장의 이직에는 공통점이 있다. 높은 곳에서 낮은 곳을 향하는 물의 원리마냥 규모가 큰 회사에서 작은 회사로 옮긴다는 점이다. 그리고 또 하나, 가슴 뛰는 일을 마주했을 때다. 그의 첫 직장은 효성그룹 계열사 효성에프엠에스였다.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조 씨는 대학시절, 전공에 큰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프로그래밍으로 날
이정준 퓨쳐플레이 투자심사역 “투자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람입니다. 그 사람이 어떤 인생을 살아왔는지, 얼마나 전문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우리 일이죠.” 창업 열기가 식을 줄 모른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코로나19 지속으로 비대면 서비스를 비롯해 세상에 없던 기술과 서비스로 도전장을 던진 스타트업이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고 있다. 갈수록 뜨거워지는 창업 열기 속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을 잣대로 옥석을 가리는 투자심사역의 몸값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개 VC(venture capital) 중
요즘 대세 ‘개발자’ 나도 될 수 있을까? 언제부터 개발자 양성 교육이 이렇게 많아진 걸까? 소프트웨어 관련 역량을 길러 본인의 직무에 활용하라는 메시지는 몇 년 전부터 흔했다지만 지금처럼 직접적으로 개발자가 ‘돼라'는 식의 메시지가 많은 시기는 처음인 것 같다. 이렇게 교육 공급이 많아지는 이유는 채용 시장을 바라보면 금세 알 수 있다. 규모를 막론하고 모든 회사가 ‘좋은' 개발자를 찾는 데에 무척이나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들보다 더 빠르게 비즈니스 가설을 검증하고, 유저를 만족시키고, 그들이 떠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