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가난할수록 멍청해지더라

[라이프]by ㅍㅍㅅㅅ

2013년에 소름 돋을 정도로 터부시되던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하버드, 프린스턴 등의 교수들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가난할수록 멍청해진다’는 것이다. 하아. 이 연구 결과를 본 사람들은 즉각적인 반발심을 느꼈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론 절박한 시기에 멍청한 결정을 내렸던 수많은 상황이 주마등처럼 눈앞에 스쳐 지나가 고개를 끄덕이고 만다.

당장 한두 푼이 없어서, 내일의 서너 푼을 마다하는 것이 사람이다. 돈뿐 아니라 뭔가 간절하고 급박할 때 우리는 멍청한 행동을 하고 만다. 인간 드라마의 대부분은 이런 절박한 상황에 몰려서 쫓기듯 하는 행동들의 집합 아니겠는가. 남 얘기가 아니다. 이 연구에 의하면 사람은 가난하고 경제적으로 절박한 순간에 IQ가 13 정도 하락한다고 한다. 하룻밤을 새우거나 술에 만취한 수준이다.

 

이 연구는 생각만큼 기분 나쁜 (가난한 자들을 두 번 죽이는) 연구는 아니다. 오히려 매우 진보적인 연구다. 멍청해서 가난해진 것이 아니라, 그 누구라도 가난하고 절박한 순간에는 의사결정에 투여할 정신적 자원이 부족해진다는 지극히 당연한 현상을 밝혀냈다. 고로 가난이 개인적 결함에 의해서만 발생한다는 경멸적 사고에 주요한 반박이 된다. 한 집단이 어쩔 수 없이 가난에 빠진 경우 그로 인해 더 가난해질 수밖에 없는 악순환을 분명하게 짚은 것이다.

 

반면 멍청해지기 싫으면 절박한 상황을 의식적으로 피해야 한다는 차디찬 팩트 폭행으로서의 가치도 충분히 있다. 모호한 주장이 아니라 팩트여서 차라리 다행이다. 팩트인 것을 아는 이상 우리는 이를 우회할 방법도 생각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에서 재밌었던 점은, 가난한 사람과 부자를 비교한 것이 아니라, 똑같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가난한 시절과 덜 가난한 시절을 비교한 것이다. 예컨대 인도 농부들이 수확 직전의 ‘보릿고개’ 시절과 수확 직후의 ‘넉넉한 시절’에 개별적으로 IQ 검사를 진행했다. 특히 재정적으로 가난할 때 사람들은 눈앞의 굶주림을 해결하기 위해 모든 집중력을 투입한다. 연구에서는 ‘정신의 대역폭’을 모두 당면한 문제에 활용해 기타 여건에 대한 인지 능력과 논리 능력, 순발력 등이 확연하게 떨어지게 된다고 주장한다.

 

누구나 발등에 불이 떨어지면 다른 것을 생각할 틈이 없다. ‘다른 것’ 중에는 내일의 먹거리, 다음 달의 먹거리, 내년의 먹거리를 마련할 ‘계획성’이 포함된다. 오늘 배가 고프면, 내 모든 자산과 신용을 다 써서라도 오늘을 생존하기 위해 집중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장기적 손해를 보기도 한다. 빚에 시달리는 사람 중에 특히 급전이 필요한 사람은 도무지 상식으로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을 하기도 한다. 바로 이런 점이 ‘멍청해진다’는 부분이다. 가난하면 더 이상 냉정한 자아를 유지하기 어렵다. IQ 13만큼 가난에 취하기 쉽다.

돈이 없는 사람 중에 돈이 아닌 다른 것을 내세워 스스로 자랑하는 사람이 많다. 돈은 없지만 ‘가오’가 있다거나, 양심이 있다거나, 지혜가 있다거나, 명예가 있다고 얘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것들은 돈이 없다고 더 개선되는 특성들은 아니다. 오히려 돈이 없으면 그것들도 유지하기 힘들다. 특히 지혜는 유지하기 힘들지 않겠는가. 여러분이 지혜를 추구한다면, 반드시 재정적 가난을 피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가난과 부에 대한 감정적 갈등과 주장을 매우 쉽게 정리해준다. 가난은 뇌에 나쁘다. ‘가난을 무시하지 마라’고 악을 쓸 필요도 없고, ‘가난은 그 자체로 죄’라고 경멸할 필요도 없다. 누구나 가난에 몰리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며, 한번 가난에 몰리면 더욱 가난의 악순환에 빠질 개연성이 높다는 점을 냉정하게 인식해야 한다. 사회는 이를 도와야 하고 정부는 이를 직시해야 한다. 무엇보다 개개인이 이 사실에 대해 깊은 자각을 하고 스스로를 구하고자 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주위 사람도 구하고자 하는 따듯한 노력을 해야 하지 않을까. 주위 사람 대다수가 가난해져서 더 멍청해지는 사회에 산다면 그것은 얼마나 큰 불행인가. 동정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부를 축적하는 행위를 더 양성화해야 하지 않겠는가. 돈이 뭐 대단한가 외치지 마라. 돈을 벌고 아끼고 축적하는 것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매우 중요한 책임이자 권리임을 온몸으로 받아들이자. 조금의 갈등도 남기지 말자.

필자 천영록 (블로그, 페이스북)

두 아이의 아빠이자, 핀테크 스타트업 (주)두물머리를 창업한 기업가 천영록입니다. 선물옵션 트레이더 출신이라 투자나 금융에 관한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합니다. 두물머리는 온라인으로 투자를 안내해드리는 ‘불리오’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죽기 전에 전 국민의 평균 투자 수익률을 5% 이상 높일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모두가 조금이라도 더 행복해질 것이고, 사회가 더 건강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돈은 우리 모두에게 중요하니까요.

2019.03.28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ppss.kr
채널명
ㅍㅍㅅㅅ
소개글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ppss.kr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