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도 같이 못 써요"... 갑질 넘어 계급화한 '스타 왕국'

[스타 권력과 한류의 양극화] ① 견제받지 않는 성역

한국일보

대중문화 시장에서 스타 권력은 절대적이다. 방송사와 제작사들은 스타들을 잃을까 전전긍긍하며 월권을 하나둘씩 들어주고 끌려다니며 한류 시장의 '성장'을 위해 갑질을 묵인한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 그래픽=박구원 기자

"'옥장판 논란'이 부러워요."

TV에서 방송 중인 드라마의 제작사 대표가 옥주현의 '친분 캐스팅' 논란으로 시끄러워진 뮤지컬계를 두고 한 말이다. 옥주현의 캐스팅 개입 여부와 관계없이 막강한 티켓 파워를 가진 스타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뮤지컬계가 건강해보였다는 게 이 제작자의 얘기다. 한류 콘텐츠의 중심인 방송 드라마 업계는 스타가 이미 막강한 권력으로 자리 잡아 공개적인 견제 목소리를 내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누구라도 시장 밖으로 내몰릴지 모른다는 두려움으로 스타 권력에 대해 입을 닫고 있는 현실이 화려함 뒤에 숨은 한류의 일그러진 이중성이다.

한류가 키운 스타 권력의 이면

배우 김정현이 2018년 드라마 '시간'에서 돌연 중도 하차하는 과정이 지난해 뒤늦게 드러나 스타 권력 남용에 대한 지적이 일부 나왔지만, 그간 수면 위로 오른 스타들의 갑질 행태는 빙산의 일각이라는 게 업계 종사자들의 한탄이다. 촬영 거부는 비일비재하고 아예 대본까지 바꾸려 들거나 스태프나 단역을 천민 대접하는 등 스타의 무소불위식 월권으로 제작 현장이 몸살을 앓고 있지만 이를 견제하는 기능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가 잇따라 국내에 진출하고 배우 섭외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업계의 스타 의존도가 더욱 심화된 탓이다. 하지만 스타 권력 남용에 대한 불만이 언제 터질지 모를 화약고처럼 내부에서 부글거리고 있어 자칫 한류 시장에 대한 불신을 키우는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5시간 동안 밴에서 안 나와" 못말리는 갑질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들의 얘기를 종합하면, 스타의 갑질은 선을 넘은 지 오래다. 제작이 한창인 A 드라마 현장에선 최근 촬영이 갑자기 중단됐다. 출연 계약 때 특정 장면 촬영 동의를 해놓고 막상 제작이 진행되자 촬영을 거부한 배우가 몽니를 부린 게 발단이었다. 이 드라마 관계자는 "의상 문제를 이유로 배우가 밴에 머물며 예정된 콜(촬영 진행) 시간에 나오지 않고 다섯 시간이 지나서 나왔다"며 "기다리던 촬영 스태프는 모두 지쳤고 시간도 너무 흘러 제작진이 결국 그날 반나절 촬영을 접어야 했다"고 말했다. 촬영 거부의 이유는 그야말로 마음 내키는 대로 제각각이다. 의상이나 대본 내용뿐만 아니라 특정 연예인과 대기실을 같이 쓰는 것도 트집 대상이다. 배우의 일탈로 촬영이 취소되면 수많은 스태프들이 다시 모여야 해 제작비 출혈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일부 스타 배우는 촬영 현장에서 대본을 뜯어고치려고 해 마찰도 적지 않다고 한다. 최근 1년 새 방송된 B 드라마 제작 관계자는 "이미 대본이 다 나온 상황에서 주연 배우가 감독에게 특정 배우와 붙는 신을 많이 만들어 달라고 요구했다"며 "그 요구를 들어주자니 다른 주연 배우에게 변경 이유를 설명해야 해 감독이 한동안 뭉갰더니 그 배우가 갑자기 촬영장에서 일찍 가버려 촬영을 접은 적도 있다"고 말했다.


스타들의 입김이 세지면서 드라마와 영화 후반 영상 작업 스태프들의 업무도 더욱 힘들어졌다. 15년 넘게 드라마를 제작한 관계자는 "요즘 일부 스타들은 '촬영 후 보정'을 계약 조건으로 걸곤 한다"며 "촬영 후 계약한 배우의 얼굴 등을 컴퓨터그래픽(CG)으로 보정하다 보면 같이 화면에 잡힌 상대 배우와 얼굴색 톤 등이 너무 대비돼 보정 계약을 하지 않은 배우까지도 CG 작업을 해줘야 해 후반 작업이 점점 늦어지고 있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배우들의 얼굴을 보정하는 CG 작업으로 요즘 연예인들은 피부과에 다닐 필요도 없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온다.

한국일보

그래픽=송정근 기자

"우리 연예인에게 직접 말 걸지 말라" '도승지'의 등장

스타 권력이 비대해지면서 스타와 조연·단역, 스태프들이 아예 계급제 사회처럼 서열화됐다는 얘기도 나온다. 유명 댄서팀 라치카 멤버인 리안은 "어떤 가수의 댄서로 일정을 갔더니 여긴 아티스트용 화장실이니 다른 곳을 쓰라고 했다"며 "'어? 우리도 사람인데' 이런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제작 현장에선 조선 시대에 '왕'의 명을 전달하는 '도승지' 역할도 등장했다. 한류 드라마를 제작한 관계자는 "촬영으로 대기실에서 '이제 이동하시면 됩니다'라고 배우에게 말했더니 그 배우는 보는 척 마는 척하고 4~5m 떨어진 곳에 있는 매니저를 불러 '이제 가면 되니?'라고 묻더라"며 "매니저가 '우리 연예인한테 직접 말하지 마세요'라고 해 정말 치욕스러웠다"고 했다.

한류의 이율배반...불신 키우는 뇌관

이 같은 스타들의 권력과 갑질은 한류의 이율배반적 행태라는 점에서 자칫 한류의 기반을 흔드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소지가 다분하다. 한류 콘텐츠가 성 역할의 고정관념을 허물거나 인종적 다양성을 부각시키고 사회적 갈등을 리얼하게 다뤄 전 세계적 공감을 얻고 있는 상황에서 정작 한류 제작 현장이 불합리하고 전근대적이라면 한류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글로벌 한류 소비자들은 K콘텐츠에서 스타의 재능과 더불어 윤리성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룹 방탄소년단이 "너를 사랑하라"는 메시지로 전 세계 MZ세대를 사로잡으며 세계 시장에 우뚝 선 이유다. K콘텐츠에서 공정과 윤리를 찾는 글로벌 소비자들이 스타의 실제 윤리 의식이 폭로되면 언제든 등을 돌릴 수 있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갑질은 개인의 일탈을 넘은 구조적 문제다. 방송사와 제작사들은 스타들을 잃을까 전전긍긍하며 월권을 하나둘씩 들어주고 끌려다니며 한류 시장의 '성장'을 위해 갑질을 묵인한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힘 없는 스태프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성상민 문화평론가는 "대중문화 시장도 연예인과 제작사, 스태프의 권리나 의무 그리고 책임의 경계를 명확하게 해 명문화시킨 뒤 내부 협의체를 만들어 객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며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 부처가 감시에 나서 개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승준 기자 comeon@hankookilbo.com

2022.07.07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