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은 우리 것... 일상적인 애정이 필요합니다

[라이프]by 한국일보

한국일보

10일 이선영 한복명장의 서울 논현동 작업실 한쪽 벽면이 다양한 색상의 두루마리 원단으로 빼곡하게 채워져 있다. 한복을 짓는 원단의 종류는 명주(비단), 모본단, 양단 등 총 13가지에 이른다. 서재훈 기자

한국일보

한복을 짓는 원단의 종류는 명주(비단), 모본단, 양단 등 총 13가지에 이른다.

지난 10일 서울 논현동의 한 한복 제작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작업실 한쪽 벽면을 빼곡하게 채운 두루마리 원단들이 시선을 끕니다. 대부분 비단 소재인 원단들이 연한 겨자색부터 분홍을 지나 붉은색 계열로 이어지거나, 연두색에서 시작해 초록과 파랑을 거쳐 진남색 계열까지 두루 걸쳐 있습니다.


이곳은 32년째 태극기와 애국가, 훈민정음 등 우리 전통 혼이 담긴 소재를 한복 디자인에 적용해 온 이선영 명장의 작업실입니다. 이 명장은 벽면을 채운 원단이 총 3,000필 정도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원단은 보통 명주(비단)를 포함해 13가지 재질로 나뉘는데, 이 작업실에는 명주와 모본단, 양단 등 3가지 재질의 원단이 있다"면서, "한복은 오방색을 기초로 하지만 계절에 따라 농도가 달라지고 염료에 따라 색이 바뀌다 보니 대략 80여 가지 색의 원단으로 만드는데, 한 벌을 만들기 위해 수천, 수만 번 바느질을 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한국일보

이선영 명장이 분홍색 저고리를 만들기 위해 한 땀 한 땀 바느질을 하고 있다. 한복 한 벌이 만들어지기 위해선 수천, 수만 번의 꼼꼼한 바느질이 필요하다.

한국일보

한복 한 벌이 만들어지기 위해선 수천, 수만 번의 꼼꼼한 바느질이 필요하다.

한국일보

수천번의 바느질을 하다 보니 바늘을 '원형바늘방석'에 꽂아두지 않으면 뾰족한 바늘에 다치거나 잃어버리기 쉽다. 바느질 하는 사람에게 이 방석은 필수품이다.

설명을 듣다 말고 "한복이 1년 중 한두 번 입는 옷이라 그런가... 이렇게까지 다양한 색상과 형태가 있는 줄 몰랐네"라고 혼잣말을 중얼거렸습니다. 이 말을 들었는지 이 명장은 "분명히 우리 것인데, 우리가 우리 것을 소중히 다루지 않아서 누군가 자기네 것이라 우기는 것만큼 억울한 일이 또 있을까요?"라고 물었습니다.


최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중국이 우리 한복을 중국의 소수민족의상으로 연출하면서 반중 감정이 고조된 일을 가리킨 것이었습니다. 이 명장은 중국의 이 같은 '한복 공정'에 대해 "논란이 생기는 것 자체가 안타까운 일"이라며 "한복은 수천 년 전부터 시대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화해 온 우리 전통 의복으로, 치파오나 한푸처럼 56개 민족의 다양한 복식이 접목해 만들어진 중국의 의복과는 근본부터 다르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일보

이선영 명장이 제작한 한복이다. 왼쪽부터 훈민정음, 태극기, 애국가 등 우리민족 고유의 혼이 담긴 것들을 소재로 제작됐다. 태극기 한복은 2017년 특허청으로부터 정식 등록(제30-0921671호)됐다.

최근 BTS 등 케이팝의 인기만큼 한국 문화에 대한 지구촌의 관심과 사랑이 갈수록 뜨거워지는 상황에서 올림픽 무대를 통한 한복 공정 시도는 국내 여론을 들끓게 만들기 충분했습니다. 이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도 갈리는데요. 구정우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중국이 우리나라를 이웃 국가로서 받아들이고 한국인과 한국 정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는 상황"이라며 "그런 면에서 좀 오만한 태도라고 볼 수 있고, 그 부분에 대해 비판하고 저항하는 것은 당연한 우리 국민의 권리이며 정당한 비판이자 저항"이라고 밝혔습니다.


그에 반해 익명을 요구한 D대학 사회학과 교수는 "사실, 고대사 자체가 겹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의복에서도 그런 공통점이 당연히 나타날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는데, 학교에서 이에 대한 정통성이 마치 우리한테만 있는 것처럼 교육을 받다 보니 이런 부분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문화재청은 16일 한복을 경복궁, 팔만대장경, 백제역사유적지구, 조선왕조 궁중음식, 떡과 더불어 '올해의 대표 홍보 문화유산'으로 선정했습니다. 이번 기회에 우리 것에 대한 평소의 관심, 한복에 대한 일상적인 애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더 많은 사람들이 느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일보

원단에서 부터 한벌의 한복이 만들어지기 까지의 과정은 단순해 보이지만, 바느질 한땀 한땀에 정성을 담아야 한다.

서재훈 기자 spring@hankookilbo.com

2022.02.23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