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과 레트로, 힙을 잇는 시간의 경주
경주에서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뉴 헤리티지 여행을 경험해보세요. 오아르 미술관과 보우하사 카페, 신라천년서고 등에서 고대 신라의 문화와 현대 예술을 동시에 즐길 수 있습니다. 경주의 매력을 느끼며 다양한 전시와 독서 공간에서 특별한 시간을 보내보세요.
'천년고도 경주'의 전통 위에 젊은 세대의 감각 한 스푼을 더했다. 일명 뉴 헤리티지(New Heritage) 경주. 복고주의로 불리는 레트로가 복원하거나 계승하는데 머물렀다면, 뉴헤리티지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재창조하는 데 초점을 둔다. 즉 전통적 문화 요소를 재해석해 새로운 소비문화에 접목시키는 것. 찬란한 문화를 꽃피워 온 경주에서 요즘 사람들의 요즘 경주 여행법을 만나보자.
오아르미술관
마총을 바라보는 오아르미술관 전경 |
오아르미술관의 통창은 왕릉을 한폭의 수묵화로 만드는 또다른 캔버스다 |
고즈넉한 고분을 통창으로 바라보는 ‘오아르 미술관’이 개관 6개월 만에 경주의 명소가 됐다. 지난 4월 오픈 후 누적 관람객 18만 명, 그러니까 한 달에 2만 명이 다녀간 셈이다. 폭 29m, 높이 12m 통유리창이 하나의 대형 캔버스다. 들어서면 와락 안기는 신라 왕릉이 겹겹이 포개져 한 폭의 산수화 같다.
고분은 배경이자 또 다른 작품 감상 포인트다. |
과거 모텔이었던 오아르미술관은 현재 왕릉뷰를 지닌 경주명소가 되고 있다. |
노서동 고분군을 마주한 미술관은 천년 고분과 현대 미술이 절묘하게 공존한다. 경주 출신 김문호 관장이 20여 년간 수집한 600여 점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열었다. 무엇보다 유현준 건축가가 설계를 맡아, 공간에 숨을 불어넣었다. 화려하고 튀는 기교를 부린 첫 설계를 뒤집고, 주인공을 ‘고분’으로 둔 심플한 디자인으로 낙점했다. 결론적으로 신의 한 수가 됐다.
3층 전망대에서 바라본 고분군 전경 |
마총에서 바라보는 오아르미술관 |
오아르는 ‘오늘 만나는 아름다움’의 줄임말이다. 피카소·모네 등 이름만 들으면 알 만한 작품은 없다. 그러나 경주다운 곳에서 경주답게 전시를 펼친다. 지하 1층 전시실, 1층 카페 및 전시실, 2층 메인 전시실, 3층 전망대로 이뤄졌다. 지하를 제외하고 미술관에선 고분군이 프레임에 잡힌다. 계절마다 명암이 달라지는데 초록에서 황금빛을 입은 가을의 고분은 APEC을 앞두고 정갈하게 매무새를 다듬은 모양이다.
2층 전시관에서 만난 작품 |
2층 전시관은 빛에 따라 다른 느낌의 작품 감상이 가능하다. |
2층 전시실로 오르면 환호가 터진다. 1층과는 또 다른 시선이다. 지난 18일 K-아트를 세계에 선보이는 소장품 기획전 ‘잠시 더 행복하다’가 개막했다. 이번 전시는 미술관이 소장한 회화와 영상 작품 49점을 한데 모았다. 이우환·박서보·하종현 등 한국 단색화 1세대를 비롯해, 유럽과 아시아 동시대 작가들의 실험적 작업이 나란히 소개된다.
2층 전시관에서 전망대로 향하는 통로 계단 |
3층 전망대에 오르면 수평높이로 고분과 경주시가지의 풍경이 한 눈에 들어온다. |
2층 전시실에서 다락에 올라가듯 3층 전망대에 닿으면 발 아래로 고분군이 펼쳐진다. 고분을 바라보는 시선이 ‘올려다봄, 지긋이 바라봄, 내려다봄’ 세 가지 모두 가능한 곳이 오아르 미술관이다. 깨끗하도록 맑은 날 한옥 지구인 황리단길의 풍경까지 감상할 수 있는 포인트이다.
100년 된 적산가옥의 무지갯빛 기억, 철도관사마을
구 경주역은 폐역이 됐지만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다. |
폐역이 된 구 경주역사 인근 황오동은 관사마을로 여전히 기차와 함께 살아간다. |
황오동 관사마을 곳곳에는 과거 경주역의 영화를 설명하는 이야기로 가득하다. |
머리에 기와를 얹어 애를 쓴다고 모두 경주다운 건 아닐 터. 과거 신라인의 삶의 부스러기가 발견되는 그 땅 위에서 뿌리를 흔들지 않은 채 가지를 다듬는 뉴 헤리티지를 만난다. 바로 황오동의 철도관사마을이다.
신경주역이 생기기 전 경주를 찾는 모든 이가 첫 발을 내디딘 곳이 황오동에 위치한 경주역이었다. 지금은 폐역이 되어 경주문화관 1918로 사람들을 맞이한다. 철거 후 새로 짓는 편이 빠르다고, 효율성만 앞세우면 옛것이 살아남을 방도가 없다. 기차는 멈췄지만 인근 관사촌은 여전히 삶을 이어간다.
구 경주역에 근무하던 사람들이 살았던 관사촌은 도시 재생 사업을 거쳐 행복황촌 마을로 변신했다. 골목을 탐방하다 만난 곳이 10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옛 경주역장 관사다. 관사 제도는 일제 주택의 유입과정에서 생성됐는데, 업무의 능률을 높이는 목적 외에 조선 사람들과의 격리를 통해 우월성을 나타내려는 의도도 포함되었단다.
보우하사 카페
100년 전 적산가옥 모습 그대로 유지해 운영하고 있는 카페 보우하사 입구 1 |
100년 전 적산가옥 모습 그대로 유지해 운영하고 있는 카페 보우하사 입구 2 |
편지를 넣었던 우편함과 최신식 경비시스템이 절묘하게 조화롭다. |
과거 경주역장 관사는 현재 카페 ‘보우하사’로 옷을 갈아입었다. 녹슨 대문을 뒤로하고 들어서면 완전히 다른 분위기로 발길을 사로잡는다. 반질반질한 둥근 손잡이, 우편함의 ‘LETTERS’와 보안업체의 최신 설비가 극명하게 대비를 이룬다.
철문, 철창, 주춧돌 등 그대로 보존해 옛 것의 모습을 잘 확인할 수 있다. |
100년 전 건축 당시의 적산가옥을 잘 살펴볼 수 있는 카페 내부 |
100년이 넘은 역사적 공간에서 오늘 따뜻하게 내려지는 커피향이 색다른 매력을 가진다. |
원형을 잘 살려 옛 것과 현재의 조화를 잘 이야기하는 보우하사 카페 1 |
원형을 잘 살려 옛 것과 현재의 조화를 잘 이야기하는 보우하사 카페 2 |
옛 모습 그대로 원형을 보전하는 보우하사 카페 내부 |
오래된 문이니 가볍게 열어달라는 당부의 메시지가 어쩌면 뉴헤리티지의 단서가 아닐까. |
계절마다 다른 메뉴를 선보이는 보우하사의 시그니처 메뉴 |
뒷마당에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야외공간이 있다. |
황오동 골목 초입에 세워진 보우하사 입간판 |
카페 보우하사의 뜻은 레인보우의 '보우', 하사하다의 '하사'의 결합어다. 계절마다 바뀌는 새로운 메뉴와 자연의 흐름에 맞춘 분위기로 무지개처럼 다채로움을 선사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이곳은 목조, 주춧돌, 창살 등 적산가옥의 원형을 그대로 살렸다. 뜯어고쳐 편리하게 만들었다기보다, 사용할 수 있게 끔만 다듬었다는 말이 맞겠다. 서까래가 그대로 드러나 있고 적산가옥이지만 구부러진 대들보는 우리의 역사를 품고 있다.
과거 ‘황촌’의 영화(榮華)를 간직한 황오동의 매력에 빠져볼 요량이면 도시민박에 묵어보길 추천한다. 경주역 관사를 개조한 도시민박이 운영되고, 명칭은 ‘민박’이지만 내부 시설이나 가격은 호텔에 가깝다. 주민들 삶의 체취가 밴 골목에서 MZ 세대가 이끄는 '황오동 뉴헤리티지'를 만날 수 있다.
‘눕독’이 가능한 국립경주박물관의 신라천년서고
진화하고 있는 경주국립박물관은 가족단위 관람객으로 가득하다. |
경주국립박물관은 현재 공사와 정비 중으로 곳곳에 동선이 막힌 부분이 있다. |
구관이 명관이다. 명작에는 해설이 따로 필요 없단 말이 떠오르는 곳이다. 경주국립박물관은 지붕 없는 박물관인 ‘경주’를 만나기 위한 기착점이다. 뮷즈(MU:DS, ‘뮤지엄’과 ‘굿즈’의 합성어, 문화유산을 모티브로 한 일상용품을 뜻한다)의 선풍적인 인기 덕분에 박물관으로 향하는 열기가 뜨겁지만 경주에선 본디 누구나 한 번쯤 들리는 경주의 필수 코스다.
월지관 바로 왼편에 신라천년서고로 향하는 통로 계단이 있다. |
경주국립박물관 내 신라 천년서고 1 |
경주국립박물관 내 신라 천년서고 2 |
신라역사관, 미술관, 월지관 등 굵직한 스폿을 뒤로하고 ‘신라천년서고’로 향해보자. 범종 가운데 가장 먼저 국보로 지정된 ‘성덕대왕신종’을 지나, 통일신라 왕실의 생활문화를 엿볼 월지관 옆 대나무 숲길을 따라 내려가면 신라천년서고가 나타난다. 평범한 외관만 보고 그냥 지나치기 쉬운데 내부에는 반전 매력이 가득하다.
경주국립박물관 내 신라 천년서고 3 |
경주국립박물관 내 신라 천년서고 4 |
경주국립박물관 내 신라 천년서고 5 |
경주국립박물관 내 신라 천년서고 6 |
경주국립박물관 내 신라 천년서고 7 |
신라천년서고는 박물관 소장 도서를 열람할 수 있는 박물관 안 도서관이다. 기존 수장고로 사용했던 건물인데 한옥 외관은 그대로 살리고 내부는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리모델링했다. 도서관 중앙에 우뚝 선 석등이 고풍스러우면서도 따뜻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카페’에 온 것처럼 신라천년서고에서는 일명 ‘눕독’이라고 하는, 누워서 책을 읽기도 가능하다. 소파에서 자유로운 자세로 책을 읽어도, 음료를 마셔도, 이야기를 나눠도 그 누구도 신경 쓰지 않는 공간이다. 문화유산을 사유하는 곳이면서 동시에 공간 자체가 여행지가 된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발간한 도서들은 물론 국내외 전시 도록과 신라 및 경주학 관련 도서를 소장하고 있어 상설전시관 관람 전 훌륭한 선행학습장이 된다.
경주국립박물관 내 APEC 행사장으로 이용될 건물과 야외전시장 |
경주국립박물관 야외 전시장 |
깊어가는 가을, 박물관 뜰을 거닐면 석탑, 석불, 석등, 비석 받침, 전각 기단 부재 등의 석조품 1,300여 점은 붉게 핀 꽃무릇과 조화를 이룬다. 대부분 경주와 그 주변 지역의 옛 절터나 궁궐터, 성터에서 옮겨 온 것들이다.
국립경주박물관은 경주를 찾는 모든 이들을 언제든 맞을 수 있도록 정확히 1년 365일 중 딱 3일(1월 1일, 설날·추석 당일)만 휴관한다. 신라천년서고는 평일과 매월 첫째, 셋째주 토요일에 문을 연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발간한 도서들은 물론 국내외 전시 도록과 신라 및 경주학 관련 도서를 소장하고 있어 상설전시관 관람 전 훌륭한 선행학습장이 된다.
<여행정보>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경주문화관광 : https://www.gyeongju.go.kr/tour/index.do
- 경주국립박물관 : https://gyeongju.museum.go.kr/
- 오아르미술관 : https://oar-museum.com/
○ 문의 전화
- 국립경주박물관 054)740-7500
- 오아르미술관 054)705-5501
- 보우하사 0507)1441-2314
○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경주,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하루 8회(08:10∼22:00) 운행, 약 3시간 30분 소요.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하루 6회(08:40∼19:00) 운행, 약 4시간 소요. 경주고속버스터미널 건너편 경주고속·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11번·600번·603번 버스 이용, 국립경주박물관 하차.
* 문의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1688-4700 / 고속버스통합예매 https://www.kobus.co.kr/main.do /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 시외버스통합예매시스템 https://txbus.t-money.co.kr/main.do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054)741-4000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1666-5599
[기차]
서울역-신경주역, KTX 하루 17~20회(05:15~21:30) 운행, 약 2시간 10분 소요. 신경주역 정류장에서 50번·11번 버스 이용, 경주고속·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환승 11번·600번·603번 버스 이용, 국립경주박물관 하차.
* 문의 : 레츠코레일 1544-7788
○ 자가운전 정보
경부고속도로 경주 IC → 약 5km 직진 → 배반네거리에서 시청 방면 좌회전 → 박물관네거리에서 ‘포항, 박물관’ 방면 좌회전 → 경주국립박물관
○ 숙박 정보
- [한국관광 품질인증업소] 리버틴 호텔 : 경주시 태종로685번길, 054)620-8988, http://www.rivertaingj.com/
- 라한셀렉트 경주 : 경주시 보문로 338, 054)748-2233, https://www.lahanhotels.com/gyeongju/ko/main.do
- 한옥인 : 경주시 포석로1050번길, 054)749-8090
- 블루보트 게스트하우스 : 경주시 원화로, 010)2188-9049
○ 식당 정보
- 단향회 : 손말이고기, 첨성로81번길 28-1, 0507)1335-9186
- 여미온 : 육회비빔밥, 첨성로81번길 22-12, 0507)1398-4916
- 요석궁1779 : 한정식, 교촌안길 19-4, 0507)1390-3408
- 교리김밥 : 김밥, 탑리3길 2, 054)772-5130
○ 주변 볼거리
동궁과 월지, 월정교, 경주 김유신묘, 경주 포석정지, 경주 남산
※ 위 정보는 2025년 10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글·사진 : 길지혜 여행작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