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포소리 나는 방귀보다 도둑방귀가 더 냄새난다고? 사실일까?
방귀는 자연스러운 생리활동으로 생활속에서 매일 하게되는 행위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하더라고 방귀를 뀌는 형태, 결과가 다 같은 것은 아니죠. 방귀의 횟수가 잦은 사람, 소리가 유별나게 크거나 혹은 소리가 작더라도 냄새가 심한 사람 등 사람마다 다른 형태로 우리 몸의 가스를 배출하게 됩니다.
![]() @isotopica |
그런데 경험적으로 보면 큰 소리가 나는 방귀보다 소리없는 도둑방귀가 냄새가 더 많이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소리가 더 크면 더 많은 가스가 배출된 것이니 냄새도 더 나야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이 이상하기만 하죠. 도둑방귀가 대포방귀보다 실제로 냄새가 더 고약하다라는 말은 사실일까요?
의문을 풀어보기 위해서 먼저 방귀가 어떻게 우리몸에서 생성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귀는 우리몸의 생긴 불필요한 가스를 내뿜는 행위이죠. 우리 몸에서 가스가 생기는 원인으로는 크게 두가지를 들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우리가 삼키는 공기를 통해서입니다.
우리는 보통 공기를 기도 혹은 식도를 통해 삼키게 됩니다. 여기서 기도란 호흡에서 공기가 폐로 전달되기 위해 통하는 통로로서 이 곳의 근육들은 음식물이 이 기관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 한양대학교 병원 |
반면 식도는 소화기관 중의 소화관의 일부로서 음식물을 위로 보내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죠. 보통 우리가 숨을 쉴때는 기도를 이용해서 하나 공기가 꼭 기도를 통해서만 유입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음식물을 먹을 때도 음식물과 함께 공기를 삼켜 식도를 통해 위로 보내는데 이때 공기도 들어오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유입된 공기가 우리 몸안으로 유입이 되면 일부는 트림을 통해 입밖으로 나가며 나머지는 방귀를 통해 몸밖으로 배출이 되게 되는 것입니다.
![]() @gfycat |
방귀가 생기는 또 다른 원인은 음식찌꺼기가 장 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될 때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섭취한 음식이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대장으로 내려오게 되면 이 대장 내에 살고 있는 여러 가지 세균에 의해 분해가 되기 시작하는데 바로 이 분해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사실 방귀 가스의 대부분은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 등이 그 성분으로 이들만 고려해보면 고약한 냄새를 풍겨야 되는 이유는 없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 그리고 우리 몸의 소화기관에 있죠. 장에 서식하는 세균은 음식을 분해하면서 지방산이나 유황이 섞인 가스를 배출하게 되는데 바로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스카톨, 인돌 등과 같은 성분이 우리가 아는 지독한 방귀 냄새를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 냄새가 너무..., gfycat |
즉, 방귀는 냄새가 없는 가스와 냄새를 유발하는 가스를 합친 것으로 냄새를 유발하는 가스가 많을 수록 냄새가 고약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냄새의 원인이 되는 가스는 소화가 잘되었는지, 박테리아의 활동이 왕성했는지에 따라 그 양이 달라지게 됩니다. 장의 박테리아가 왕성하게 활동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잘 발효시키면 가스의 양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죠. 그렇게 되면 장에는 적은 양의 가스만 있기 때문에 우리 몸에 배출될 때 조용히 '피식~' 소리를 내는 도둑방귀 형태로 몸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이 방귀 안에는 냄새를 유발하는 가스가 있기때문에 소리는 작을지라도 냄새는 강력한 것이죠.
![]() @두산백과사전 |
도둑방귀가 냄새가 고약한 이유는 알았지만 이것이 도둑방귀가 대포방귀보다 냄새가 고약한 이유가 되기는 힘듭니다. 사실 방귀냄새가 고약한 혹은 방귀소리가 큰 데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과식이나 소화불량 등으로 인해 충분히 소화가 되지 않는 경우 음식을 소화하는데 가스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많은 가스때문에 소리도 커지고 방귀냄새도 심할 수 있죠.
![]() @istockphoto |
또한 직장에 대변이 많이 차 있는 상태에서는 방귀에 대변 냄새가 섞이게 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소리가 큰 방귀가 악취까지 풍기게 될 수도 있습니다.
즉, 방귀의 소리를 통해 악취를 판단하는 말은 명확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확률적으로 도둑방귀가 대포방귀보다 독한 악취를 풍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우리가 그렇게 판단하는 것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