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판 '강남역 살인사건'···신인 개그우먼 덮친 '멜버른 악마'

[이슈]by 중앙일보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여름 호주에서 여성안전 문제에 경종을 울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전도유망한 여성 코미디언 유리디스 딕슨(사망 당시 23세)이 공연을 마치고 집으로 가던 중 성폭행당한 뒤 무참히 살해된 것이다. 일면식 없는 남성으로부터 공공장소에서 살해당했다는 점에서 2016년 발생해 국내 여성안전문제를 사회적으로 환기시켰던 '강남역 살인사건'과 유사하다는 평가다.


그를 살해한 범인은 종신형을 선고받았지만, '여성 범죄의 온상'이란 오명이 씌워진 호주 멜버른의 여성안전 문제는 전혀 나아진 것이 없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신인 개그우먼 딕슨의 죽음…사회적 공분


지난 2일(현지시간) 호주 빅토리아주 대법원은 딕슨을 살해한 혐의로 법정에 선 제임스 토드(20)에게 종신형을 선고했다. 토드는 35년 이상 복역 후에야 가석방을 신청할 수 있게 된다. 스티븐 케이 판사는 "피고인은 피해자를 공격하기까지 1시간 동안 집요하게 따라다녔다"며 "피해자를 살해한 행위는 그 자체로 악마"라고 지탄했다.


신인 코미디언이자 연기자였던 딕슨은 2018년 6월 13일 아침 호주 멜버른의 프린스 공원에서 성폭행당한 뒤 살해된 채 발견됐다. 범인은 당시 19살이었던 토드. 그는 경찰이 범행 현장이 담긴 폐쇄회로(CC) TV 영상을 공개하자 자수했다. 토드는 범행 전 성폭행과 살인에 대한 판타지에 사로잡혀 관련 콘텐츠를 즐겨봤으며, 지하철역에서 딕슨을 본 뒤 5㎞를 따라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호주의 명문 공립대 디킨 대학교를 졸업한 뒤 꿈을 향해 달려가던 딕슨의 사망은 사회적 공분을 샀다. 호주의 코미디언 줄리아 모리스와 제인 케네디, 영국의 뮤지션 알렉스 리 등이 자신의 SNS를 통해 슬픔과 분노를 표하면서 더욱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그녀의 죽음 닷새 뒤 시신이 발견된 프린스 공원에서 철야기도회가 열렸고, 이 자리엔 수천 명의 시민들과 다니엘 앤드루 빅토리아 주지사도 참석했다. 이후 호주의 수도 캔버라의 국회의사당에서도 집회가 열렸으며, 말콤 턴불 호주 전 총리와 야당 지도자 빌 숄튼도 참석해 여성안전 문제를 공론화하기도 했다.



멜버른, 여성 대상 범죄의 온상?


딕슨의 죽음이 여성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는 사회적 기폭제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멜버른에서 여성이 잔인하게 살해된 사건이 과거에도 수차례 있었기 때문이다. 2012년 9월 아일랜드 출신의 여성 질 미거(사망 당시 29세)가 늦은 밤 집으로 걸어가던 길에 성폭행당한 뒤 살해당했다. 2015년 3월에는 17세 소녀 마사 부코틱이 귀가 중 30대 남성에게 무참히 살해당했다. 이어 대중적으로 얼굴이 알려진 딕슨까지 처음 보는 남성에게 성폭력을 당한 뒤 살해당하자, 멜버른은 '여성 안전의 무덤'이라는 이미지가 덧씌워졌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 호주의 여성대상 범죄는 오래전부터 수차례 언론에 오르내릴 만큼 심각한 수준이었다. 호주 통계청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15세 이상 여성 3명 중 1명이 물리적 폭력을 경험했으며 5명 중 1명은 성적 폭력을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 여성 10명 중 1명은 일면식 없는 남성으로부터 폭력을 당하며, 1주일에 1명 꼴로 전 남자친구나 현 남편 등 관계를 유지했던 '파트너'에 의해 살해당한다고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서도 호주는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여성 폭력 심각성 순위 8위를 차지했다.



또다시 제2의 딕슨 사건, 여성안전 다시 도마에


딕슨 사건 이후 여성안전을 위한 대책들이 쏟아져 나왔으나 크게 진전된 것은 없다는 지적이다. 지난 1월 16일 멜버른의 라트로브 대학에 교환학생으로 온 팔레스타인 출신의 이스라엘인 아야 마사르웨(22)가 집으로 돌아가던 길에 무참히 살해당하는 일이 또 다시 발생했기 때문이다. 딕슨이 살해당한 지 7개월 만이다. 지난 5월에는 여성 노숙자 코트니 해론(25)이 한 남성에 의해 무참히 폭행당해 사망하는 사건도 있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호주 정부는 자국 내 여성폭력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2012년 '여성·어린이 대상 폭력사건 감경을 위한 국가대책(National Plan to Reduce Violence Against Women and their Children)'을 실시했다. 그러나 성과는 미미했다. 호주 시드니 대학교 루스 필립 부교수는 "여성보호센터 등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정책 서비스를 보면 전혀 나아진 것이 없다"며 "여성 안전이 증진됐다는 증거도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적했다.


케이트 젠킨스 호주 인권위원회 성차별담당 집행위원은 호주의 만성적인 여성폭력 문제에 대해 "여성 폭력 근절은 여성들이 평등하게 대우받는 것을 넘어, 사적·공적인 모든 분야에서 충분히 존중받고 가치를 인정받을 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다영 기자 kim.dayoung1@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2.08.06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