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단독주택 ‘기와의 추억’은 건축주의 아련한 기억이 깃든 작품이다. ‘어르신’이라는 호칭이 자연스러운 나이의 건축주 부부는 첫 상담에서부터 지붕 재료로 기와를 요구했다. 또 계단 대신 경사로를 계획해 달라는 것과 패시브 주택(PASSIVE HOUSE)이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어르신’께서 말한 기와는 단순히 재료로써의 의미만은 아니다. 어릴 적 한옥에서의 기억이 나이가 지긋해질수록 더욱 또렷해지는, 선명한 알갱이 같은 그리움이다. 강화도 단독주택 ‘기와의 추억’은 이런 그리움을 담기 위한 집이다. 건축주와 이야기를 나누면
건축주의 첫 번째 요구사항은 210㎡의 대지에 건폐율 60%를 최대한 활용해 2층짜리 건물을 짓되, 세 가구가 살 수 있도록 설계해 달라는 것이었다. 은퇴한 부모님과 미혼인 아들, 자녀가 둘 있는 딸 부부 그리고 임대 세대까지 이렇게 세 가구를 위한 공간을 설계하는 것이 우리들의 숙제였다. 보통 은퇴한 부모님을 중심으로 3대가 모여 사는 집일 경우 하나의 주거 공간 속에서 각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며 가족들이 함께 살 공간들을 마련해 주는 것이 일반적인데, 율현동 주택 건축주의 경우 부모님과 딸 부부가 완전히 분리된 세대가 되기
‘그레이와 우드 톤의 조화가 돋보이는 모던하우스’를 모티브로 경기 남양주의 이 주택은 지대가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또 녹지가 풍부한 주택단지의 끝자락을 차지하고 있다. 지하 주차장이 반영된 지하 1층과 지상 3층의 높이로 막힘없이 탁 트인 뷰를 자랑한다. 1층과 2층은 오픈 천정을 적용해 거실에서 탁 트인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 이를 외관에도 반영해 지상 1층과 2층은 동일한 톤의 외장재를, 3층은 포인트 컬러로 강조한 외장재를 사용했다. 이를 통해 주차장에서부터 4층 높이를 따라 위로 긴 건물이지만, 시선을 분산해 안정감이
“오래도록 꿈꾸어 오던 집을 작년에 드디어 짓게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Dreams Come True가 실현되는 과정이었지요. 공간을 설계하고 상상하며 실제 집을 지어 올리는 과정 하나하나가 모두 설레고 기대감이 넘치던 시간이었습니다. 그런 신명나고 즐거운 마음을 집의 이름으로 짓고 싶었고, 그 음에 걸맞는 따듯한 뜻을 찾아서 집의 이름을 짓게 되었습니다. 예쁜 집에서 우리 가족 모두가 함께 매일 따듯하고 서로에게 이로운 존재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매일 서로에게 이롭고 따듯한 집이라는 의미를 가진 ‘상상이온당(常相利溫堂)’에 대한
대지는 경기도 광주 시내에서 차로 15분 거리에 있는 산과 접해 있고 전망이 좋은 곳이다. 면적이 993㎡로 넓은 편이지만, 남서쪽은 낮고 북동쪽이 높은 지형이어서 자칫 겨울철 채광이 안 좋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볕이 잘 들고 환기가 잘 될 수 있는 대지의 남서쪽 끝부분에 건물을 앉혔다. 이로 인해 진입 마당이 커지고 넓은 주차공간을 갖게 됐다. 아울러 남서측에 위치한 주택의 서측편에는 텃밭을 가꿀 수 있는 별도의 부지가 있어, 대지 남서측에 최대한 가까이 배치했다. 뉴타임하우징 관계자는 “전원생활하는 곳은 일반적으로 도시보다 습
조용하고 따듯한 집이라는 의미의 안온재(安溫齋)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이 집의 디자인 방향은 단순한 형태 안에 풍요로운 삶의 행위를 담는 공간이다. 소하건축사사무소 최성호 소장은 이에 대해 “매스와 지붕형태는 심플하게 디자인 하고 기능공간들은 주생활공간을 보조하는 형식을 띄며 주생활공간은 바라보는 방향이 서로 다르게 연결되게 구성했다”며 “공간들은 연속되고 연결돼 흐름과 시선이 교차하는 집, 작은 공간도 여러 행위를 담을 수 있는 집, 흐르는 시간에 대응하는 집을 생각했다”고 말했다. 주택지의 이면도로 삼거리에 있는 대지는 전면
초등학교 동창생인 건축주 부부가 전원주택을 짓기로 한 건 아들은 수능을 앞두고 있고 딸은 중학생일 때의 일이다. 건축주가 네 가족이 함께 살 집을 지으면서 선학재(仙鶴齋)라는 이름을 붙인 건 선친을 기리기 위해서다. 대지는 선친이 미리 마련해 둔 것을 물려받은 것인데, ‘선견지명’이라고 해도 될 만큼 이들 네 가족의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하기에 안성맞춤이었다. 사도세자와 정조의 묘가 있는 화성 융릉과 건릉이 있는 곳이다. 가족 네 명 모두 활동이 활발한 시기인지라 손님들을 위한 많은 실들이 필요로 했다. 이를 위해 작은 마당을 중심
경기도에서 가장 오래된 벽돌축사가 있는 ‘38목장’은 파주 38선 위에 있는 소를 키우던 목장이다. 세월과 함께 목장 사람들은 모두 떠나고 빈 목장이 됐을 때도 벽돌축사는 오롯이 보존되어 있던 곳이다. 떠났던 아들 하나가 봄처럼 화사한 신부를 데리고 38목장으로 돌아와 새집을 지었으니, 그 집의 이름은 당연하게도 ‘38목장주택’이 되었다. 사업가인 건축주는 우선 목장 안 빈 대지에 새집을 지어 살 곳을 마련하고 취미인 목공을 할 수 있는 공방을 설치했다. 또 목장 전체에 나무를 심는 조경작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그의 최종 목표는
1층은 부모세대 별장 2층은 초대손님 공용공간 3층은 신혼부부 신혼집 골프장 주택단지에 들어선 이 집은 2가구가 각각 별도의 생활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게 특징이다. 1층은 골프를 좋아하는 건축주 부모 세대의 별장, 3층은 신혼부부가 거주할 새 보금자리다. 2층은 이들 세대들이 각각 손님을 초대해서 사용하는 공용공간이다. 모든 층에 거실과 주방을 각각 설계해서 마치 다세대 주택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골프장과 인접한 단독주택 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어서 기본적으로 필드 뷰가 아름답다. 이를 적극적으로 살리기 위해 데크와 포치에 많은
자동차 디자인을 하는 아들은 부모님의 관심사항과 직접 그린 도면, 그리고 외부형태까지 표현된 29장의 주택 구상도를 들고 찾아왔다. 부모님이 노후를 편안하게 보낼 집을 선물하고 싶다고 했다. 분야는 다르지만 디자이너의 구상이 놀라웠다. 노년으로 접어드는 부모님을 위한 ‘가족의 화목을 크게 이루는 집’ 화가당(和加當)이 완성됐다. 화가당은 주변 대지의 흐름에 순응하면서 자연으로 열린 형태를 지니고 있는 단층주택이다. 현관을 중심으로 크게 아버지의 공간과 어머니의 공간으로 나눠진 구성을 취한다. 아버지 공간은 공공의 성격을 가진 거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