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어스를 비롯해 공간 정보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로드뷰와 같은 외부공간정보는 글로벌 기업과 대형 포탈들이 오래 전에 장악했지만 건물 내부정보는 아직 미완의 영역이다. 시간과 인력, 비용이 엄청나게 필요한 작업 때문이기도 하다.
허드(HUD)는 자체 기술을 이용하여 이러한 실내 공간정보 DB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콘텐츠와 가상현실(VR) 플랫폼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한 마디로 ‘가상현실의 일상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허드(HUD)가 그리는 미래는 몇 번의 클릭으로 언제 어디서나 실내 공간 정보를 3차원으로 확인하고 체험할 수 있는 것이다. 놀라운 것은 이것이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빠르면 올해 안에 서울시 및 수도권 아파트와 주요 빌딩의 실내공간을 내 책상에 앉아서 3D로 확인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HUD의 기술은 생활 편의 측면뿐 아니라 구난활동에도 적용할 수 있다. 화재나 긴급 재난이 발생했을 때 구조대원이 실내 구조를 2차원이 아닌 3차원 가상현실 화면으로 미리 확인해 보고 들어갈 수도 있다. 실제로 세월호 사고 당시 잠수부들이 선체 내부를 파악하지 못해 애로를 겪을 때 허드가 세월호 도면을 3D로 재현해냄으로써 선실 내부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구조에 임할 수 있었다. 최근 대통령이 스타트업 지원공간인 마루180을 방문한 자리에서도 이 부분에서 호평을 받았다. 허드는 재난 상황을 대비한 실내 공간정보 인프라 구축에도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출처 : HUD 제공자료 |
“전 세계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두 가지 공통어는 수학과 도면입니다. 건축이든 기계든 도면만 있으면 해석이 가능합니다.”
그나마 오토데스크의 홈스타일러가 비전문가들이 사용하기 적합한데, 그럼에도 도면을 보고 치수를 입력하여 벽을 일일이 그려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 하진우 대표 |
“가상현실은 영화 속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HUD는 우리 어머니도 쉽고 재미있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왼쪽부터 하진우 대표, 김덕중 COO, 이경우 CTO |
HUD의 또 다른 강점은 끈끈한 팀웍이다. 하 대표를 비롯한 세 명의 멤버는 모두 같은 공군 부대에서 만난 건축가 출신 프로그래머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공군 장교로 극한 훈련을 받으며 뜻을 모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타트업 창업에 도전했다.
HUD는 최근 기술력을 인정받아 중소기업청의 TIPS프로그램에도 선정되고 1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ICT분야 초기기업 투자 전문 벤처캐피털 캡스톤파트너스와 글로벌 스타트업 초기 투자기관인 스파크랩스 글로벌 벤처스, 금융권 투자전문가들이 모인 머스크엔젤클럽이 참여했다. 법인 설립 반년만의 성과다.
하진우 대표는 “다가올 가상현실 소통 시대에 허드가 일조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학 kimjh@venturesquar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