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안은 의외로 바이러스 안전지역이다? 사실일까?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로 많은 분들이 걱정이 많습니다. 거리에는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일부 사람들은 적극적으로 사람들이 몰리는 곳을 피해 한적한 곳을 찾아 가기도 하죠. 특히 이 시기에 여행을 계획한 많은 사람들은 여행을 갈지 말지 고민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들이 몰리는 공항 및 비행기내에서 초면의 사람들과 장시간 여행을 떠나는 것 때문에 고민이 된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의외로 기내에서는 우리의 예상보다 바이러스 전염가능성이 낮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 항공기내가 안전하다고 말하는 것일까요?
![]() |
비행기내는 밀폐되어 있고 좁으며 많은 사람들이 장시간 같이 있어야 되는 공간입니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 전염도 쉬울 거라고 판단하기 쉬운데 의외로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항공기의 공기 순환시스템을 살펴보면 이해하기가 쉽죠.
![]() |
항공기는 외부의 공기를 기내로 유입시키는데 이 때 유입된 외부 공기는 항공기내 엔진 압축기를 통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는 무려 200도가 넘을 정도로 가열이 되어 멸균 상태를 유지하게 되죠. 이렇게 높은 온도로 멸균된 공기는 객실에 공급되는데 이 때 거치게 되는 장치가 공기속 오존을 산소로 변화시키는 '오존 정화장치'와 가열된 공기를 냉각 시켜주는 에어컨 팩입니다.
![]() 대한항공 |
적절한 온도로 조절된 공기는 고성능 헤파(HEPA) 필터를 통하게 되죠. 헤파(HEPA :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라는 여과 장치는 직경 0.003밀리미터가 넘는 이물질을 99.9퍼센트 이상 완벽하게 여과해 주는 장치로 이 필터를 거쳐 나오는 공기는 우리가 흔히 생활속에서 접하는 공기보다 더욱 깨끗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뿐만 아니라 객실에 공급되는 공기는 매 2~3분마다 새공기가 기존의 기내 공기와 50대 50의 비율로 교환하기 때문에 공기의 질은 유지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깨끗한 공기는 기내의 상층부 흡입구를 통해 객실 승객들에게 공급이 되며 이후 하단부의 배출부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죠. 그리고 바로 여기에 기내 바이러스 전염도가 의외로 낮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 |
보통 바이러스 전파 경로는 크게 ▲비말감염 ▲공기감염 ▲접촉감염으로 나뉩니다. 비말감염이란 감염자의 체액, 즉 침, 콧물 등이 기침등으로 인해 튀어나와 다른 사람의 입이나 코로 들어가 감염이 이루지는 것을 말하며 공기감염은 바이러스 입자가 공기 중에 남아 상대방에게 전염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접촉감염은 말그대로 감염자를 접촉해 바이러스가 옮겨가 전염이 되는 것이죠.
위와 같은 이유로 바이러스는 밀폐된 공간에 환기시설에 문제가 있거나 환경오염이 있는 경우 많은 사람들에게 쉽게 전파가 될 수 있는데 기내의 경우 멸균시킨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키니 오히려 외부보다 더 깨끗할 수 밖에 없죠. 더군다나 객실 내 공기는 상층부 흡입구에서 하단부를 향해 흐르는 수평형 흐름이 아닌 위아래 수직으로 흐르는 방식입니다. 즉, 공기의 힘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를 차단하여 공기중의 이물질 출입을 차단하는 에어커튼 방식이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것입니다.
![]() 비행기내 에어커튼 |
실제로 2015년에 발생했던 전염병 '메르스'의 경우에도 기내에서 전염병이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당시 대부분의 전문가들 역시 기내에서 바이러스 전파 확률은 매우 낮다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도 문제가 있는데 이는 바이러스가 접촉감염에 의해서도 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 노컷뉴스 |
즉, 비행기내에 전염자가 있고 이들과 어떤 식으로 접촉이 있을 경우 감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감염의 위험은 존재하는 것 이죠. 이런 점에서 비행기내도 '의외로' 전염 가능성이 낮을 수 있지만 가능성이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 비행기로 여행을 하실 계획이 있으시면 바이러스 예방대책을 충분히 숙지하고 대비하시는 것이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자료·논문자료·자문 등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