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들의 추억이 묻어있는 기아의 '1세대 프라이드' 전기차로 재탄생
1세대 프라이드 전기차로 재탄생기아 영국법인 창립 80주년 기념 모델
1996년 감성을 그대로 담아낸 차량
![]() 기아 원오프 모델 프라이드 EV 정면 / 사진=기아 |
기아 영국법인은 창립 80주년을 기념하여 1세대 프라이드를 전기차로 재탄생시킨 원오프(one-off) 모델을 공개했다.
원오프 모델은 특별한 의미를 담아 제작된 단 한 대뿐인 차량으로, 이번 프라이드 EV는 기아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번 모델은 과거 국민차로 불리던 1세대 프라이드를 전기차로 변환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자동차 애호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전기차로 재탄생한 1세대 프라이드
![]() 기아 프라이드 EV 배터리 팩 / 사진=기아 |
기아 영국법인이 선택한 모델은 1996년형 프라이드 1.3 LX 5도어 해치백이다. 이 차량은 원래 60마력을 발휘하는 1.3리터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고 있었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내연기관을 완전히 제거하고 전기 파워트레인을 장착했다.
차량 내부에는 108마력의 전기 모터와 10kWh 배터리 두 개가 탑재되어, 총 20kWh의 배터리 용량을 자랑한다. 이를 통해 프라이드 EV는 193km의 주행거리를 제공하며, 전기 모터의 출력은 기존 가솔린 엔진 대비 약 77.7% 증가했다.
![]() 프라이드 EV 충전구 / 사진=기아 |
전기차로 변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형을 최대한 보존한 것이 특징이다. 수동 변속기와 수동 윈도 레버 등 과거의 디자인 요소를 그대로 유지한 채, 강화된 클러치와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추가해 전기차의 성능을 높였다. 충전은 기존 연료 주입구 위치에 3.3kW 충전 커넥터를 설치해 구현했다.
프라이드 EV의 실내외 디자인 특징
![]() 기아 원오프 모델 프라이드 EV / 사진=기아 |
프라이드 EV는 1996년 당시의 외관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변화를 더해 전기차의 감각을 부여했다. 차량 색상은 기아의 최신 전기차인 EV9과 EV6에 사용되는 화이트 펄 컬러로 새롭게 도색됐으며, 전면과 후면에는 LED 램프를 추가해 성능과 디자인 모두에서 개선을 이뤘다. 휠은 12인치 스틸 휠을 그대로 유지해 클래식한 매력을 살렸다.
![]() 기아 원오프 모델 프라이드 EV 실내 후석 / 사진=기아 |
실내는 최대한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고성능 전기차 EV6 GT에서 영감을 받은 라임 그린 컬러 파이핑이 시트에 적용되어 현대적인 감각을 더했다. 계기판 역시 원형 디자인을 살리되, 연료 게이지는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도록 개조됐다. 에코, 스포츠, 오토 세 가지 주행 모드를 제공하며, 각각의 모드는 주행 환경에 맞춰 배터리 소모와 성능을 조절한다. 스포츠 모드에서는 최고 108마력의 출력을 발휘하며, 0-100km/h 가속 시간이 8초로 단축되었다.
과거와 미래를 잇는 혁신 프로젝트
![]() 기아 원오프 모델 프라이드 EV 수동 변속기 / 사진=기아 |
이번 프라이드 EV는 기아가 전통적인 내연기관 차량을 전기차로 개조하는 레트로핏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아의 역사를 재조명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미래로 나아가는 발걸음을 상징한다.
![]() 기아 원오프 모델 프라이드 EV 후면 / 사진=기아 |
차량 제작에는 영국의 전기차 개조 전문 업체 일렉트로제닉(Electrogenic)이 참여했으며, 기존 차체를 레이저 스캔해 전기차 배터리와 모터의 설치를 최적화했다. 이로 인해 프라이드는 전동화되었음에도 차체가 크게 훼손되지 않았으며, 향후 원래의 내연기관 차량으로 복원도 가능하다.
![]() 기아 원오프 모델 프라이드 EV / 사진=기아 |
프라이드 EV는 기아의 전기차 역량을 상징하는 동시에, 과거의 아이코닉한 모델에 대한 향수를 자극한다. 이 차량은 기아의 8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모델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오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