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곰이 남극으로 가면 살 수 있을까?
남극에 귀여운 펭귄이 있다면 북극에는 하얀 털로 뒤덮여 눈밭을 뒹구는 북극곰이 있습니다. 이런 북극곰의 특징은 매우 추운 곳에서 산다는 것이죠. 그런데 남극이나 북극이나 매우 춥다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왜 남극에서 곰을 보기 힘든지 궁금해집니다. 만약 북극곰이 남극으로 가면 과연 북극곰이 살 수 있는 걸까요?
![]() shutterstock |
이에 대해 여러 조사를 해봤지만 명확한 답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다만 이에 대해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찾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북극곰이 남극에 가면 어떻게 될지에 대한 몇가지 가능성이 높은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대답은 북극곰의 특징과 남극과 북극의 차이에 있다고 합니다.
사실, 하얀 털로 뒤덮인 북극곰의 피부는 검은색인데 이는 북극곰이 그린란드, 시베리아 또는 알래스카에 살던 흑곰계열이기 때문입니다. 보통 이 흑곰들은 먹이를 찾아 북쪽으로 움직이기도 했는데 이 과정에서 유빙을 타고 이동하게 되어 현재 북극까지 가게 된 것이죠.
![]() 북극곰+흑곰은?, flickr |
그렇게 북극에 온 흑곰은 현재 북극곰의 서식지로 알려진 노르웨이의 베링 해, 시베리아 북부, 그린란드,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 등에 정착하게 되었는데 이는 이곳에 바다표범과 물고기등 북극곰의 먹이가 풍부해 서식지로 괜찮은 환경이었기 때문입니다. 즉, 얼음에 뒤덮인 환경이 의외로 흑곰이 살기에 '나쁘지' 않은 환경이었던 것입니다.
먹이외에도 북극곰이 극한의 환경인 북극에서 살 수 있는 데에는 몸의 구조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북극곰은 영하 40도가 넘는 가혹한 추위와 강한 눈보라를 견뎌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갖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두꺼운 피하지방층입니다. 이 피하지방층은 무려 11cm나 되는 두꺼운 지방층으로 이를 통해 북극곰은 혹독한 추위속에서도 큰 체온 손실을 피할 수 있는 것이죠.
![]() IMstudio |
또한 피부에는 보온이 잘 되는 촘촘하게 난 짧은 털과 방수가 잘 되는 긴 털이 두 개의 층을 이루고 있는데 이 털 속의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어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즉, 단열효과는 높이고 체온 손실을 피하는 방식으로 북극곰은 극한의 추위를 견뎌낼 수 있는 것입니다.
즉 북극곰은 추운 환경에서 살기에 적합한 신체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런 점을 고려해보면 북극곰을 남극에서 볼 수 없는 이유가 더 의아합니다. 사실 이렇게 곰을 남극에서 볼 수 없는데에는 남극만의 특징이 큰 이유가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이유중 하나가 '의외로' 온도의 차이이죠.
북극의 평균 기온은 영하 35~40도 정도이며, 연중 가장 따뜻한 시기의 평균 기온은 10℃를 넘지 않습니다. 이에 반해 남극대륙의 평균 기온은 내륙지역의 경우 영하 55도로 여전히 온도의 차이가 매우 크죠. 물론 북극곰의 신체구조가 추위에 잘 견디도록 되어있더라도 15~20도 이상의 온도차이는 극복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얼음의 형성과정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북극의 얼음은 바닷물이 얼어서 생긴 해빙으로 그 두께가 대략 10m를 넘지 않지만 남극은 눈이 쌓여서 생긴 것으로 얼음 두께가 평균 2,160m나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남극에서는 나무, 풀 등이 자라기 쉽지 않죠.
![]() https://www.lifeonthinice.org/ |
북극곰은 잡식성 동물입니다. 추운 날씨를 견디기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섭취하기 위해 북극 해변가의 빙하에서 주로 바다표범을 사냥하지만, 식물이 자라는 여름에는 사냥을 못하는 경우 초식을 하기도 하죠. 즉, 북극곰이 살려면 식물이 필요한데 남극에서는 이를 구하기가 쉽지 않은 것입니다.
gfycat |
마지막으로 거대한 얼음 대륙인 남극은 넓은 바다 한 가운데 위치해있다는 점이 문제가 됩니다. 북극곰이 헤엄칠 수 있는 거리는 최대 25㎞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이 남극의 빙하는 거리가 멀어 북극곰이 쉽게 가기 힘들죠. 또한 간다고 하더라도 남극의 빙산은 높고 커서 북극곰이 이동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입니다.
즉, 이런 점들을 고려했을때 북극곰이 남극으로 가서 살고 번성하기는 쉽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논문자료·자문 등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