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자걸음이 아름답다?

[컬처]by 예술의전당

고등학생 시절, 한 친구에게 쪽지를 받은 적이 있다. 친구는 친절하게 그림까지 그려가며 다음과 같이 적었다. “걸음 똑바로, 이렇게 말고 이렇게.” 당시 발레 레슨을 받으면서 자주 ‘팔자걸음’으로 걷는 내 모습이 그 친 구의 눈에는 영 이상해 보였던 모양이다. 그런 말을 들었다고 내가 팔자 걸음을 고쳤을까. 절대 아니다. 반대로 더더욱 팔자걸음 걷기에 사력을 다했다. 왜일까?

해부학을 거스르는 춤, 발레

혹시 발레 무용수들의 걸음걸이가 팔자걸음이라는 사실을 아는지. 팔자걸음이라고 표현은 했지만, 발레에서는 발끝이 양옆 바깥쪽을 향한 자세를 ‘턴 아웃turn-out’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단순히 발끝만 바깥쪽을 향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 다리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발끝까지 완벽히 바깥을 향해야 진정한 턴 아웃이다. 그래서 정확하게 턴 아웃을 하면 허벅지 앞면과 무릎이 모두 옆을 바라보게 되고 양 발끝은 180도로 벌어지게 된다.

 

실제로 턴 아웃을 시도하면 똑바로 서 있기조차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엉덩이가 뒤로 빠지고 온몸이 후들거릴 것이다. 서 있는 것만으로도 진땀 나는데, 발레 무용수들은 어떻게 이런 자세로 춤까지 추는 것일까? 다리가 시작되는 지점인 골반과 넓적다리를 잇는 부분을 ‘고관절’이라고 부르는데, 이 부분을 완벽하게 옆으로 뒤틀어 턴 아웃을 완성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무용수들은 보통 ‘고관절이 열린다’고 표현한다. 그래서 의사들은 발레를 가리켜 ‘해부학을 거스르고 거역하는 춤’이라고 말한다. 지극히 정상적인 몸을 비정상으로 만드는데도 모든 무용수는 매 순간 완벽하게 턴 아웃 하기 위해 애를 쓴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게 무대에서 예뻐 보이니까.

선線의 예술을 완성하는 턴 아웃

발레 공연에서 관객을 사로잡는 요소 중 하나는 무용수의 몸이다. 똑같이 근육질의 몸매인데도 웨이트 트레이닝 선수의 몸과 발레 무용수의 몸이 다르다는 것을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왜 그럴까.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만들어진 근육은 덩어리가 크고 우람하지만, 발레로 다져진 그것은 잔근육이기 때문이다. 관객이 발레 무용수의 몸에 매료되는 이유는 이 섬세한 근육들의 아름다움 때문이다. 여기서도 턴 아웃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가 일상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몸 부위가 있다. 바로 허벅지 안쪽 근육이다. 평소에 허벅지 안쪽 근육을 움직일 일이 얼마나 있겠으며 또, 다른 사람에게 드러내 보일 일이 뭐가 있을까. 그런데 발레 무용수들에게는 이 부위가 아주 중요하다. 기껏 고관절을 뒤틀어 허벅지 안쪽 근육을 앞으로 향하게 만들었으니 최대한 이 부분을 활용해야 하지 않겠는가. 턴 아웃 상태로 훈련하면 허벅지 안쪽에 실처럼 가늘고 세로로 긴 근육이 생기는데, 이 근육의 선들은 종아리와 발가락 끝으로 이어진다. 이 상태로 무대에 오르면 어떻게 보일까. 빙고! 세로로 길게 만들어진 근육 덕분에 다리가 더 길어보인다. 게다가 허벅지는 전면에서 보이는 면적보다 안쪽 근육 부분이 더 넓다. 오랜 세월 훈련으로 농익은 안쪽 근육의 섬세하고 아름다운 모습은 턴 아웃 상태여야 관객들에게 더 많이 보여줄 수 있다. 선의 예술인 발레의 아름다움은 턴 아웃의 고통에서 시작된다.

팔자걸음이 아름답다?

무릎과 발등이 옆을 바라보고 고관절이 열리면 완벽한 턴 아웃 상태!

팔자걸음이 아름답다?

턴 아웃을 하면 길고 섬세하게 다듬어진 근육들이 더 잘보여요

턴 아웃의 교과서, 개구리

발레를 전공하려면 어린 나이에 시작해야 하는 이유도 유연성이 아니라 턴 아웃에 있다. 뼈가 굳어지기 전에 고관절을 열어야 하므로. 혹시 내 몸이 턴 아웃에 최적화되었는지 궁금하다면? 확인할 방법이 하나 있다. 개구리가 되어보라. 엎드린 상태로 머리는 들고, 무릎을 구부려서 양 발바닥이 서로 만나게 했을 때 배와 허벅지 안쪽 이 들뜨는 곳 없이 땅바닥에 착 달라붙어 있다면 오케이. 알고 보면 개구리야말로 발레를 하기 딱 좋은 몸이다. 발레를 배우고 싶은데 개구리 자세를 해보니 턴 아웃이 잘 되지 않는 몸이란 걸 깨달았다고 포기하지는 마시라. 자신의 고관절이 열리는 범위 안에서 즐겁게 하면 되니까. 그리고 발레 무용수가 되기에 적합한 몸은 아닐지 몰라도, 당신의 몸은 해부학적으로 지극히 ‘정상’이니까.

 

턴 아웃, 인류가 직립보행을 한 이래로 이런 걸음을 걷는 일은 일찍이 없었을 것이다. 발레 무용수들은 그런 의미에서 신인류다. 무대에서 가장 아름다운 선을 만들기 위해 오늘도 해부학을 거스른 채 ‘뼈를 뒤트는’ 고통을 견디는 발레 무용수들.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박수를 받아 마땅하다. 당신들은 역시 무대 위에서 아름다울 자격 이 있다.

 

글 이단비 촬영 협조 박슬기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연재 필자 소개

KBS를 시작으로 SBS, MBC를 거쳐 다양한 매체에서 방송작가로 활동 중이다. 발레를 비롯한 공연예술 다큐멘터리 제작과 집필에 매진하고 있으며, 발레와 무용 칼럼을 쓰면서 강연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위 글은 월간 「예술의전당과 함께 Beautiful Life!」 2017년 8월호에서 전재한 기사입니다.

2017.08.03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