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하는 순간 사고 난다"... 운전자들이 간과하는 겨울철 보이지 않는 '이것'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겨울철, 도로 위에는 눈보다 위험한 ‘블랙아이스’가 형성된다. 운전자의 속도 조절·사전 점검·위험 구간 인지가 필수다.

겨울철 사고 원인 ‘블랙아이스’

정부 3월까지 제설 대응 체계 작동

운전자들은 속도 조절과 차량 점검 필수

겨울철 도로 위 블랙아이스

기사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며 도로 환경이 급변하는 계절이 돌아왔다. 눈에 보이지 않는 살얼음부터 갑작스러운 폭설까지, 겨울 도로는 작은 실수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요소로 가득하다.


정부는 3월 중순까지 대대적인 제설 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있으며, 운전자에게는 한층 강화된 주의가 요구된다. 지금부터 다가오는 혹한기, 도로 위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정보들을 정리한다.

겨울철 도로 위 블랙아이스

겨울철 도로 상황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번 시즌 정부는 결빙 취약 구간을 중심으로 대규모 제설 인력과 장비를 배치했다. 제설제는 최근 몇 년 평균보다 더 많은 규모로 확보되었고, 449개 제설창고와 자동 염수 분사시설도 본격 가동된다.


주요 지역은 폭설 예보 시 우선 제설 대상에 포함돼, 교통량이 많은 도로의 안전 확보가 한층 강화된다. 전국에서 운영되는 장비와 인력이 지속적으로 순찰하며 결빙 예방에 나서는 만큼, 겨울철 초기 대응도 더욱 신속할 전망이다.

블랙아이스가 낀 겨울철 도로

블랙아이스가 낀 겨울철 도로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관리에 들어간 490개의 결빙 취약 지점은 계절이 바뀔 때마다 사고 빈도가 높아지는 대표 구간이다. 교량과 고가도로는 외부 공기와 직접 맞닿아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고, 터널 출입구와 음지 구간은 햇빛이 닿지 않아 얼음층이 잘 녹지 않는다.


산모퉁이나 비탈면 주변은 바람의 영향까지 더해져, 외관상 마른 도로처럼 보여도 얇은 얼음이 깔린 상태가 되기 쉽다. 이런 특성 때문에 시속 80km 이상의 속도로 통과할 경우 조향 불능으로 이어지는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겨울철 도로 상황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혹한기에 사고를 줄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수칙은 평소보다 속도를 낮추고 차량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는 것이다. 출발 전 기상 상황과 도로 정보를 확인해 위험 구간을 피하고, 주행 중에는 갑작스러운 제동이나 급조향을 삼가는 것이 필수다.


커브길과 내리막에서는 부드러운 브레이크 조작이 안전을 확보하는 핵심이며, 타이어 마모 상태 점검과 겨울용 타이어 장착은 미끄러짐을 예방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꼽힌다. 눈이나 결빙이 보이지 않는 도로라 하더라도, 위험 지역에서는 감속을 유지하는 것이 곧 생명을 지키는 행동이다.

제설 차량

제설차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눈길을 달릴 때 종종 간과되는 상황 중 하나가 제설차량과의 간격 조절이다. 제설차는 염수나 제설제를 뿌리며 천천히 이동하기 때문에, 일반 차량이 가까이 붙을 경우 시야 확보가 어렵고 돌발 상황 시 대응도 늦어진다.


최소 60m 이상의 거리 유지는 기본이며, 제설제 분사 중에는 접근 자체를 피하는 것이 좋다. 예측할 수 없는 정지나 방향 변경이 일어날 수 있는 만큼, 안전을 위해서는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겨울철 도로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겨울 도로는 단순히 눈과 얼음이 쌓이는 계절적 불편을 넘어, 작은 방심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환경이다. 정부가 대규모 제설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사고를 줄이는 힘은 운전자의 안전 의식에서 비롯된다.


강설이 예보된 날에는 대중교통 이용을 고려하고, 차량 운행 시에는 감속과 예측 운전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이어와 브레이크 같은 기본 점검을 꾸준히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스스로와 가족, 그리고 도로 위의 모두를 지킬 수 있다.


김지호 기자 

2025.11.18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최신 자동차 트렌드와 인사이트, 오토놀로지에서 시작하세요
채널명
오토놀로지
소개글
최신 자동차 트렌드와 인사이트, 오토놀로지에서 시작하세요
    이런 분야는 어때요?
    오늘의 인기
    TOP10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