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착같이 모은 600억, 인문·예술에 바친 ‘괴짜’ 단추회사 회장님

[라이프]by 조선일보

인문학교 ‘건명원’ 이어 미술관 여는

오황택 두양문화재단 이사장

조선일보

“저는 거룩한 말, 경건한 말 할 줄 모릅니다. 허허.” 다음달 문 여는 경기도 양평 이함 캠퍼스에서 오황택 두양문화재단 이사장이 함박웃음 지었다. /이태경 기자

7년 전 각계 유명 학자들이 의기투합해 인문학을 가르치겠다고 팔 걷어붙여 화제가 됐다. 최진석(철학) 배철현(종교학) 김대식(뇌과학) 김개천(건축) 등이 참여한 서울 가회동의 건명원(建明苑)이라는 학교였다. 사재 100억원을 쾌척해 이 학교를 세운 사람은 오황택(74) 두양문화재단 이사장. 1978년 단추회사 ‘두양’을 설립한 사업가였다. 대기업도 선뜻 하기 힘든 일을 중소기업이 해 조명받았지만, 개교 날 그는 카메라 앞에 서지 않았다. “주인공은 내가 아니다”라는 이유였다.

조선일보

2015년 두양문화재단이 만든 서울 가회동의 인문학교 '건명원'. /이진한 기자

‘괴짜’ 단추회사 회장님이 이번엔 미술관을 연다. 다음 달 중순 개관 예정인 경기도 양평 ‘이함 캠퍼스’. 남한강 주변 1만 평에 전시장, 강연장 등 건물 8동으로 구성된 대형 문화 시설이다.


“나는 거룩한 말, 경건한 말 할 줄 모릅니다. 그저 평범한 단추 파는 상인일 뿐이에요. 인터뷰? ‘쫄아서’ 여태 안 했지요. 허허.” 지난 8일 이함 캠퍼스에서 만난 오 이사장은 ‘인생 첫 인터뷰’라며 너털웃음 지었다. 장신(長身)의 노신사는 계절을 새치기한 땡볕에도 아랑곳 않고 까만 운동화를 신고 미술관을 누비고 있었다.


남한강 줄기를 따라 1만 평에 조성한 양평 이함 캠퍼스. /사진가 박영채

범상치 않다, 이 미술관. 새로 문 여는데 노출 콘크리트로 된 건물엔 세월의 흔적이 짙게 배어 있다. 땅을 사서 건물을 지은 건 20여 년 전. 1999년 완공 이후 텅 비워놨다. “뭔가 다른 미술관을 구상했는데 딱 떠오르지가 않더군요. 답을 찾는 데 20년 걸렸죠.” 3000평에서 시작해 조금씩 사들인 땅이 1만 평으로 늘었다. 초창기 심은 메타세쿼이아 묘목이 어느새 아름드리 나무가 됐다.


미술관 설계자로 그 세월을 지켜본 건축가 김개천은 “지어놓고 어떻게라도 빨리 보여주려는 게 사람 심리인데 이런 분은 처음 봤다. 결코 시간에 쫓기는 법이 없다”고 했다. 마흔이던 건축가는 그새 예순을 훌쩍 넘긴 중진이 됐다.


건축가 김개천이 설계한 양평 이함 캠퍼스. /사진가 박영채

20년 고민 끝에 얻은 답은 “일반인의 문화 안목을 ‘업’ 시키는 미술관”이었다. “프랜시스 베이컨이다, 피카소다, 비싸고 유명한 작품은 이미 우리 사회 다른 분들이 보여주고 있어요. 우리는 예술 피라미드의 중하층 안목도 틔울 수 있는 예술, 덜 알려지고 실험적인 작품을 보여주려 합니다.” 개관전 초대 작가는 젊은 미디어 작가 ‘사일로 랩’이다.

조선일보

이함 캠퍼스 개관전 초대 작가인 '사일로 랩' 작품. /김미리 기자

그는 “유명하다고 해서 다 좋은 예술은 아니다. 선입견 없이 맨눈으로 봐서 좋은 작품이 내게 좋은 작품”이라는 지론을 갖고 있다. 유럽 공장에서 쓰던 인더스트리얼 디자인 제품, 폴란드 포스터를 수만 점 보유한 소장가이기도 하다. “기능에 충실한 이들 제품이야말로 일상의 무명 디자이너들이 만든 위대한 작품”이라고 믿는다.


오황택 이사장은 인더스트리얼 디자인 제품 소장가다. 양평 창고에 그간 모은 빈티지 가구가 가득하다. /이태경 기자

평범한 사람의 안목에 관심 둔 계기가 있다. “1980년대 일본 출장 가서 호텔방에서 모찌를 먹는데 포장을 어찌나 정성스럽게 했던지요. 우리는 그 포장 값이면 양을 더 넣는다고 생각하던 시절이었죠. 생각해 보니 소비자가 원해서 그런 포장이 나온 거였어요. 그때 깨달았습니다. 그 나라 소비자들의 미감이 높아야 그 나라 상품 수준이 높아진다는 걸.”


미술은 소도(蘇塗) 같은 존재였다. “회사가 종로에 있는데 골치 아프면 근처 인사동 화랑에 갔어요. 거기만 들어가면 근심이 싹 날아갔습니다. 이 좋은 걸 알려야겠다 생각했죠.”

조선일보

경기도 양평 미술관 '이함 캠퍼스'. /김미리 기자

이함 캠퍼스란 이름엔 그의 미술관 철학이 투영돼 있다. ‘빈 상자로서’라는 의미의 ‘이함(以函)’과 구글·애플 같은 IT 회사의 사옥에 주로 붙는 명칭 ‘캠퍼스’를 조합해 “문화를 담는 상자로서 기능하면서 일반인들이 예술과 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캠퍼스가 되겠다”는 뜻을 담았다.


오 이사장은 황해도 사리원 출신 실향민. “낳아주고 키워주신 부모님께 미안하기 때문에 자수성가란 말은 싫다”면서도 “학창 시절 늘 경제적 긴장 속에 살았다”고 했다. 지독한 책벌레로 국문학과(중앙대)에 진학했지만 “장사해서 돈 벌어야겠다는 일념이 앞서” 관뒀다. 친구 아버지가 하던 단추 공장과 연이 닿아 그 길로 44년간 단추만으로 한 우물 팠다.


이함 캠퍼스 입구에 선 오황택 이사장. /이태경 기자

그렇게 악착같이 모은 돈 600억원을 인문학, 예술에 바쳤다. “내가 돈 대는 건 김밥 장수 할머니가 어렵게 번 돈으로 장학금 내는 것과 비슷해요. 나 같은 하찮은 소상인도 하는데 진짜 돈 많은 사람, 대기업은 더 인문학·문화에 관심 두라고 메시지 주는 겁니다.”


말은 쉬워도 실천은 어렵지 않나. “애들한테 물어보세요. 99% ‘훌륭한 사람 돼서 남 돕겠다’고 해요. 그런데 어른 되면 다 잊어버려요. 나는 잊지 않았습니다. 공부를 많이 못 해서인지, 남보다 나은 게 있단 생각을 해본 적 없습니다. 그저 상식을 실천하자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남들이 다행(?)스럽게도 이놈의 상식을 실천 안 해요. 그 틈새를 내가 차지했다고 해야 하나. 허허. "


인터뷰를 마치고 서울로 돌아오는 길, 그에게서 문자 한 통이 왔다. “무지렁이 백성이 원님과 독상 받으면 이런 느낌일까요. 평범한 얘기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평생 단추 만들어 모은 돈을 인문과 예술에 바친 삶. ‘평범’ 두 글자에 가둘 수 없는 인생 아닌가.


[김미리 기자]

2022.11.27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Copyright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