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탄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주상절리 협곡… 고구려 역사 탐방과 가을꽃 나들이[전승훈의 기자의 아트로드]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북부 한탄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연천은 용암이 만들어낸 주상절리와 폭포가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또한 삼국시대부터 치열했던 세력 다툼의 각축장이 됐던 곳이다. 고구려는 임진강 변에 호로고루, 당포성, 은대리성 등 10여 개의 성을 쌓았고, 신라의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릉도 연천에 있다. 임진강 변 주상절리 절벽 위에 세워진 고구려성 주변엔 가을에 코스모스와 해바라기가 만발했다. 가족과 함께 서울 근교 나들이에 맞춤이다.


● 현무암 주상절리 협곡 재인폭포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탄강(漢灘江)은 한반도의 중서부 화산지대를 관류하는 강이다. 강원 평강군에서 발원해 철원을 거쳐 경기 연천군 전곡읍과 미산면 사이에서 임진강을 만난다. 과거 이 지역에 화산활동이 일어나 용암이 흘러 한탄강 일대에는 수많은 협곡과 절벽이 형성됐다.


한탄강 하류인 연천읍 고문리에 있는 재인폭포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한탄강지질공원 내에 있는 대표적인 폭포다. 제주 천지연 폭포처럼 높은 절벽 위에서 쏟아지는 물이 그야말로 장쾌하다. 검은빛 현무암으로 둘러싸인 깊은 소(沼)와 에메랄드빛 폭포수가 어우러져 아늑하고 신비한 느낌을 준다. 포천에 있는 비둘기낭 폭포가 비둘기 둥지처럼 아늑하다면, 연천 재인폭포는 18.5m 높이의 물줄기가 떨어지는 절벽의 주상절리가 그야말로 ‘쭉쭉빵빵’이다.


재인폭포를 구경하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주차장에서 내리면 가장 먼저 도착하는 곳이 전망대다. 약간 비스듬한 각도에서 내려다보는 앵글로 폭포를 둘러싼 절벽에 울리고 나오는 굉음까지 한꺼번에 들을 수 있는 곳이다.


두 번째 포인트는 폭포에서 약간 떨어진 길이 80m의 출렁다리에서 감상하는 것이다. 폭포의 정면에서 공중에 떠서 보는 시각이다. 사람들이 지나갈 때마다 약간의 출렁거림을 참으면서 카메라를 쥔 손이 흔들리지 않도록 폭포를 촬영할 수 있다.


출렁다리 위에서 ‘재인폭포(才人瀑布)’라는 이름의 유래를 생각해 본다. 옛날에 줄타기를 잘하는 재인이 있었는데, 고을의 원님이 그의 부인을 탐했다. 원님은 재인에게 이 폭포 위에서 줄을 타는 재주를 보이게 하던 중 줄을 끊어 재인이 떨어져 죽고 말았다. 이후 원님은 재인의 부인에게 수청을 들게 했으나, 부인은 원님의 코를 물어뜯은 뒤 혀를 깨물고 자결했다고 한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이 폭포를 재인폭포라 불렀고, 마을의 이름도 절개 굳은 코문이(재인의 부인)가 살았다 해서 코문리로 부르다가 후일 고문리가 되었다고 한다. 재인은 폭포를 가로지르는 외줄 위에 올랐지만, 현재의 나는 튼튼한 강철 케이블로 만들어진 다리 위에서 그의 안타까운 심정을 되새겨 본다.


세 번째 포인트는 출렁다리를 건너서 데크길을 따라 300m 정도 걸어 폭포 아래쪽 계곡으로 내려가는 것이다. 데크길 끝에서 재인폭포의 위용을 감상하고, 머리 위를 지나가는 출렁다리와 계곡 절벽을 장식하는 현무암 주상절리를 감상한다. 주상절리는 뜨거운 용암이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고, 쪼개짐이 발생해 만들어지는데 보통 5∼6각형 기둥 형태를 이룬다.


재인폭포 뒤편에는 약 160m 길이의 선녀탕 산책코스가 있다. 폭포의 물이 어디서 내려오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선녀들이 목욕을 하고 갔다는 전설이 있는 ‘폭포호’의 맑은 물빛과 소리가 청명한 느낌을 주는 산책길이다.


● 고구려성에 피어난 해바라기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한탄강과 임진강을 따라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주상절리와 폭포 등이 웅장하게 펼쳐진 현무암 협곡 지역이다. 대부분의 현무암 주상절리는 바닷가에 나타나지만 이곳의 현무암 주상절리는 강 주변에서 볼 수 있어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사례이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호텔스 컴바인 배너 이미지1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에 있는 ‘임진강 주상절리’는 임진강 최대의 주상절리다. 높이 25m, 길이 2km에 걸쳐 병풍처럼 펼쳐진 ‘임진적벽(臨津赤壁)’이 장관을 이룬다. ‘적벽’은 해 질 무렵 붉은 저녁노을이 임진강에 반사돼 수직 절벽을 붉은빛으로 물들인다고도 하고, 가을이면 돌단풍이 주상절리 절벽을 붉게 물들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조선시대 화가 겸재 정선은 임진적벽의 아름다운 풍광을 진경산수화로 그리기도 했다.


고구려는 임진강의 적벽 위에 성을 쌓기도 했다. 그중에 임진강이 크게 굽어 흐르면서 강물의 흐름이 느려져 쉽게 강을 건널 수 있는 여울목을 수비하는 고구려성이다. 높이 20여 m 절벽 위 삼각형 모양의 땅에 지어진 성이다. 당포성이 강에 접해 있는 두 면은 자연 성벽 역할을 하는 주상절리 절벽이기 때문에 별도의 성벽을 쌓지 않았다. 평지로 연결된 동쪽에만 현무암을 이용해 높고 견고한 성벽을 쌓았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성벽 위에는 ‘당포성 나 홀로 나무’로 불리는 팽나무 한 그루가 그림처럼 예쁘게 심어져 있다. 당포성은 요즘 서울 근교에서 가장 쉽게 밤하늘의 별을 볼 수 있는 명소로도 유명한데, 이 팽나무를 중심으로 은하수를 찍기 위해 사진작가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이곳에서 10월 6∼7일에는 제2회 당포성 별빛축제가 열린다. 목화솜 체험, 별 보기 체험, 캠핑 체험 등 다양한 행사가 벌어질 예정이다.


경기 연천군 장남면을 흐르는 임진강은 5∼7세기 삼국시대 세력 다툼의 각축장이었다. 고구려는 백제와 신라를 견제하기 위해 임진강을 방어선으로 삼았다. 고구려 남하에 대비한 백제와 신라로서는 한강 이북 국경이었다. 그만큼 군사전략적 요충지였다. 지금도 굽이치는 임진강은 남북 간 경계선을 치달린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국사기에 임진강은 ‘호로하(瓠蘆河)’로 기록돼 있다. 경기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에는 고구려 시대의 성곽인 호로고루가 있다. 호로고루 일대에는 이맘때 해바라기가 가득 피어난다. 17일까지 열리는 장남면 ‘통일바라기 축제’는 3만3000㎡ 부지에 약 5만 송이의 해바라기가 관광객을 맞이한다. 지난 주말에는 아직 해바라기가 덜 피었던데, 이번 주말에는 만개할 것으로 보인다. 노을이 지는 호로고루를 배경으로 해바라기 꽃밭에서 인생샷을 건질 수도 있는 포토존으로 인기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천은 치열했던 삼국의 역사를 생각하며 여행할 수 있는 곳이다. 연천군 아미산 자락에 있는 숭의전은 고려 시대 왕들과 공신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또한 임진강이 내려다보이는 성거산 중턱에는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왕릉이 있다. 경순왕은 신라 제56대 왕이자 마지막 왕으로 후삼국 시대에 전쟁으로 힘들어하는 백성들을 위해 신하들과 큰아들 마의태자의 반대를 무릅쓰고 평화적으로 고려 왕건에게 나라를 넘겼다. 귀부 후에는 태조 왕건의 딸 낙랑공주와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고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경순왕릉은 신라 마지막 왕의 무덤이자, 경주 지역이 아니라 경기도에 있는 유일한 신라 왕릉이다.


연천 가볼 만한 곳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천군 중면 삼곶리에 임진강 댑싸리 정원이 9월 1일 개장했다. 8월 중순부터 연초록빛으로 물든 댑싸리는 가을이 깊어갈수록 붉게 물들어가고, 백일홍과 코스모스 등 다양한 꽃이 어우러져 피어 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천회관은 2020년 8월 시골 마을의 오래된 창고를 개조해 감성적인 베이커리 카페로 개조한 곳이다. 연천 지역의 특산품인 연천 율무를 넣은 ‘연천 커피’가 시그니처 메뉴다. ‘재인폭포 카스텔라’ 등 직접 만든 빵과 함께 인절미와 절편 등 전통 디저트도 판다.


전곡리 유적지에서는 고려 인삼축제(10월 7∼9일), 국화전시회(10월 14∼29일), 연천 율무축제(11월 10∼12일)가 잇따라 열릴 예정이다. 밤에 재인폭포를 배경으로 환상적인 조명쇼를 하는 ‘오르빛 미디어파사드’ 공연은 22일부터 10월 22일까지 매주 목∼일요일 진행된다.


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호텔스 컴바인 배너 이미지2
2023.10.06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