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사용하시는 브라우저를 '카카오톡'이 지원하지 않습니다.
카카오스토리 공유
주소 복사하기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체 메뉴
홈
라이프
푸드
여행
컬처
테크
비즈
이슈
연예
최근 읽은 글
채널
'소행성'
검색결과
60
개의 허브글이 있습니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허브글
60
정확도순
최신순
전체
홈
라이프
푸드
여행
컬처
테크
비즈
이슈
연예
소행성
직접 탐사시대 연다
2023년
소행성
샘플 채취해 돌아올 오시리스-렉스 ▲조만간 우주비행사가 직접
소행성
을 탐험하는 시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사진제공=NASA]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지구에 가깝게 접근하면서 스쳐가는
소행성
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이른바 '소행성대(
Asteroid
Belt)'는 럭비공...
by
아시아경제
|
2017.10.10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으로
소행성
감시
지구위협
소행성
사전 포착 위해 NASA, ‘네오캠 프로젝트’ 추진 국내 연구진도 탐사 기초연구 착수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구에 위협이 될 만한 지구근접천체를 감시하기 위해 적외선 우주망원경 ‘네오캠(NEOCam)’을 추진할 것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NASA 제공 7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당황시킨 사건...
by
동아일보
|
2019.10.13
지구에서 불과 3000㎞…역대 최근접
소행성
, 지나간 뒤 발견
지구에서 3000km 떨어진 상공을 스쳐지나간
소행성
2020QG의 이미지(붉은 동그라미) 관측역사상 지구와 가장 가깝게 스쳐 지나간
소행성
의 존재가 뒤늦게 확인됐다. 미국 비즈니스인사이더 등 해외 매체의 18일 보도에 따르면 지난 16일(현지시간), 지구에서 약 3000㎞ 거리를 두고
소행성
‘2020 QG’가 스쳐...
by
서울신문
|
2020.08.19
‘지구를 지켜라’…
소행성
디모포스에 우주선 충돌시키는 이유
소행성
디디모스와 디모포스 그리고 우주선 DART의 상상도 지구를 종말로 몰고가는
소행성
충돌은 할리우드 영화 속에서만 등장하는 공상과학이 아닌 현실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 파악해 공개한 ‘잠재적 위험
소행성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s·PHAs)만 1400개가 넘기 때문으로 이중 하나만 지...
by
서울신문
|
2020.06.28
시속 4만㎞ 날아오는
소행성
'지구 충돌' 가능성 따져보니
[팩트체크]NASA "거대
소행성
지구로 접근 중"…최접근거리 600만km나 떨어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구로 거대한
소행성
이 날아오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지구 충돌' 가능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주에서 날아든 불청객이 정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영...
by
머니투데이
|
2020.05.20
외계에서 온 ‘인터스텔라
소행성
’ 첫 포착
[서울신문 나우뉴스] 사진=ESO/M. Kornmesser(그래픽 이미지) 우리가 사는 태양계 밖 ‘외계에서 온 손님’의 '민낯'이 사상 처음으로 포착됐다. 최근 미국 하와이 대학 등 공동연구팀은 마치 시가처럼 길쭉하게 생긴 특이한 외형의
소행성
'1I/2017 U1'의 관측 결과를 세계적인 과학지 '네이처' 20일자에 발...
by
서울신문
|
2017.11.22
지구접근
소행성
…과학자에겐 '기쁨'
충돌설 등 회의적 분위기 아닌 '기쁨과 환희'의 순간 ▲플로렌스가 지구에 접근하면서 우주과학자들은
소행성
연구 준비에 들어갔다.[사진제공=NASA]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또 다시 지구에
소행성
이 접근합니다. 이번에는 제법 큽니다. 이
소행성
의 지름은 4.4㎞에 이릅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18...
by
아시아경제
|
2017.08.18
거대
소행성
베스타, 지구 접근…7월 중순 맨눈 관찰 가능
[서울신문 나우뉴스]
소행성
베스타(사진=NASA) 우리 태양계 주위를 도는 거대한
소행성
이 지상에서 맨눈으로도 관찰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지구로부터 약 1억 8800만㎞ 떨어진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해 있는 거대
소행성
베스타(Vesta, 또는 4 베스타)는 최근 궤...
by
서울신문
|
2018.07.01
日 탐사선, 지구에서 2억8000만km 떨어진
소행성
도착
일본 자체 개발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 /사진=JAXA 일본의 무인 소행선 탐사선 '하야부사2'가 3년간의 우주 항해 끝에 목표한
소행성
'류구'에 도착했다고 산케이신문 등 일본 언론이 27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발표를 인용해 보도했다. 하야부사2는 지구에서 약 2억8000만km 떨어진 화성...
by
파이낸셜뉴스
|
2018.06.28
2m 크기
소행성
지구 충돌 8시간 전에 예측
3번째…대기권 진입 중 소멸
소행성
상상도 [AF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2m 크기의 바위급
소행성
이 지난 2일 밤(현지시간) 아프리카 남부 보츠와나에 떨어졌으나 땅에 충돌하기 전 소멸했다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밝혔다. 5일 외신 등에 따르면 '2018 LA'로 명명된 이
소행성
은 달 ...
by
연합뉴스
|
2018.06.06
중형
소행성
, 발견 몇 시간 만에 가까스로 지구 스쳤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지구와
소행성
의 충돌 (사진=123rf.com) 충돌할 경우 도시 하나 정도는 충분히 날려버릴 만한 위력을 가진
소행성
이 가까스로 지구를 스쳐 지나갔다. 천문학자들은 이
소행성
이 지구에 근접했다는 사실을 불과 몇 시간 전에야 알아차렸다. 미국항공우주국(이하 NASA)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by
서울신문
|
2018.04.22
대왕고래보다 큰
소행성
, 발견 5일 만에 지구 스쳐 지나가
[서울신문 나우뉴스] 불과 며칠 전 대왕고래보다 큰
소행성
이 지구를 스쳐 지나갔다. ‘2018 CB’로 명명된 이
소행성
은 한국 시간으로 지난 9일 오후 1시 30분쯤, 지구에서 약 6만 4500㎞밖에 떨어지지 않은 거리에 있었다. 이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인 약 38만 4400㎞의 5분의 1 수준. 미국항공우주국(NASA...
by
서울신문
|
2018.02.15
외계서 온 첫 ‘인터스텔라
소행성
’…사실은 우주선?
마치 시가처럼 길쭉하게 생긴 특이한 외형을 가진 이
소행성
의 이름은 ‘1I/2017 U1’이다. 하와이말로 '오무아무아'(Oumuamua·제일 먼저 온 메신저라는 뜻)라는 별칭이 붙었다. 지름이 채 400m도 되지 않는 1I/2017 U1은 베가(Vega)성 방향에서 시속 9만 2000㎞의 빠른 속도로 날아와 태양계를 곡선을 그리며...
by
서울신문
|
2017.12.13
스티븐 호킹, "30년 안에 지구 떠나야…
소행성
충돌 위험은 소설 아니다"
부렸던 지구멸망설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BBC, 텔레그래프 등 외신에 따르면, 호킹 박사는 지난 20일 노르웨이에서 열린 천체우주과학축제인 스타무스 페스티벌에서 "
소행성
충돌과 인구 증가, 기후변화 등으로 지구가 사람이 살기 어려울 정도로 파괴되는 건 시간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소행성
충돌에...
by
아시아경제
|
2017.06.23
하루에 떨어지는 별똥별만 100t…운석 주우면 '로또'일까?
이상이라는 점 때문에 ‘하늘의 로또’로도 불린다. 운석을 전문적으로 찾는 사냥꾼(Meteorite Hunter)과 운석만 취급하는 딜러까지 있을 정도다. 이 사실이 과장돼 ‘운석 하나만 찾으면 인생 한 방’이라는 소문까지 퍼졌다. 정말 ‘운석=로또’일까.
소행성
을 비롯한 우주 물체의 위협은 어느 정도일까. Q&A ...
by
중앙일보
|
2020.09.26
우주 경쟁 치열했던 올해 과학계, 코로나 연구에 가려진 성과들
네이처, 올해 코로나 외 다른 과학 사건들 선정 UAE·中·美, 화성 탐사선 연이어 발사… 2월 궤도 진입 구글 딥마인드, 세계 최고 성능 ‘단백질 구조 예측’ AI 개발 日
소행성
토양 채취 후 지구 귀환·美 상온 초전도체 구현 차별 저항 ‘과기 셧다운’·탄소중립·바이든 당선 등 사건도 지난 7월 화성으로 발사된...
by
조선비즈
|
2020.12.22
당장 회사를 때려치우고 싶은 당신에게 권하는 책
카피라이터 출신 작가 편성준와 아내 윤혜자씨. 20년 넘게 카피라이터로 일했던 편씨는 회사를 그만 두고 놀면서 『부부가 둘 다 놀고 있습니다』 라는 책을 냈다. 부부가 '성북동
소행성
'이라 이름 지은 한옥에서 포즈를 취했다. 김상선 기자 “손에 쥔 공을 놓아야 더 큰 공을 잡을 수 있는 법이죠.” 『부...
by
중앙일보
|
2020.12.09
강력한 X선 방출… 3만 광년 거리 블랙홀의 ‘식사 순간’
연구진이 지구에서 약 3만 광년 거리에 있는 새로운 블랙홀의 X선 방출을 포착했다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최근 밝혔다. NASA에 따르면, 이들 연구자는 NASA의
소행성
연구 우주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에 탑재된 X선 관측장비 렉시스(REXIS·Regolith X-ray Imaging Spectrometer)로
소행성
‘...
by
서울신문
|
2020.03.07
인류 멸종시킬 재앙의 종류는?
있습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규모는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지구 전체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커다란 규모의 재앙은 없었지만 앞으로도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약 6500만년 전
소행성
충돌로 공룡이 멸종했던 것처...
by
아시아경제
|
2019.12.04
반대로 돌고, 삐딱하게 돌고… 태양계의 이단아들
저널에 "다른 행성과 정반대 방향으로 태양을 공전하는
소행성
(小行星) '2015 BZ509'가 태양계가 형성되던 시기에 유입된 외계 천체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소행성
은 태양 주변을 긴 타원 궤도를 따라 도는 작은 천체로, 45억년 전 태양계가 형성될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목성과 화성 사이에 수많은...
by
조선비즈
|
2018.06.04
인사이트호 착륙은 "시작"…우주탐사 '빅이벤트' 줄줄이 이어져
소유스 발사·
소행성
탐사·태양계 끝 천체 근접 비행·민간 유인 우주선 시험비행 등 연말연시 우주탐사 '빅이벤트'를 장식할 오시리스-렉스와 뉴허라이즌스호 베누에 접근한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왼쪽)와 울티마-툴레에 접근한 뉴허라이즌스호 상상도 [출처: NASA/고다드/JHUAPL/SwRI/애리조나대] (...
by
연합뉴스
|
2018.11.27
2021년 우주경쟁 본격화…한국형 발사체는?
미 나사의 화성탐사 로버 퍼시비어런스. [사진출처:NASA] 지난해(2020년)는 우주탐사에서 굵직한 성과가 쏟아진 한 해였습니다. 일본과 중국은 각각
소행성
'류구'와 달에서 토양을 가져왔고, 민간 업체 스페이스X는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하며 민간 우주여행을 예고했습니다. 코로나19의 위협을 뚫고 올해...
by
KBS
|
2021.01.05
토성의 달 20개 새로 발견…목성보다 많아져
위성들이 적어도 3개의 큰 천체가 부서진 잔해에서 형성됐다고 생각하고 있다. 큰 천체들이 달이나
소행성
같은 외부 천체와의 충돌에 의해 부서졌다. 새로 발견된 역행 위성 가운데 하나는 가장 외곽을 돌고 있다. 셰퍼드는 “위성들은 토성 궤도와 상당히 기울어져 있고 또 멀리 떨어져 있어 이것들이 토성...
by
한겨레
|
2019.10.11
공룡 멸종 안했으면 '반려공룡' 유행?
과학자들은 6600만년 전 몇 분만 일찍
소행성
이 지구와 충돌했다면 공룡뿐 아니라 다른 생물종 일부도 살아남을 수 있었고 진화를 통해 일부 공룡은 '반려공룡'으로 인간과 함께 생활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공룡멸종은 약 6600만년 전 폭 14㎞의
소행성
이 지구에 충돌, 150...
by
아시아경제
|
2019.09.03
미스터리 화성의 달 ‘포보스’ 비밀 풀렸다
내놓았다. 당초 학계에서는 포보스가 원래는 소행성일 가능성이 높으며, 최초 태양계를 떠돌던
소행성
이 화성의 중력에 포획돼 달이 됐다는 가설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사우스웨스트연구소 측은 유체역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해 초기 화성과 왜소행성의 충돌 과정을 시험했고, 특히 포보스와 데이...
by
서울신문
|
2018.04.29
외계인 찾던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 결국 역사속으로…
패인 지형에 지어진다. 2016년 중국이 지름 500m의 전파망원경 톈옌(天眼)을 건설할 때까지 세계 최대 단일 망원경이었던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오랫동안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학자들은 이곳에서 외계 행성을 연구했으며 지구로 향하는
소행성
을 추적해왔다. 1970년대 미국 전...
by
매일경제
|
2020.12.04
토성의 새로 발견된 위성들…‘작명’에도 규칙과 절차가 있다
위성들 급격히 증가 2014년부터 1㎞보다 작은 크기일 땐 이름 안 붙여 토성의 위성이 또 발견됐다.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20개의 위성이 미국 카네기연구소의 스콧 셰퍼드(Scott Sheppard)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에 의해 발견됐다고 국제천문연맹 산하
소행성
센터가 발표했다. 이번 발견으로 토성의 위성은...
by
경향신문
|
2019.10.14
우주물체의 습격
10㎝ 이상 크기의 우주파편과 부딪치면 위성은 파괴됩니다. 우주물체는 과연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의 2016년 자료를 보면 우주물체의 종류에는 인공위성,
소행성
, 혜성, 유성체, 우주 잔해물 등으로 구분됩니다. 지름 10㎝ 이상인 우주물체는 약 2만2000개. 지름 1㎝ 이상은 무려...
by
아시아경제
|
2017.11.08
동영상
[영상]"'쾅' 굉음 후 순간 달이 떨어지는 줄"…별똥별 목격담 잇따라
확인 중"이라며 "SNS상에서 보이는 영상과 사진 상으로는 종종 관측되는 별똥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도가 낮은 상태에서 관측됐기 때문에 불에 타는 '파이어볼'(화구)처럼 보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별똥별(유성우)은 우주를 떠돌던 혜성이나
소행성
조각들이 지구 대기로 빨려 들어 떨...
by
한국일보
|
2020.09.23
인류를 화성에…NASA 차세대 우주선 ‘오리온’ 테스트 현장 공개
우주선은 과거 우주왕복선이 사고 발생 시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없었던 단점을 완벽히 극복한 다목적 유인 우주선으로, 인류를 화성과
소행성
등 먼 우주에 보내는 것이 목표다. 오리온 우주선은 승무원 모듈과 서비스 모듈그리고 비상탈출 시스템으로 이뤄져 있다. 오리온에는 우주비행사들이 탑승하는 ‘승...
by
서울신문
|
2018.11.09
추천채널
드링킷
게시글
111
밸류챔피언
게시글
10
프레시코드
게시글
52
연관검색어
#우주
#과학
#지구
#천체
#NASA
#위성
#화성
#행성
#나사
#탐사
‘소행성’
통합검색하기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