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게임톡] 대작 없지만 틈새 기대작 꽉 찬 7월

슈팅, 매트로베니아, 소울라이크까지… 장르, 스타일 뚜렷한 신작들 출격

게임톡

데스 스트랜딩2,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P의 거짓 DLC 등 6월 대작 러시에 이어 7월은 잠시 숨을 돌리는 시기다. 화제성 있는 초대형 타이틀은 잠시 자취를 감췄지만, 그 틈을 개성 강한 신작들이 채운다.


7월의 시작은 오픈 베타를 마치고 정식 출시되는 '메카 브레이크'가 연다. 미래형 전장을 배경으로 한 이 3인칭 메카 슈팅 게임은 가볍고 직관적인 조작감, 화려한 연출, 개성 넘치는 기체들로 주목받는다.


'동키콩 바난자'는 닌텐도 스위치2로 출시되는 첫 번째 3D 동키콩 시리즈다. 11년 만의 신작이자 시리즈 최초의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로, 동키콩 특유의 파괴 액션과 자유도 높은 탐험이 핵심이다.


'쉐도우 라비린스'는 팩맨 45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신작이다. 귀여운 노란 캐릭터로 알려진 팩맨을 어두운 세계관과 메트로배니아 장르로 재해석한 것이 특징이다. 탐색과 전투가 중심인 구조 안에 팩맨식 쿠키 수집 요소와 미로 구간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다.


후반부에는 '킬링 플로어 3'와 '명말: 공허의 깃털'이 기다린다. 전자는 SF 호러 분위기의 협동 FPS로 진화된 제드 디자인과 향상된 연출을 선보이며, 후자는 명나라 말기를 배경으로 무협 액션과 소울라이크를 결합해 동양풍 세계관의 깊이를 더한다.

■ 메카 브레이크

출시일: 2025년 7월 2일(PC, Xbox)


메카 브레이크는 Amazing Seasun Games에서 개발한 3인칭 슈팅 메카닉 액션 게임이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를 배경으로, 플레이어는 거대한 병기 '메카'를 조종해 다양한 전장에서 전투를 펼친다.


각 모드의 첫 플레이는 튜토리얼처럼 AI와 매칭되며, 자연스럽게 게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PvP 중심의 팀 매치 외에도 배틀로얄 스타일의 모드까지 제공돼 몰입감 높은 전투를 즐길 수 있다.


조작은 직관적으로 설계돼 처음 접하는 유저도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다. 락온 시스템 덕분에 정밀한 조준 없이도 공격이 명중하고, 각 기체의 특성 덕분에 전략적이고 긴장감 있는 교전이 가능하다.


선택 가능한 메카는 총 13종으로 비행 특화형 '팔콘', 중장비 중심의 '트리케라' 등 고유의 전투 스타일을 가진 기체들이 준비돼 있다. 전투 중에는 상대를 제압한 뒤 처형으로 리스폰 시간을 지연시키는 전략도 활용 가능하며, 처형 시 연출은 각 메카의 개성을 살려 제작됐다.


커스터마이징 요소도 강점이다. 기체는 부위별 도색이 가능하고, 파일럿 역시 얼굴과 체형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 메카의 관절과 스러스터 등 디테일한 움직임까지 구현돼, 로봇물 팬들에게도 매력적인 비주얼을 제공한다.

■ 동키콩 바난자

출시일: 2025년 7월 17일(닌텐도 스위치2)


동키콩 바난자는 11년 만에 등장하는 '동키콩' 시리즈의 완전 신작이자, 시리즈 최초로 3D 오픈월드 탐험을 도입한 타이틀이다. 닌텐도 스위치2로 출시되며, 마리오 오디세이 스타일의 자유도 높은 맵 구성과 경쾌한 액션이 특징이다.


플레이어는 거대한 3D 필드를 자유롭게 탐색하면서 다양한 지형지물을 파괴하거나 조작해 경로를 개척한다. 지형마다 강도나 성질이 다르며, 이를 활용해 새로운 길을 만들거나 숨겨진 공간을 찾아내는 퍼즐 요소도 존재한다. 동키콩 특유의 점프력과 벽 오르기, 지면 두드리기 등 다양한 액션도 여기에 더해진다.


게임 진행 중에는 '바난자'라 불리는 특별한 변신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얼룩말, 타조, 콩 형태로 변신해 물 위를 달리거나 하늘을 나는 등의 능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한된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을 탐색하거나 적을 제압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수집 요소로는 '바나몬드'가 있다. 이를 통해 능력 강화나 스킬 획득이 가능하다. 외형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코스튬 시스템도 도입됐고, 조이콘을 활용해 조형 작업을 하는 'DK 아티스트'와 같은 서브 콘텐츠도 마련돼 있다. 기존 팬은 물론 신규 유저도 즐길 수 있도록 폭넓은 콘텐츠가 구성됐다.

■ 쉐도우 라비린스

출시일: 2025년 7월 18일(PC, PS5, Xbox, 닌텐도 스위치2)


쉐도우 라비린스는 반다이남코가 선보이는 팩맨 45주년 기념작으로, 시리즈 최초로 메트로배니아 장르를 채택한 탐색형 2D 액션 게임이다. 팩맨 특유의 미로 구조를 계승했으며 어두운 세계관이 특징이다.


플레이어는 폐허가 된 행성에서 팩맨을 닮은 수수께끼의 구체 'PUCK'에게 선택된 8번째 적합자가 되어 여정을 시작한다. 미지의 적들과 맞서 싸우고, 깊은 미로를 탐색하며 점차 세계의 비밀을 파헤치는 것이 핵심 흐름이다.


전투는 기본 공격, 회피, 방어, 스킬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전투 중 방어 방식으로는 위험을 감수하는 패링과 안정적인 배리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 다양한 퍼크와 스킬을 장착해 플레이 스타일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특수 능력은 PUCK과의 연결을 통해 발현된다. 전투 중 적을 흡수하면 일시적으로 그 능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효과는 상황에 따라 전투 또는 탐험에 모두 활용된다. 일부 보스전에서는 이 능력이 공략의 열쇠가 되기도 한다.

■ 킬링 플로어3

출시일: 2025년 7월 24일(PC, PS5, Xbox)


서바이벌 협동 FPS 킬링 플로어3는 트립와이어가 개발한 킬링 플로어 시리즈의 최신작이다. 전작으로부터 약 70년이 흐른 2091년이 배경이며, 메가코프 호르진이 통제 중인 생체 병기 제드에 맞서 반란군 '나이트폴'이 싸운다는 설정이다.


기본 구조는 전작처럼 웨이브를 막아내는 생존 중심의 플레이지만, 캐릭터의 기동성이나 스킬 활용 폭이 더욱 넓어졌다. 6인 협동 혹은 솔로 모드를 통해 다양한 스킬과 무기를 활용해 적의 공세를 막아낸다. 산탄총, 화염방사기, 근접 무기 등 전통적인 무기 외에도 새로운 기능이 탑재된 장비들이 도입된다.


이번 작품의 큰 특징 중 하나는 제드들의 전면적인 리디자인이다. 사이보그 형태로 진화한 제드들은 강철 외골격이나 인공 장기를 지니며, 전작보다 훨씬 복잡한 패턴과 강력한 AI를 자랑한다. 또한 고유 처형 연출과 입체적인 움직임을 통해 전투의 긴장감을 끌어올린다.


그래픽 측면에서도 큰 도약이 이루어졌다. 언리얼 엔진5를 기반으로 한 이번 작품은 고어 연출과 충격 표현이 더욱 세밀해졌으며, 조명과 효과 연출도 전작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개선됐다. 시리즈 특유의 강렬한 액션과 비주얼이 더욱 부각돼 기대를 모으고 있다.

■ 명말: 공허의 깃털

출시일: 2025년 7월 24일(PC, PS5, Xbox)


명말: 공허의 깃털은 중국 개발사 Leenzee에서 제작한 3인칭 소울라이크 액션 RPG다. 명나라 말기 촉을 배경으로 괴질과 파벌 분쟁에 휘말린 세계 속에서 주인공 '무상'이 잃어버린 기억을 따라가는 여정을 그린다.


전투 시스템은 회피, 패링, 잡기 등 기본 소울라이크 요소 따른다. 중국식 무술 동작과 유파 스킬을 결합해 독특한 리듬감을 제공한다. 무기별로 전용 기술과 모션이 존재하며, 적의 자세를 무너뜨려 치명타를 넣는 전술적인 전투도 가능하다. 스킬은 실시간으로 교체할 수 있어 상황에 맞는 대응이 가능하다.


성장 방식은 노드 기반 시스템으로 설계돼 플레이어가 원하는 방향으로 능력치를 세분화해 올릴 수 있다. 특정 행동을 통해 스킬 자원을 충전하고, 이를 활용해 스킬을 사용하는 구조다.


고대 유적과 폐허, 신전 등 다양한 지역이 등장하며, 복장을 포함한 수집 콘텐츠도 마련됐다. 각종 장비와 의상은 외형뿐만 아니라 능력에도 영향을 준다. 멀티 엔딩 구조도 갖췄다. 스토리 전개에 따라 다양한 결말이 기다린다.


김영찬 기자 as7650@gametoc.co.kr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5.07.09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게임톡은 "게임 유저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 이슈에 강한 기사"를 지향합니다.
채널명
게임톡
소개글
게임톡은 "게임 유저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 이슈에 강한 기사"를 지향합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오늘의 인기
    TOP10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