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과 실패는 쌍둥이.. 좋은 실패 계속하라"

[비즈]by 벤처스퀘어

"여러 성공 스토리에 현기증을 느낀다." 사무엘 웨스트 실패박물관 설립자가 말했다. 성공이라는 결과만 따로 떼어 의미를 되새기는 건 식상하다는 뜻이다. 사무엘 웨스트 박사는 미국 조직심리학자로 2017년 스웨덴 헬싱보리에 실패박물관을 연 인물이다. 지난 4일 개막한 서울스타트업 2019를 찾아 '혁신에서 실패의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사무엘 박사는 혁신은 무수한 실패 과정 속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라"고 전했다.

벤처스퀘어

사무엘 박사는 실패박물관에 기업이 실패했던 아이템 100여 가지를 모아놨다. 스웨덴, 미국 헐리우드, 중국 상하이를 비롯해 전 세계에 실패 사례를 전시하고 있다. 그가 밝힌 실패박물관 설립 이유는 "실패로부터 혁신을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서울창업허브에 꾸려진 실패박물관 특별전에도 실패 작품 12점을 들고나왔다.

벤처스퀘어

애플 초기작 뉴턴도 그 중 하나다. 1993년 출시된 뉴턴은 컴퓨터의 미래를 표방한 제품이었다. 당시만해도 필체인식과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신제품이었지만 결과는 참담했다. 느리고 부정확한 필체인식, 버퍼링이 문제였다.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던 문자 인식 소프트웨어는 개선됐지만 이미 때는 늦은 뒤였다. 대중은 뉴턴을 철저히 외면했다. 1997년 스타브 잡스가 애플로 돌아오면서 뉴턴은 완전히 자취를 감추게 된다. 비록 실패작으로 남았지만 뉴턴으로 애플은 전환기를 맞았다. 뉴턴 개발을 맡던 유능한 개발자가 해방됐기 때문이다. 그 덕에 아이폰과 아이패드로 사업을 집중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사무엘 박사는 "성공과 실패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쌍둥이 같은 존재"라며 "혁신을 위해 반드시 실패라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른 사람의 실패를 통해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사무엘 박사가 자신의 아이돌이라고 언급한 제프 베조스도 실패의 세계에서는 장인으로 손꼽힌다. 역으로 말하면 무수한 성공요소를 지닐 수 밖에 없었다는 뜻이다. 사무엘 박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혁신은 실패 속에서 탄생하기 때문이다.

벤처스퀘어

아마존 역시 2014년 선보인 파이어폰으로 쓴 맛을 봤다. 파이어폰은은 아마존 제품을 즉각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제작된 휴대폰으로 글로벌 이커머스 공룡인 아마존이 야심차게 선보인 제품이다. 아마존은 자신만만했다. 파이어폰의 구매하기 버튼이 쇼핑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물론 결과는 실패다. 잘못 눌러 구매로 이어지거나 충동구매 위험을 높이는 요소가 되레 반감을 샀기 때문이다. 사무엘 박스는 "파이어폰의 실패가 있었기에 아마존이 이커머스에 집중하면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아마존 역시 실패를 발판삼아 성공한 기업"이라고 설명했다.

벤처스퀘어

실패는 미덕이다. 하지만 사무엘 박사는 "좋은 실패와 나쁜 실패는 구분하라"고 조언했다. 그가 말하는 나쁜 실패는 미리 예방하거나 예측할 수 있는 실패다. 그런 점에서 나쁜 실패는 실수에 가깝다. 아울러 "좋은 실패는 슬기롭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가 말하는 좋은 실패는 실패로 인해 다음 단계로 도약할 수 있는 시도를 말한다. 바꿔말하면 혁신적인 실패를 뜻한다.


삼성 갤럭시 시리즈가 대표적인 예다. 2016년 출시한 갤럭시 노트7는 배터리 폭발 결함이 발견되면서 갤럭시 시리즈 실패작으로 남았다. 누군가 실패박물관에 이를 기증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무엘 박사 답변은 이렇다. "혁신이 동반되지 않은 단순한 실패작이었기 때문"이다. 2019년 삼성이 출시한 갤럭시 폴드는 달리 봤다. 초반 기대에 비해 혹평을 받으며 실패작으로 꼽혔지만 혁신적인 실패를 거뒀다는 게 그의 해석이다. 사무엘 박사는 "갤럭시 폴드는 혁신기술을 선보인 좋은 실패작"이라며 "그 자체로 완벽하게 준비되지 않았을 때는 제품을 출시하지 말라는 교훈도 남긴다"고 덧붙였다.


"실패를 권장하면서 실패를 벌한다. 이 자체가 모순적인 상황이다" 사무엘 박사는 실패가 성공의 디딤돌이 되기 위해서는 실패 분위기가 형성돼야 한다고 봤다. 실패를 감출 것이 아니라 실패를 자유롭게 논하는 문화가 조성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실패해도 괜찮다는 인식을 공유하는 것 자체가 서로에게 안정감을 준다. 초반에는 처무니없는 이야기라고 느껴질 지라도 실제 결과물에 도달하기까지 의견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는 심리적 안전망이 필요하다고 봤다. 회사 상하관계에 상관없이 실패를 용인하고 격려하는 분위기 속에 실패를 통한 혁신이 나올 수 있다는 의견이다. 사무엘 박사는 "특히 팀 리더라면 늘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기보다 리더 자신도 실패할 수 있다는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주면 조직원 마음도 편해진다"며 "리더가 본보기가 돼 실패가 용인되는 환경을 조성하라"고 강조했다.


"사람들이 어디에서 무얼 하던간에 이 우주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실패와 연결돼 있다" 사무엘 박사가 팝업 스토어를 통해 전 세계에 실패 사례를 전시하는 이유다. 실패박물관은 한국 스타트업의 실패 사례도 신청 받고 있다. 사무엘 박사는 "혁신적인 실패, 기록하고 싶은 실패가 있다면 실패 박물관을 통해 선보이라"고 권했다.


이예화 기자 lee99@venturesquare.net

2019.09.17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Copyright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