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 서비스(제품)명
- Starship Technologies(London/England)
- 서비스일
- '14년 7월
- 서비스 내용(Android/iOS/Web)
-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한 근거리 식료품 배달 플랫폼
- 서비스 채널
- iOS, Android
- BM 카테고리
- Smart Device & IoT
- 선정 사유
- 최근 많은 유통 업체들이 물류 혁신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며 무인 드론 배송이 주목을 받고 있음. 스타쉽 테크놀로지(Starship Technologies)는 비행용 드론이 아닌 육로를 이용하는 자율주행 로봇을 통해 물류 혁신을 이루고자 하는 기업임
- 투자관련
- 총 투자금액: 1,720만 달러
- 최근 투자 유치 현황: '17년 1월 1,720만 달러의 Seed 단계 투자를 유치함(Daimler, Grishin Robotics, HOF Capital, Matrix Partners, Morpheus Ventures 외 3)
수익모델 및 서비스 실적
- 수익모델
- 이용 수수료/직접 제품, 판매 마진: 고객사는 앱과 로봇을 포함한 플랫폼 전체를 구매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스타쉽에 지불하는 옵션과 로봇을 활용한 배송 한 건당 일정 금액의 이용 수수료를 지불하는 옵선 중 선택할 수 있음
- 서비스 실적
- 메트로 그룹(Metro Group), 도어대시(DoorDash), 포스트메이츠(Postmates) 등을 비롯해 다양한 고객사와 협력해 상용 서비스를 런칭함
- 현재 영국 외에도 독일과 미국 실리콘밸리, 워싱턴 D.C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 중
-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배송허브 역할을 하는 차량 로보밴(Robovan)을 개발함
창업자 배경
- 창업자들의 이전 경력
- 공동 창업자인 아티 헤인라(Ahti Heinla)와 자누스 프리스(Janus Friis)는 스타쉽 테크놀로지 창업 이전 인터넷전화 및 영상통화 앱인 스카이프(Skype)를 공동 창업한 경력이 있음
- 창업 계기
- 스타쉽 테크놀로지는 창업 당시 화성에서 암석 샘플을 채취하는 용도로 자율주행 로봇을 개발했으나, 이 로봇을 배송에 활용하기로 결정하고 현재의 플랫폼을 구축함. 헤인라는 “소형 육로 기반 로봇을 활용해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드론을 활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간단하고 안전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밝힘
ROA Comment
- 사용자 입장에서의 이점: 스타쉽 테크놀로지의 자율주행 로봇은 모바일 앱을 통한 주문 후 5~30분 내에 배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비자는 빠르게 주문한 상품을 배송 받을 수 있음. 무인배송임에도 불구하고 충돌이나 경로이탈 등으로 인해 상품이 중간에서 유실될 위험이 적다는 것 역시 장점임. 스타쉽 테크놀로지의 로봇은 16년 11월 기준으로 20,000km 이상의 주행거리를 기록했으며. 안전사고 없이 300만 명 이상의 보행자와 접촉하였음. 전용 모바일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배송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상품이 어디쯤 오고 있는 지 궁금해 할 필요가 없다는 점 역시 장점이라 할 수 있음
- 사업자 입장에서의 이점: 스타쉽 테크놀로지를 통해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 물품을 중심 거점인 허브에 집중시킨 뒤 최종 배송지점으로 다시 분류해 배달하는 방식)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온디맨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스타쉽 측의 자료에 따르면,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함으로써 운전자가 배송할 때보다 10~15배 가량의 비용절감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건당 배달 비용을 1달러 이하로 낮출 수 있음.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무인 배송 수단인 비행 드론을 도입하는 것보다도 높은 비용효율을 낼 수 있으며, 특히 규제 조건이 상대적으로 덜 까다롭기 때문에 드론보다 상용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음
- 경쟁업체 대비 차별점: 스타쉽 테크놀러지와 유사하게 자율주행 로봇을 통해 로컬 딜리버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업체로는 디스패치 로보틱스(Dispatch Robotics)가 있음. 디스패치 로보틱스의 경우 최대 적재 무게가 45kg인 로봇을 통해 한 번에 여러 물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한 반면, 스타쉽 테크놀로지는 냉장 설비를 갖춰 음식 배달에 특화되었다는 차이가 있음. 메르세데스 벤츠와 함께 로보밴을 개발하는 등 배송허브 구축에 힘쓰고 있다는 점 역시 스타쉽 테크놀로지의 차별점이라 할 수 있음
- 향후 계획: 스타쉽 테크놀로지는 2017년 여러 고객사를 유치해 지금까지 소규모로 진행해 온 서비스를 대규모로 확대할 계획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필자소개 - 글
- 버티컬플랫폼 |로아컨설팅(ROA Consulting)
- 약력/소개
-
플랫폼 업계의 이슈/인사이트, 플랫폼 스타트업의 BM을 분석하는 전문 미디어입니다.
버티컬플랫폼 님의 다른 글 -
동영상 The Four Horsemen-디지털 4대 깡패(Gang of Four)의 미래는? -
아마존과 월마트의 커머스 전쟁 ‘끝장분석’ -
디지털 변혁에 성공하려면? – “디지털 변혁 적응 조직”을 구축하라 -
가상화폐와 블록체인의 미래 -
신용카드와 핀테크의 미래 -
동영상 ROI를 높이는 비디오 마케팅 전략과 성공 사례 -
동영상 서드파티 업체들을 위한 맞춤형 음성인식 어시스턴트, Voysis -
실리콘앨리 2017 : Silicon Alley Again -
월마트와 아마존의 온라인 커머스 전쟁 -
스포츠 스타에서 스타 투자가로 -
4차 산업혁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
4차 산업혁명은 누구를 위한 ‘혁명’인가? -
동영상 서버 연결 없이 소형 기기에서 바로 구현되는 AI, XNOR.ai -
동영상 AI와 스타일리스트가 함께 의상을 추천해주는 ‘취향저격’ 쇼핑 서비스, Stitch Fix -
동영상 로봇 바리스타가 커피를 만들어주는 카페, Cafe X Technologies -
동영상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달러샵, Hollar -
동영상 AI를 활용해 콘텐츠의 가독성을 높여 주는 마케팅 솔루션, Atomic AI -
동영상 스크린샷으로 인스타그램 속 패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 서비스, Geenee -
다양한 방식의 AI 플랫폼 제공 방안 등장 -
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인가? -
전기차는 파괴적 혁신이다 -
동영상 2017년 비디오 마케팅 생존 지침서 -
동영상 AI를 활용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블랙박스 앱, Nexar - 온라인 신선식품 시장,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
저렴한 가격으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타임커머스 플랫폼, 타임티켓 -
인공지능과 웨어러블, 시각장애를 해결 할 미래기술로 부상 -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 ‘광군제’ 이모저모 -
IoT 시장은 어디로 가고 있나? -
2016년 왕홍 보고서, ‘그들은 누구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