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 두 개의 달이 뜨면 무슨 일이 발생할까?

지구는 태양계에서 현재까지 유일하게 생명체가 존재하는 대기와 해수를 가지고 있는 천체입니다. 그리고 달은 약 27.3일을 주기로 공전을 하고 있는 지구의 유일한 위성으로 지구와는 달리 크기가 작고 대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 낮과 밤의 기온차가 매우 커 낮에는 130℃까지 올라가고 밤에는 영하 170℃까지 내려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와 전혀다른 조건인 위성이지만 사실 달은 우리 삶에 상당히 큰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달은 먼저 조석(潮汐) 즉, 바다가 태양과 달이 지구에 미치는 기조력에 의해 오르내리는 현상의 원인이 이기도 하며 이는 지구상의 생명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프랑스의 레위니옹 대학 (University of Laurenion de La Réunion)의 연구에 따르면 수많은 열대 해조류종 중 한 종류인 Barau 페트럴(petrel)은 달의 위상에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유사한 이동 패턴은 여러 어류 및 갑각류 게와 같은 생물에서도 발견이 되었죠.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eh2&logNo=221270706594&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또한 달의 인력은 지구의 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기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요인입니다. 달로 인해 지구는 23.5도의 자전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 축을 중심으로 자전을 하는 것입니다. 이 기울기가 중요한 이유는 이 때문에 태양으로부터의 빛이 지구에서 넓고 고르게 퍼질 수 있어 지구의 기온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이상적인 온도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에 큰 영향을 끼치는 달이 만약 두개가 있다면 우리 삶은 어떻게 변화가 될까요? 여기에 대해 정확한 답을 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적 상식에 비추어 보면 여러가지 답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일단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두번째 달의 크기 그리고 지구상으로 부터의 거리에 따라 다릅니다. 지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쉽게 알아보기 위해 두번째 달은 현재의 달과 비슷한 크기를 가지고 있고 거리역시 비슷하다고 가정을 하도록 해보겠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달은 조석의 원인이 되죠. 만약 두 개의 달이 지구에 뜬다면 조석의 차이도 더 커지게 될 것입니다. 이를 유추해 보는데 도움이 되는 예가 바로 '슈퍼문'입니다. 지구와 달이 가장 가까운 지점에 왔을 때 보름달이 될 수 있는데, 이때의 보름달은 지구상에서 가장 가깝게 그리고 크게 보이기 때문에 슈퍼문(Super moon)이라고 부르고 있죠. 슈퍼문은 보통의 보름달에 비해 약 14% 정도 더 크게 보인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략 30% 정도 더 밝게 빛난다고 합니다. 이렇게 달이 크기 때문에 조석의 영향도 커지게 되죠.

슈퍼문 출처 :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63916

실제로, 제주의 한 언론사는 2016년도에 서귀포항을 비롯해 화순항, 우도 천진항 등 제주지역의 일부 항구가 물에 잠기는 사태가 빚어진 원인으로 슈퍼문을 지목했습니다. 달이 지구의 바닷물을 끌어당기는 인력이 커져 밀물과 썰물 차이가 평소보다 19% 이상 벌어졌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했다고 설명하면서 말입니다.

출처: 제주신문 (http://www.newsjeju.net/news/articleView.html?idxno=254894)

슈퍼문만으로도 이런 영향을 받는데 만약 두 개의 달이 뜬다면 이 영향은 더욱 커지겠죠. 어쩌면 해안선 근처의 도시들은 모두 큰 영향을 받으며 일부 지역은 침수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지구의 축 역시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약 4만1천년을 주기로 경사가 변화하는데 이 변화의 폭은 22.1°에서 24.5°으로 알려져 있죠. 그리고 지구의 빙하기는 지축의 변화때문에 발생했다고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의 물리학자 밀루틴 밀란코비치는 언급했습니다. 약 2°정도의 변화만으로도 지구의 빙하기가 찾아 오는데 지구의 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달이 두 개가 있다면 우리는 엄청난 기후의 변화를 겪게 될지도 모릅니다.

출처: http://m.nextdaily.co.kr/news/article.html?id=20160412800054#_enliple

현재 달은 지구에서 1년에 3.8㎝씩 멀어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 주기를 늦춰 4만년에 1초씩 하루의 총 시간을 연장하는데 만약 달이 추가되면 그 시간도 빨라져 수백만년 뒤에는 하루가 24시간 이상인 어쩌면 28시간이 넘을 수도 있다는 가정을 해 볼수 있습니다.

 

지구에 두 개의 달이 뜬다면 밤도 대낮처럼 밝아질지도 모르고 보기에도 근사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 결과는 우리가 전혀 바라지 않던 대단히 파괴적인 모습이며 우리 삶을 완전히 뒤바꿔 버리는 일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2019.07.26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분안에 스마트해지는 지식
채널명
스마트 1분
소개글
1분안에 스마트해지는 지식
    이런 분야는 어때요?
    오늘의 인기
    TOP10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