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부서의 콩가루 조직문화

[비즈]by 모비인사이드
CL&CO. 조명광 대표가 브런치에 게재한 글을 편집한 뒤 모비인사이드에서 한번 더 소개합니다.

회사에서 마케팅 관련 업무를 한다고 말했을 때 생기는 선입견들이 있다. 트렌드에 민감하고 창의적이며 자유로운 영혼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보다 자기의 삶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항상 변화를 꿈꾼다는 식의 이미지가 있다. 옷도 세련되게 입어야 할 것 같고 말투도 쿨해야 할 거 같다. 일정 부분 맞는 부분도 있고 아닌 부분도 있다. 마케팅 부서에 대한 선입견도 있다. 언급한 선입견을 가진 사람들이 근무하는 곳이다 보니 개성이 강한 사람들이 모여있어서 협업보다는 독자적인 플레이를 좋아하고 상명하복보다는 수평적 관계가 유지되는 부서라는 이미지들이다. 야근이 많은 부서라는 선입견은 회사에 따라 다른 듯하다. 이런 선입견들은 마케팅 부서가 하는 일 때문에 생기는 것들이다. 지원업무나 재무적 업무보다는 활동적이고 새로운 것을 접하고 시도해야 하고 항상 회사의 트렌드를 선도하는 역할을 하다 보니 생기는 것이리라. 이런 여러 가지 이미지들 때문에 콩가루라는 오명을 쓰기도 하는데, 마케팅 부서의 조직문화를 규정하는 것들은 무엇일까?

1. 회사의 마케팅적 성향

마케팅 부서의 콩가루 조직문화

변화에 동참하지 못하면 사라지고 마는 세상이다. 그 주기는 더욱 빨라졌다. 출처 : skccblog.tistory.com

그 회사가 어떤 일을 하는 회사냐에 따라 마케팅 부서의 성격도 달라진다. 제조업 베이스의 회사들은 생산 및 영업이 힘을 가지고 있어 마케팅 부서는 지원부서와 같은 역할을 부여받는다. 그에 반해 서비스가 기반인 회사들은 마케팅이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을 하는 부서로 위치하고 있어 회사 전체를 끌고 가는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물론 회사가 무엇을 하는 곳이건 상관없이 재무 부서의 힘이 셀 경우는 생산이고 마케팅이고 간에 제 역할들 제대로 해라라는 식의 명을 받기 때문에 딱히 어떤 성향이다라고 하기 어렵다. 생산 제조가 중심인 회사들은 전체적인 성향이 보수적이다 보니 마케팅 전략 구사도 보수적이기 마련이다. 서비스업 회사들은 고객의 변화에 민감해야 하고 트렌드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색깔을 바꿔야 해서 매우 빠르고 가벼운 성향을 보인다.

 

이런 회사의 성격에 따라 마케팅 부서의 성격도 좌지우지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마케팅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다 보니 제조업 베이스 회사들도 제품의 기획단계부터 마케팅 부서와의 협업을 통해 생산부터 판매 A/S까지 마케팅적 마인드를 적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경우도 많이 생기고 있다.

2. 부서장의 신념

마케팅 부서의 콩가루 조직문화

부서장의 리더십이 부서의 성패를 가른다. 출처 : www.criminalwatchdog.com

어느 부서나 마찬가지지만 부서장의 성격의 따라 부서의 성격이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 부서장이 마케팅 업무를 어떤 형태로 정의하느냐에 따라 지원적 마케팅 부서가 되기도 하고 창조적 마케팅 부서가 되기도 한다. 회사의 전반적인 마케팅 기조에 맞춰 업무를 창조적으로 진행하는 부서장은 부서원들에게도 같은 기류를 반영시킨다. 하지만 자신의 승진이나 안정적 기반이 중요한 부서장들은 행위 자체보다는 행위 이후의 결과가 어떤 것들이냐에 더 관심을 갖고 마케팅 부서의 업무들이 왜 시행되어야 하는지를 이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이 마케팅 행위들의 결과가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에만 관심을 갖는다. 그래서 서번트 리더십보다는 보스형 기질로 부서원들을 이끌어가고자 하는 경우가 많다.

3. 업무의 성격

마케팅 업무의 특성에 따라 마케팅 부서는 평가받을 수밖에 없다. 업무 자체가 고객과 만나는 지점이다 보니 고객들의 소리에 민감하고 돈을 벌어오는 부서가 아니라 쓰는 부서다 보니 내부에서도 그리 곱지 않은 시선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마케팅의 효과가 정량적으로 항상 정확하게 도출되는 것이 아니다 보니 마케터들은 신념으로 일하는 경우도 많다. 마케팅 업무가 총무나 인사 정산 재무 등 원인과 결과가 명확하고 업무 범위가 간결하다면 일하는 방식도 그에 따라서 간결해지니 좋으련만 마케팅처럼 지저분한 업무가 없다. 회사나 상품/서비스의 시작과 끝을 같이 하는 경우가 많아 할 일도 많고 잡일도 많다. 밖에서 보기엔 눈에 보이는 업무 위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려해 보이고 즐거워 보이지만 실상은 매우 중노동적 성격이 강하고 농업적 근면성도 필요로 하는 것이 마케팅 업무다.

4. 마케터의 자질

마케터들은 업무 매뉴얼에 있는 매뉴얼대로 업무를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일을 만들어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하는 일들은 어느 정도 세팅이 된 상태로 일을 하지만 그 일 자체 콘텐츠는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매뉴얼대로만 해서는 일이 이뤄지지 않는다. 마케터는 매일 새로운 세상을 만나는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열린 눈과 귀를 가지고 세상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어야 한다. 이런 성격을 가지지 못한 사람들이라면 마케터로서 일하기 스스로가 괴로울 것이다. 그래서 마케터들은 보수적 성향보다는 진보적 성향이 강하고 변화에 민감하고 항상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다. 대기업에서는 꼭 이런 성향이 아니라 할지라도 정해진 업무나 매뉴얼 또는 협력업체와 함께 일을 함으로써 정말 일로써 마케팅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대기업도 대체적으로 마케팅적 성향을 가진 직원들이 마케팅 부서를 지원하고 인사에서도 그런 자질을 부서 배치의 기본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런 여러 가지 성향과 성격과 자질들이 모여서 마케팅 부서의 조직문화를 이루는데 어떤 조직문화를 가져야 마케팅 부서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을까?

1. 오픈 마인드

마케팅 부서의 콩가루 조직문화

열린 마음은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없앤다. 출처 : quoteaddicts.com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은 마케팅 부서는 존재가치가 없다. 마케팅은 시장의 흐름을 선도하거나 최소한 따라가야 하는데, 새로운 것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도전하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는 마케팅 부서가 가장 멀리해야 하는 것이다. 오픈 마인드란 결국 변화에 대한 두려움이 적고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가진 것에 대해 선입견을 갖지 않는 것이다. 일을 해보지도 않고 이건 이렇다고 결론을 내리거나 새로운 것은 꼭 좀 지나서 검증이 돼야 한다는 식의 보수적 성향으로는 초스피드 시대에 어울리는 마케팅 부서가 될 수 없다.

2. 똑게 부서장과 똑부 부서원

마케팅 부서의 콩가루 조직문화

똑게와 똑부의 이상적인 궁합이 마케팅부서엔 최적이다. 출처 : 출처찾기 어려움

상사를 나누는 방법으로 많이 회자되는 내용이다. 똑똑함과 멍청함 그리고 부지런함과 게으름의 두 축으로 나누는데, 제일 좋은 성향의 상사가 똑게다. 똑똑하고 게을러야 부서의 방향을 잘 잡고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판단하고 업무범위를 지정하고 각자의 역할을 나누고 책임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좀 게을러야 부서원들이 각자의 역할을 스스로 찾아서 하고 존재감을 가질 수 있도록 기다려 주는 것이다. 부서원도 같이 게으르면 안 되고 부서원들은 똑똑하면서 부지런해야 한다. 그래야 실행 업무가 빈틈없이 돌아간다. 꼭 마케팅 부서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멍부 상사에 똑게 부서원이면 마케팅 부서는 망한다.

3.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IMF를 거치며 수직적 체계와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깨달았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화된 회사들도 여전히 수직적 커뮤니케이션에 익숙하다. 수직적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큰 문제는 문제를 걸러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의사결정 과정에 다양한 목소리가 담아지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이란 직급을 다 똑같이 만들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은 각자의 위치를 이해하고 배려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잡일이 많은 막내부터 고민이 많은 팀장까지 서로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하고 배려해주며 아이디어를 존중하고 자존감을 높여주는 커뮤니케이션이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이다.

4. 주경야독

회사에선 일하고 저녁에 술만 마시면 마케팅 부서는 망한다. 회사에선 열심히 일하고 저녁에는 트렌드를 찾아 고민해야 한다. 요즘 유행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는 무엇인지 새로운 영화나 핫한 콘텐츠들은 뭔지 찾아다니는 수고로움을 꾸준하게 해야 하는 부서다. 그리고 낮에는 서로 가지고 있는 정보들을 자주 공유해서 아이템이나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마케팅 부서는 노는 것이 배우는 것이 되어야 한다. 진짜로 노는 것이 아니라 인사이트를 찾는 일을 하는 것임을 이해받을 수 있도록 스스로 노력해줘야 하는 것이다.

5. 마니아 필

시대가 변하면서 평균이나 평범이라는 말은 식상하거나 재미없거나 같은 말이 되어버렸다. 평균이나 평범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움을 몰라서 하는 얘기는 아니다. 이제는 누구나 갖고 있는 정보나 아이템은 크게 각광받지 못하고 시장에서 선택되지 않는다. 매스 생산시대도 아니고 콘텐츠마저도 취향저격을 해줘야 하는 시대다. 이런 시대를 살기 위해선 두루두루 잘 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가지 분야에 마니아 필을 가진 분들이 있어야 좀 더 깊은 인사이트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 마케팅 부서원들이라면 한 가지 정도는 덕후가 되어야 한다.

6. 도전정신

매번 정답 없는 시장에 돌을 던지는 역할을 해야 하는 게 마케터들이다. 이 부서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기를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실패하더라도 그에 대한 책임을 지면 그만이다. 다만 그 책임지는 게 싫다면 마케팅 부서는 이름을 바꿔야 한다. 그 선봉에 똑게 리더가 필요하다.

마케팅 부서의 콩가루 조직문화

마케팅 부서에 필요한 책들. 출처 : www.hollinden.com

콩가루는 떡이 서로 붙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콩가루는 밀가루와 다르게 글루텐 성분이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찰기가 없다. 이것이 콩가루의 성격인데 다르게 해석하면 둘러붙지 않는 쿨함을 가지고 있고 자신의 색깔과 개성을 잃지 않는다. 마케팅 부서는 대부분 회사에서 선망의 조직이다. 다만 선망의 대상은 곧 질시의 대상이기도 하다. 마케팅 부서가 보기엔 화려해 보이지만 실행 과정엔 많은 장애물과 눈에 보이지 않는 잡무가 많다. 이를 이해해줄 사람도 없다. 부서 내에서만 서로 위로할 수밖에 없다. 마케팅 부서의 조직문화는 콩가루 같아 보이지만 내부에서는 끈적임이 많은 부서가 되어야 한다. 회사의 조직문화가 더 커 보이지만 실제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부서의 조직문화가 어떠하냐에 따라 일의 성패와 성과가 갈라진다. 언급한 내용들은 실제로 현장에서 항상 정답처럼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당연하다. 환경이 항상 다르기 때문이다. 다만 마케팅 부서의 조직문화의 근간은 세상을 보는 시각을 미리 정해두지 않는 것이다. 그것이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도전할 수 있는 기회와 용기를 준다. 콩가로도 콩가루 나름이다.

 

By 조명광

2017.08.31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모바일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 스타트업 그리고 현장을 분석, 전달하는 글로벌 미디어
채널명
모비인사이드
소개글
모바일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 스타트업 그리고 현장을 분석, 전달하는 글로벌 미디어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