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물리학' 클럽 사장이 마약 수사? 실제도 그랬다면...

[영화 팬질] 비평 & 리뷰

<양자물리학> (By Quantum Physics: A Nightlife Venture, 2019)

영화 <양자물리학> 표지 및 이하 사진 ⓒ (주)메리크리스마스

한 영화의 제목이나 포스터는 관객이 극장에서 작품을 관람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살펴보는 요소이며, 더 나아가 흥행의 성패를 가늠해볼 수 있는 역할까지 한다. 두 글자 영화(<명량>이나, <암살>처럼)가 '흥행'한다는 속설이 있으며, 때론 포스터 문구를 '가족 판타지'처럼 했다가, 아이들이 관람 중 울고 갔다는 'R등급 영화'도 있었다. 독창적인 이름으로 관객을 사로잡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영화와 애니메이션 모두 나온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다. 제목만 들으면 공포영화 같지만, 관객의 눈물샘을 자극하는 '청춘 로맨스' 작품이다.

 

<양자물리학>도 이런 '독특한 제목'에서 출발한 '범죄 영화'다. 덕분에 리뷰는 온통 '양자물리학'이 어떤 것인지를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굳이 여기서 또 언급한다면, '양자물리학'은 과학 이론일 뿐 아니라, 철학이나 문학, 예술 등 여러 방면에서 사용되는 입자에 관한 이론이다. 작품의 주인공 '이찬우'(박해수)가 "생각이 현실이 된다"라는 개념으로 이 '양자물리학'을 해석해 자신의 인생 모토로 삼고 있다는 것이 이 작품의 제목이 됐다.

그래서 이 영화는 파동과 에너지 등 단어들을 계속해서 나열하는 클럽 사장, '이찬우'의 대사가 초반을 구성한다. 이성태 감독은 "단순히 '이찬우'의 신념으로만 양자물리학 개념을 쓰지 않고, 플롯 안에 그 개념을 자연스럽게 개입시키려 노력했다. 그리고 캐릭터의 색을 입히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었고, 그것을 플롯 안에 자연스럽게 녹이고자 했다"라고 언론시사회 당시 밝힌 바 있다. 이를테면, '이찬우'가 운영하는 클럽 매니저로 합류하는 '성은영'(서예지)에게 귀에 못이 박이도록 '양자물리학'의 모토를 설명하는 방법들이다.

 

물론, 영화는 '상투적인 범죄물'을 '특이한 이름을 이용해' 관객의 반응을 이끌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누가 봐도 <양자물리학>은 올해 가장 큰 키워드 중 하나인 '버닝썬 사건'을 연상케 하는 장면이 많다. 심지어 실제 버닝썬에서 촬영이 이뤄지기까지도 했었다. 그러다 보니 이 영화의 런칭 포스터 문구인 "약은 약사에게, 마약 수사는 클럽 사장에게"가 심히 거슬릴 수밖에 없었다.

당연히 장르 범죄물에서 마약 수사를 다룰 수 있으며, 그것이 실제 클럽에서 촬영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왜 '양자물리학'을 전파하는 것을 좋아하는 '클럽 사장'이 '마약 사건'의 해결사로 나서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보여줘야 한다. "'파동'이 맞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거대한 '에너지장'으로 인해 부패한 권력을 잡아내야 한다"라는 '이찬우'의 뜬구름 잡는 주장보다는 좀 더 설득력 있는 이유가 있어야 했다.

 

그러다 보니 이 영화는 '이름만 좋고' 상투적인 '해피 엔딩'의 방향으로 흘러가는데, 갈등은 쉽게 나오고, 쉽게 풀린다. 예를 들어, '클럽 사장'을 '이찬우'를 기점으로, '클럽 매니저'인 '성은영', 정권 교체 때문에 눈 밖에 난 청렴 형사 '박기헌'(김상호), "폭발력 있는 것"을 원하지만 그래도 공익을 위해 펜을 잡은 '한빛일보 김국장'(손종학)까지. 갑자기 '정의로워진' 인물들이 정치, 경제의 실세들을 혼쭐낸다는 내용이 전체적인 작품의 구조다. 결국, 실제에도 제발 그런 사람들이 더 많이 등장해서 요즈음 발생 중인 비리 문제들을 완결 냈으면 하는 바람만 영화를 보는 내내 생각날 뿐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성 이론'처럼, 이런 장르 영화를 싫어하는 관객이라면 이 영화의 상영 시간인 2시간보다 더 길게 느껴질 것이며, 그렇지 않은 관객이라면, 무난한 오락 영화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그래도 가장 큰 이 영화의 무기는 배우들의 연기였다. 박해수는 자신의 첫 '영화 주연'을 맡아, '확실한 의도'가 있는 캐릭터를 통해 성공적으로 연기를 완수했다. 주연을 뒷받침시켜주는 탄탄한 중견 배우 3인방(김상호, 김응수, 변희봉)의 활약과 호연 덕분에 이 영화는, '배우들의 연기를 보기엔' 나쁘지 않았다. 조·단역으로 주로 활동했던 이창훈도 '양윤식' 검사를 통해 앞으로 눈여겨봐야 할 배우임을 증명했다.

 

한편, 팬들은 <양자물리학>의 명대사를 최근 이슈의 원인을 본인도 잘 모르겠다고 말한 배우, '김응수'의 전작 <타짜>(2006년)의 캐릭터 '곽철용'의 명대사를 패러디한 것들로 가득 채웠다. "내가 '이과' 생활을 17살부터 시작했다"라던지, "어이 젊은 친구, '이과'답게 행동해"라던지, "양자야, 나도 순정이 있다" 등이 그 예다. 이게 통했는지, "마포대교는 무너졌냐?"라는 김응수의 애드립 대사를 패러디한 "상대성 이론은 무너졌냐? 이 자식아?"를 김응수가 직접 즉흥연기를 펼쳤고, 이게 홍보 아이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양자물리학

 

감독 : 이성태
출연 : 박해수, 서예지, 김상호, 김응수, 변희봉, 김영재, 이창훈
개봉 : 2019.09.25.

2019/09/11 CGV 용산아이파크몰

글 : 양미르 에디터

2019.10.11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삶에 도움이 되는 꿀팁 커뮤니티! 전문가가 알려주는 알기쉬운 깊은 지식!
채널명
알려줌
소개글
삶에 도움이 되는 꿀팁 커뮤니티! 전문가가 알려주는 알기쉬운 깊은 지식!
    이런 분야는 어때요?
    오늘의 인기
    TOP10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