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에 낸 '빛 우물'서 해·달·별을 긷는 집

[라이프]by 한국일보
한국일보

서울 중구에 위치한 단독주택 '켈크하우스'는 중목 구조로 지어진 집이다. 천장에 구조 일부를 그대로 드러내 인테리어 효과를 줬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도심 속 마당 없는 작은 집은 단독주택 예찬론자조차 잠시 회의론에 빠뜨린다. 좁은 골목 안에 위치한 터라 자연을 누리기는커녕 시선 때문에 창문 열기도 조심스럽다. 그렇다고 도심의 화려한 야경이 보이는 위치도 아니라면? 그래도 단독주택 짓기가 의미 있을까? 지난해 9월, 서울 중구 동화동 골목에 들어선 '켈크하우스(대지면적 80.07㎡, 연면적 119.92㎡)'는 이런 세간의 우려를 불식시킨다.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 빽빽한 골목에서 빼꼼 솟아난 집은 하늘로 낸 창을 통해 햇빛과 달빛, 별빛을 끌어들인다.

독일의 기억을 담은 집, 유년의 기억을 담을 집

한국일보

서울 중구의 단독주택 '켈크하우스'의 정면. 오른쪽에 보이는 문이 이 집의 현관이다. 문을 열고 계단을 따라 2층으로 올라가면 가족의 생활 공간이 나온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켈크하우스는 삼각형 모양의 대지에 지어진 3층집이다. 흰색 외벽과 주황색 지붕이 밝고 활기찬 느낌을 준다. 최진혁(44), 박연주(35) 부부와 올해 초등학교 3학년, 일곱 살이 된 남매가 산다.


골목을 향해 큰 창과 출입구를 낸 1층은 원데이 클래스 운영 등 상업적 용도로 쓸 수 있게 만든 근린생활시설이다. 평상시엔 손님 맞이 공간으로 사용한다. 현관에 들어와 한 층 계단을 오르면, 이제부터 가족의 진짜 생활 공간이 나온다. 아이들의 방과 화장실, 욕실이 있는 2층과 주방과 거실이 있는 3층이다. 약 4평짜리 다락은 부부 침실로 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 아래층을 공용 공간, 위층을 사적 공간으로 이용하는 것과 다르게 아이들의 방(2층)과 어른들의 방(다락) 사이에 공용 공간(3층)이 자리한다. 각자의 공간에서 시간을 보내다 가운데서 만나는 구조로, 이 집에서 가장 밝고 넓은 3층에 가족들이 함께 시간을 보내는 공용 공간을 배치했다.


한국일보

'켈크하우스'의 1층. 상업적 용도로 쓸 수 있도록 별도의 화장실과 탕비실을 구비했다. 평소에는 손님 맞이용으로 쓴다. 내부에 별도로 문을 달아 2층의 생활 공간과 분리하고자 했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한국일보

2층부터 가족의 생활 공간이 시작된다. 남매의 각 방이 마주보고 있고, 가운데 빈 공간은 공부방, 놀이방 등 다용도로 쓰인다. 건축주가 독일에서 살았던 집의 아치, 둥근 형태가 곳곳에 반영돼 있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부부는 인근의 24평 아파트에서 신혼 살림을 시작했다. 둘이 살 때는 문제가 없었지만 아이가 태어나자 층간소음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집, 아이들이 유년의 기억을 간직할 집이 간절해졌다. 단독주택을 알아보던 중 남편이 독일 주재원으로 발령을 받으면서, 가족은 대지 매입 후 독일로 출국했다. 건축주는 독일에서 한국에 있는 건축사사무소와 온라인으로 소통하며 설계 과정에 참여했다.


5년간의 독일 체류 경험은 집 곳곳에 녹아 있다. 1층을 독립된 하나의 공간으로 만든 데는 독일에서의 경험도 컸다. "독일에서는 사람을 집으로 초대할 때가 많았어요. 이층집이었는데 공간이 분리돼 있으니 손님이 왔을 때 1층 식탁에 둘러앉아 늦게까지 이야기해도 편하더라고요. 그래서 이 집도 1층을 상업적 용도로 쓰지 않을 때는 사람을 자유롭게 초대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한 거죠."


2층의 문과 평면에 쓰인 아치도 독일 집의 사진을 보고 건축가가 차용한 것이다. 집 이름 켈크하우스는 이들이 살던 도시 '켈크하임'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그 여유로운 시간이 여기서도 지속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담았다.

가족 서가 된 계단... '계단멍'까지

한국일보

2층에서 3층으로 오르는 계단. 왼편에 책장을 만들어 놓고, 계단에 앉아 책을 보며 쉴 수 있도록 했다. 계단인 동시에 '가족 서가'로 쓰이는 공간이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1~3층까지 일자로 쭉 뻗은 계단은 이 집에서 단순히 층을 연결하는 이동 통로가 아니다. 공간 낭비의 주범으로 여겨지는 계단을 아예 널찍하게 만들어 스쳐 지나가는 공간, 버리는 공간이 아닌 그 자체로 독립된 하나의 공간으로서 기능하도록 했다.


설계를 맡은 이재혁 에이디모베 건축사사무소 소장은 "계단을 일부러 더 크게 만들고 옆에 책꽂이를 놓아서 책장, 책상, 옷장, 장식장 등 여러 용도로 쓸 수 있게 활용성을 높였다"며 "계단을 따라 위층으로 이동하면서 층마다 바뀌고 확장되는 공간의 변화를 감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족 서가'라는 이름도 붙였다. 이때 계단은 의자가 된다. 계단에 앉아 책을 읽기도 하고, 가끔씩 등을 기대고 쉬기도 한다. 남편이 제일 마음에 들어하는 공간이다. "앉아 보니 편하더라고요. 계단에 앉아 앞이 탁 트여 있는 공간을 가만히 바라보거나 쉬어요. 불멍 아니고 계단멍이죠."


한국일보

'켈크하우스'의 디자인 스케치. 하늘로 난 창을 통해 빛을 흠뻑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건축가와 건축주는 그래서 이 집을 '빛 우물'이라고 표현한다. 에이디모베 건축사사무소 제공

한국일보

서울 중구에 위치한 '켈크하우스'는 도심 속 좁은 골목에 지어진 단독주택이다. 스토로 마감한 흰색 외벽과 주황색 지붕이 밝고 활기찬 느낌을 준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3층의 바닥 창은 이 집을 특별하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다. 3층 바닥에는 지름 90㎝의 원형 창 두 개가 나 있다. "애들이 아직 어리니까 층이 다르더라도, 완전한 분리는 안 됐으면 좋겠다"는 건축주의 요구 사항을 반영했다. 굳이 내려가지 않아도 2층에서 아이들이 왔다갔다 노는 모습이 바닥 창을 통해 훤히 보인다. 건축가는 "적당한 분리와 적당한 연결이 실현된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집은 중목 구조다. 중목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보다 공기가 단축돼, 집들의 간격이 1m 남짓한 주택가에서 민원 없이 공사를 진행하는 데 큰 장점이 됐다. 내부는 목구조를 노출해 그 자체로 인테리어가 되도록 했다. 책장, 책상 등 일부 가구는 구조에 쓰인 목재로 맞춤 제작해 통일감을 줬다.

"우리 집은 빛 우물"... 달의 움직임을 느끼는 집

한국일보

거실과 주방이 위치한 3층은 이 집에서 가장 밝고 넓은 공간이다. 두개의 천창으로 들어온 빛은 바닥창을 통해 2층까지 전달된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이 집은 이웃집의 시선 간섭을 고려해 다른 단독주택에 비해 창 크기가 작다. 대신 집에서 가장 높은 3층과 다락에 3개의 천창, 오각형의 큼직한 창을 내 풍부한 채광을 확보했다. 창으로 들어온 빛은 3층의 바닥 창을 통해 2층 아이들 방으로 떨어진다. 건축주가 이 집을 "작지만 환한 집, 빛 우물"이라고 소개하는 이유다. 여기에 최대 4.9m에 달하는 높은 층고, 다락으로 이어지는 복층형 구조가 더해지며 공간의 개방감을 높인다.


밤이 되면 아이들은 천창으로 달을 관찰한다. "다락에 누워 천창으로 달이 어떻게 생겼는지, 한참을 봐요. 만약에 달이나 별이 없으면 아쉬워 하고요. 전에는 별 관심 없었거든요. 풀과 나무, 새소리가 없어도 하늘과 구름, 별빛과 달빛이 대체재가 되는 거죠."


한국일보

부부 침실로 쓰이는 약 4평짜리 다락. 아이들은 이 집으로 이사오고 나서 다락의 천창을 통해 달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일률적인 평면에서 벗어난 삶은 다채로워졌다. 가족은 아파트에서 살 때보다 확실히 생활이 "단조롭지 않다"고 느낀다. "예전에는 금요일 저녁만 되면 주말에 갈 곳을 검색했거든요. 어떻게든 집 안이 아니라 집 밖에서 보내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어요. 그런데 이제는 그냥 집에서 편하게 있어요. 특별히 무언가를 하지 않아도 알차게 보냈다는 생각이 들어요."


천지가 놀이터인 집은 아이들의 한국 생활 적응도 무난하게 도왔다. 독일에서 마당이 딸린 넓은 집에 살았던 터라 서울 생활을 갑갑해할까 봐 내심 걱정했지만 기우였다. 오히려 "층별로 색다른 공간을 재미있어 하는" 눈치다. 건축주는 "아파트에 살 때는 그림을 그리더라도 한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그렸다면, 지금은 아이들 스스로 2층, 3층 어디에서 그릴지부터 계획한다"며 "단독주택에 살면서 아이들도 공간을 입체적으로 쓰고 사고하게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송옥진 기자 click@hankookilbo.com

2022.03.25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