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가격 변곡점의 시그널 포착하기 (1)

[재테크]by 김대구

SUMMARY

- 2023년 상반기 아파트 거래량 전년 동기 대비 59%가량 증가

- 서울 일부 행정구에서는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2020년을 초과하는 거래량 기록

- 저점에서 공급자와 구매자 간 가격이 합의되며 회복하는 시점으로 볼 수 있음

- 단기간 내 담보대출 금리 추가 하락 가능성이 낮아 주택 가격의 상방은 제한될 것으로 전망

 

© istock

 

2021년을 기점으로 국내 부동산 시장은 거래량이 감소하며 다운 사이클에 진입하였다. 작년 9월 ZUM 투자에 통계 데이터를 통해 아파트 시장환경을 점검하는 글을 작성하였다.(관련링크) 해당 글을 작성하던 시점에는 감소하는 아파트 거래량, 지속되는 전세 및 매매 가격의 하락으로 저점에서 보이는 시그널이 나타나지 않아 추가 하락 가능성을 주장하였다. 그로부터 약 1년이 지난 2023년 8월, 과거에 다뤘던 통계 데이터를 다시금 살펴보고 현재의 국내 아파트 시장 환경을 점검하고자 한다. 금번 글에서는 금융 환경, 아파트 거래량, 전세 및 매매 가격 추이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1) 2023년 상반기 아파트 거래량 전년 동기 대비 59%가량 증가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종종 이런 말을 들을 때가 있다. 가격은 속일 수 있어도, 거래량은 속일 수 없다. 이는 주식이 거래되는 가격이 10%~20%, 위·아래로 널뛰기하여도 결국 거래량이 있다면 그만큼 갖고 싶어 하는 수요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많은 거래량은 가격이 지지가 되는 구간을 확인할 수도 있어 저점을 확인하는 시그널로 볼 수 있다.

 

년도

2018

2018

2019

2019

2020

2020

2021

반기

1H

2H

1H

2H

1H

2H

1H

전국

280,882

282,590

281,952

263,109

505,104

428,974

300,040

서울

51,145

45,477

32,867

38,867

46,974

46,810

22,032

 

년도

2021

2022

2022

2023

증감률

반기

2H

1H

2H

1H

전년

재작년

재재작년

전국

369,142

117,076

181,505

185,596

59%

-38%

-63%

서울

27,719

5,706

9,678

16,348

187%

-26%

-65%

아파트 매매건 수 추이(단위: 호) © 한국부동산원

 

2018년부터 아파트 거래량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 상반기 28만 호를 기점으로 2020년 상반기까지 상승 추세에 있었고, 2022년 상반기엔 11.7만 호를 기록하며 최저 수준을 기록한 후에 회복 추세에 있다. 통상적으로 부동산 시장 환경의 지표가 되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의 경우, 2021년 상반기에 2.2만 호를 기록하며 거래량이 급격히 줄었고, 2022년에는 1년 내내 모두 1만 호를 넘지 못하였다. 하지만 2023년 상반기 1.6만 호가 거래되며 전년 동기 대비 187%가량 증가하였고, 재작년 동기와 비교해도 26%만 감소한 수치로 거래량의 상당 수준이 회복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서울의 경우, 일부 행정구에서는 2020년을 초과하는 거래량 기록, 저점에서 공급자와 구매자 간 가격이 합의되는 시기

서울의 세부 지역별로 살펴보면, 송파구, 노원구, 강남구, 강동구에서 1,000건 이상 기록하며 가장 거래가 활발하였다. 작년 동기 대비 거래량의 증감률로 보면, 성동구, 서대문구, 강동구, 송파구, 관악구 등이 300% 이상 증가하며 상대적으로 거래 수요의 증가 폭이 컸다.

 

년도

2020

2020

2021

2021

2022

2022

2023

증감률

반기

1H

2H

1H

2H

1H

2H

1H

전년

재작년

재재작년

종로구

458

412

237

314

82

120

136

66%

-43%

-70%

중구

621

543

315

346

76

133

230

203%

-27%

-63%

용산구

960

860

431

928

94

209

216

130%

-50%

-78%

성동구

1,730

1,726

786

897

131

277

641

389%

-18%

-63%

광진구

658

744

388

433

123

168

298

142%

-23%

-55%

동대문구

1,884

1,743

917

976

211

384

727

245%

-21%

-61%

중랑구

1,515

1,564

683

1,083

177

398

440

149%

-36%

-71%

성북구

2,520

2,408

1,162

1,562

432

682

867

101%

-25%

-66%

강북구

1,359

1,072

410

684

154

128

349

127%

-15%

-74%

도봉구

2,389

2,522

908

1,187

172

267

513

198%

-44%

-79%

노원구

5,101

4,748

1,910

2,524

288

628

1,096

281%

-43%

-79%

은평구

1,788

1,933

950

993

273

369

865

217%

-9%

-52%

서대문구

1,696

1,582

724

951

137

273

664

385%

-8%

-61%

마포구

1,658

1,569

812

890

190

350

684

260%

-16%

-59%

양천구

1,953

2,180

941

1,120

178

292

683

284%

-27%

-65%

강서구

2,891

3,423

1,329

1,853

279

423

831

198%

-37%

-71%

구로구

2,854

2,662

1,140

1,680

334

485

645

93%

-43%

-77%

금천구

1,026

855

460

790

234

193

239

2%

-48%

-77%

영등포구

2,231

1,826

999

1,079

333

387

858

158%

-14%

-62%

동작구

1,561

1,663

776

972

152

444

542

257%

-30%

-65%

관악구

1,524

1,463

738

866

135

327

587

335%

-20%

-61%

서초구

1,784

1,875

1,084

1,443

278

791

703

153%

-35%

-61%

강남구

2,127

2,159

1,852

1,750

707

1,179

1,072

52%

-42%

-50%

송파구

2,405

2,825

1,096

1,300

300

427

1,373

358%

25%

-43%

강동구

2,281

2,453

984

1,098

236

344

1,089

361%

11%

-52%

서울 세부 지역별 아파트 매매건 수 추이(단위: 호) © 한국부동산원

 

강남구의 경우, 52%의 낮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강남구 자체가 2022년 상반기를 제외하고 모든 반기에 1,000건 이상의 많은 거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재작년 상반기를 기준으로 전체 행정구의 거래량 증감률을 살펴보면, 송파구와 강동구는 유일하게 25%, 11%가량 거래량이 증가하며, 2021년보다 강한 매수세가 나타났다. 지속적으로 하락 추세였던 주택 거래량이 2023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급격한 회복세를 보이며, 저점에서의 구매하려는 수요가 유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아직 과거 아파트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였던 2020년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공급자와 매수자 간의 가격이 합의되어 본격적인 거래가 시작되는(회복되는) 시점으로 볼 수 있다.

 

3) 단기간 내 담보대출 금리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지 않아, 주택 가격의 상방은 제한될 것으로 전망

아파트의 거래량이 증가한 가장 큰 요인은 주택 담보대출 금리의 하락을 꼽을 수 있다.

 

년도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2022

1

2

3

4

5

6

7

8

9

전체 대출

3.5%

3.5%

3.5%

3.6%

3.7%

3.9%

4.2%

4.5%

4.7%

주택담보대출

3.9%

3.9%

3.8%

3.9%

3.9%

4.0%

4.2%

4.4%

4.8%

예금 금리

1.7%

1.7%

1.7%

1.9%

2.0%

2.4%

2.9%

3.0%

3.4%

예대 마진(담보-수신)

2.2%

2.2%

2.1%

2.0%

1.9%

1.6%

1.2%

1.4%

1.4%

예대 마진(전체-수신)

1.8%

1.8%

1.8%

1.7%

1.7%

1.5%

1.3%

1.5%

1.3%

 

년도

2022

2022

2022

2023

2023

2023

2023

2023

2023

10

11

12

1

2

3

4

5

6

전체 대출

5.3%

5.6%

5.6%

5.5%

5.3%

5.2%

5.0%

5.1%

5.2%

주택담보대출

4.8%

4.7%

4.6%

4.6%

4.6%

4.4%

4.2%

4.2%

4.3%

예금 금리

4.0%

4.3%

4.2%

3.8%

3.5%

3.6%

3.4%

3.6%

3.7%

예대 마진(담보-수신)

0.8%

0.5%

0.4%

0.8%

1.0%

0.8%

0.8%

0.7%

0.6%

예대 마진(전체-수신)

1.3%

1.4%

1.4%

1.6%

1.8%

1.6%

1.6%

1.6%

1.5%

시중은행 대출 및 예금 금리 추이 © 한국은행

 

위의 표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월별 대출 및 예금 금리의 추이다. 통상적으로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도 올라가게 된다. 2022년 1월 전체 대출 금리는 3.5%에서 지속된 금리 인상으로 2022년 12월 5.6%까지 급격히 올라갔다. 담보대출 금리 역시, 2022년 3.9%에서 2022년 10월 4.8%로 정점에 이르게 됐다.

담보대출 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주택 구매를 위한 유동성은 감소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주택 가격 하락 및 거래량이 감소하게 된다. 위와 같은 이유로 2022년에 급격한 거래량 감소가 있던 것이다. 하지만 2022년 11월을 기점으로 주택담보 대출 금리가 낮아지기 시작하더니, 2023년 4월에는 4.2%까지 하락하였다. 정부의 주택담보 대출 규제 완화 정책은 기준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장 금리를 낮췄다.

2022년에는 담보대출 금리에서 예금 금리를 뺀 예대 차익이 1.4%~2.2%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2023년에는 0.6%~1.0% 수준으로 은행은 마진을 포기하면서 금리를 낮춘 것이다. 정부의 규제 완화에 따라 기형적으로 늘린 유동성은 현시점 시중은행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이미 낮은 예대 마진으로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어려운 것을 감안한다면 시장 내 유동성이 급격히 늘어날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이렇게 유동성이 제한되는 금융환경은 주택 시장이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하더라도, 상방을 제한할 것으로 판단된다.

 

4) INSIGHT

거래라는 것은 공급자가 구매자 간의 가격이 합의된 결과다. 그리고 해당 구간에서 반복적으로 거래가 일어나면, 해당 가격은 시장에서 수용 가능하다고 볼 수 있고 거래량이 더 많아져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가격이 상승한다. 지난 몇 년간 주택 시장의 회복 시점 예측이 어려웠던 이유는 거래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23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주택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저점에서의 가격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금번 글에서는 거래량과 금융환경 등으로 현재 시장 환경을 점검하였고 다음 글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변동된 가격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투자자 유의사항: 이 콘텐츠에 게재된 내용들은 작성자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해당 글은 필자가 습득한 사실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라며, 투자 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자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024.01.08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現) A캐피탈 대체 투자 심사역 前) 메리츠캐피탈 대체 투자 심사역 前) EY한영회계법인 Transaction Advisory 부동산팀 前) 한화그룹 공채 입사 대학에서 도시계획과 심리학을 전공했습니다. 한화그룹공채로 입사한 후 지금은 국내 금융사에서 대체 투자심사역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전통 투자시장이 지난 10년간 연평균 6% 성장한 반면, 동기간 대체투자 시장은 연평균 24% 씩 성장했습니다. 이렇게 폭발적 성장을 하고 있는 분야에 올바른 투자 결정을 하는 데 돕고 싶습니다.
채널명
김대구
소개글
現) A캐피탈 대체 투자 심사역 前) 메리츠캐피탈 대체 투자 심사역 前) EY한영회계법인 Transaction Advisory 부동산팀 前) 한화그룹 공채 입사 대학에서 도시계획과 심리학을 전공했습니다. 한화그룹공채로 입사한 후 지금은 국내 금융사에서 대체 투자심사역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전통 투자시장이 지난 10년간 연평균 6% 성장한 반면, 동기간 대체투자 시장은 연평균 24% 씩 성장했습니다. 이렇게 폭발적 성장을 하고 있는 분야에 올바른 투자 결정을 하는 데 돕고 싶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Copyright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