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인도 이어 호주·미국서도 퇴출 수순… 우리나라에서는?

[테크]by 한국일보
한국일보

마이클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틱톡의 시장 퇴출을 언급한 7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의 한 이용자가 틱톡 앱을 스마트폰에 띄우고 있다. 베를린=EPA 연합뉴스

창업 4년 만에 전세계 월 실사용자 수(MAU) 8억명을 넘어서며 트위터(3억3,000만명)·스냅챗(3억6,000만명)을 합친 것보다 몸집이 커진 중국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틱톡'이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았다. 중국과 갈등을 겪고 있는 인도에 이어 미국 정부도 보안상 위험을 명분으로 틱톡의 자국 내 사용금지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매달 300만명 이상이 틱톡 앱을 드나들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세계 각국의 '반(反) 틱톡' 움직임 여파가 미칠지 주목된다.


8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틱톡 금지는)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안이 맞다"며 "중국이 미국과 세계에 하는 짓들은 모두 매우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앞서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틱톡을 비롯한 중국 SNS 앱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말한 데 이어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미국에서만 2,600만명 넘는 사용자를 거느린 틱톡으로서는 거대한 시장을 또 한 번 잃게 생겼다. 앞서 국경 지역에서 발생한 유혈 사태로 중국과 갈등을 빚던 인도가 틱톡을 비롯한 수십 개의 중국 앱을 자국에서 차단했고, 호주에서도 틱톡이 이용자 정보를 중국으로 빼돌린다는 의혹을 강력하게 제기하고 있다. 홍콩에서는 이미 틱톡 앱이 사라진 상황이다. 이로 인해 틱톡이 잃게 될 이용자 수는 1억5,000만명에 달한다. 공격적인 해외 시장 확장으로 매년 2배 넘게 초고속 성장을 거듭하던 틱톡 입장에서는 거대한 벽을 만난 것이다.

한국일보

국내에서도 약 300만명의 월활성이용자수(MAU)를 확보하고 있는 틱톡. 틱톡 제공

이들 국가가 공통적으로 들고 있는 근거는 '개인정보 보호'다. 틱톡이 해외 시장에서 개인정보를 중국으로 빼돌리며 '스파이' 노릇을 한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틱톡은 앱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앱 접속 및 검색 기록, 기기 정보, 앱 내 메시지 내용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사용자가 동의한다면 정보 수집 범위는 훨씬 넓어진다. 전화번호부터 GPS 위치, 사진과 비디오, 결제 정보 등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틱톡 측은 "중국 본토 이외 지역 서비스는 중국 법 적용을 받지 않는 싱가포르 및 미국 지사에 모든 정보가 저장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지난해 틱톡이 부모 동의 없이 13세 미만 아동 이용자의 각종 개인정보를 수집했다며 과징금 570억달러(약 68억1,400만원)를 부과하기도 했다.


국내 당국도 틱톡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 조치 미흡을 들어 과징금 처분을 내릴 확률이 높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10월부터 틱톡 싱가포르 법인에서 사이버 보안 위협 관련 자료를 요구하는 등 틱톡의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조사해왔다. 방통위에 따르면 틱톡은 만 14세 미만 아동 개인정보 수집 시 필수적인 법정 대리인의 동의를 받지 않는 등 정보통신망법을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다. 방통위는 관련 조사를 모두 끝낸 상태로, 이르면 다음주 중 처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미국이나 인도처럼 서비스 접속을 차단하는 조치까지 내려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보통신망법에 따르면 접속차단 조치는 불법촬영물 등이 유통됐을 경우에 한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미국과 인도의 '틱톡 때리기'가 국가간 국경 및 무역 분쟁 일환으로 발생한 일종의 '복수'라는 점에서 부화뇌동 식의 과도한 대응을 삼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CNBC는 "화웨이가 하드웨어 장비 기업 대표로 지난해 미국의 안보 위협 대상으로 지정됐던 것처럼, 이번에는 틱톡이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제2의 화웨이'가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숏폼(Short Form) 콘텐츠'의 시대를 연 틱톡은 15초에서 1분짜리 짧은 동영상을 게시해 공유하는 SNS 플랫폼으로, 사용자의 40%가 16~24세일 정도로 'Z세대' 인기를 독차지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운영사 바이트댄스는 약 1,000억달러(약 120조원) 가치가 있는 세계 최대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했다.


곽주현 기자 zooh@hankookilbo.com

2020.07.10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