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배우가 동시에 세 작품…뮤지컬 업계 ‘겹치기 출연’ 고질병

[컬처]by 헤럴드경제

배우 ‘겹치기 출연’은 뮤지컬 산업의 구조적 문제

단기 공연ㆍ티켓 팔이 급급…스타 배우, 아이돌 멀티 캐스팅으로 이어져

새로운 스타 발굴ㆍ극장 경계 허무는 과감한 캐스팅 필요

헤럴드경제

뮤지컬 배우 김소향은 대표적인 다작 배우로, 현재 ‘모차르트!’ 무대에 오르고 있으며, ‘루드윅:베토벤 더 피아노’(6월 30일~9월 27일), ‘마리 퀴리’(7월 30일~9월 27일)의 개막도 앞두고 있다. [라이브 제공]

뮤지컬 배우 김소향은 대표적인 다작 배우다. 올 상반기 ‘웃는 남자’(1월 9일~3월 1일), ‘마리 퀴리’(2월 7일~3월 29일)의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고, 현재는 ‘모차르트!’(6월 16일~8월 9일) 10주년 무대에 오르고 있다. 동시에 ‘루드윅:베토벤 더 피아노’(6월 30일~9월 27일), ‘마리 퀴리’(7월 30일~9월 27일)의 개막도 앞두고 있다. 탁월한 가창력과 탄탄한 연기, 본인만의 작품 해석력을 갖췄다는 점이 제작사들이 자주 찾는 이유다. ‘브로드웨이42번가’(6월 20일~8월 23일)에 출연 중인 김환희, ‘렌트’(6월 13일~8월 23일)에 출연 중인 최재림은 나란히 ‘킹키부츠’(8월 21일~11월 1일)에 출연, 숨 고를 틈 없이 무대를 바꾼다. ‘모차르트!’에서 열연 중인 박은태도 공연이 끝나자마자 ‘킹키부츠’로 관객과 만난다. 뮤지컬 연습이 보통 개막 두 달 전 시작되는 걸 감안하면 이미 동시에 두 작품을 오가는 중이다.


뮤지컬 배우들의 ‘겹치기 출연’이 여전하다. 뮤지컬 산업은 해마다 성장하고 있지만, 한 배우가 동시에 여러 작품에 출연하는 ‘겹치기’는 국내 뮤지컬 업계의 취약함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배우들의 ‘겹치기 출연’은 “업계의 고질병”이라고 꼬집는다. 원종원 순천향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배우들의 겹치기 출연은 어느 개인이나 한 제작사의 문제가 아닌 업계의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말했다. 지혜원 경희대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역시 “뮤지컬 산업의 제작 관행의 문제”라는 지적이다.

헤럴드경제

뮤지컬 ‘모차르트!’에 콘스탄체 역으로 캐스팅 된 김소향, 김연지, 해나(왼쪽부터)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배우들의 겹치기 출연이 가능한 것은 지난 10년 사이 ‘멀티 캐스팅’이 늘었기 때문이다. 원 교수는 “스타 캐스팅 위주로 작품이 돌아가다 보니 한 작품에 3~4명이 주인공으로 이름을 올린다”고 지적했다. 탄탄한 실력과 티켓 파워를 가진 스타 배우, 강력한 팬덤의 아이돌이 전면으로 배치된 캐스팅으로 이젠 ‘더블’을 넘어 트리플, 쿼드러플 캐스팅이 일반적인 상황이 됐다. 현재 공연 중인 대작 뮤지컬 ‘모차르트!;’ ‘브로드웨이42번가’도 트리플 캐스팅으러 관객과 만나고 있다. 지 교수는 “제작사 입장에선 기존에 했던 배우들을 안정적으로 가져가면서 새로운 캐스트를 맞춰 넣는 경우가 많다”고 봤다. 실제로 제작사들은 “아무래도 티켓 파워를 고려해 캐스팅을 구상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배우들도 항변한다. 뮤지컬 배우 A씨는 “배우는 선택받는 입장이다 보니 출연 제의가 들어오면 고심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앞으로도 함께 해야 할 제작사라면 제안을 거절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멀티 캐스팅이 관례처럼 자리 잡은 이유로 원 교수는 ‘단기 공연’을 꼽았다. 그는 “브로드웨이나 웨스트엔드에선 같은 작품을 10년 이상 하고, 한 배우가 오랜 기간 하나의 역할만 해도 수입이 보장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내는 사정이 다르다. 1400~1700석에 달하는 대극장에 공연을 올린 뒤 평균 두 달 관객을 만난다. “해외처럼 하나의 배역만 맡아 완성도 있는 무대를 선보인다 해도 공연 이후엔 돈벌이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러니 배우의 입장에선 먹고 살아야 하고, 제작사 입장에선 티켓을 팔아야 하는 상황이다.


원 교수는 “공연을 단기로만 하다 보니 큰 극장에 스타 배우와 아이돌을 세워 일종의 부동산 떴다방 같은 환경을 만든다”며 “짧은 기간 안에 비싼 티켓을 팔아 승부를 보려고 하니 대중의 인지도가 높은 여러 배우를 쓰게 됐다. 결국 빈곤의 악순환이 이어지는 상황이다”라고 일갈했다.


배우의 풀이 적은 것도 겹치기 출연의 요인으로 꼽힌다. 제작사들은 “관객을 동원할 수 있으면서 주연급 배우로 내세울 만한 얼굴은 한정돼있다”는 입장이다. 여배우의 경우 옥주현 등 일부 톱스타를 제외하면 티켓 파워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런데도 같은 얼굴이 동시에 여러 작품에 등장하는 것은 배우 발굴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지 교수는 “여자 배우의 경우 워낙에 풀이 적어 파격적으로 기용하지 않으면 겹치기 출연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헤럴드경제

브로드웨이42번가 [샘컴퍼니 제공]

겹치기 출연의 피해는 결국 관객의 몫이다. 여러 작품을 동시다발적으로 하다 보니 완성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제작사에선 “배우들이 겹치기 출연을 한다 해도 매 작품을 온전히 소화해 완벽한 연기를 보여주면 문제는 없다”는 입장도 나온다. 하지만 관객도 같은 생각은 아니다. 몰입도가 떨어지고, 잦은 출연을 하는 배우의 캐스팅은 자연스럽게 꺼리게 된다. “예측가능한 연기와 노래”를 보여준다고 판단, 기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겹치기 출연’을 줄이고, 뮤지컬 시장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선 새로운 스타의 발굴이 필요하다. 원 교수는 “기존의 스타 캐스팅이 성숙되면 새 얼굴을 발굴해야 하는데 우리 뮤지컬 시장은 여전히 인지도 높은 스타 활용에만 집중한다”며 “스타를 세우는 것만이 아니라 새로운 스타를 발굴하고 키워야 문화산업으로서 비즈니스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헤럴드경제

여배우의 경우 극장 규모간 이동이 흔치 않은 뮤지컬 업계에서 배우 옥주현은 최근 중극장 뮤지컬 ‘마리 퀴리’ 출연을 확정하며 파격 행보를 보이고 있다.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극장의 경계를 허무는 것도 중요하다. 국내 뮤지컬 업계에선 남자 배우들과 달리 여자 배우의 경우 중소극장에서 대극장으로 넘어가는 것조차 쉽지 않은 현실이다. 지 교수는 “대극장에 서는 여자 배우들은 중소극장 규모의 작품에서 공연하지 않고, 중소극장 규모의 배우들은 대극장 작품에 기용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모든 극장을 넘나드는 배우로는 김소향이 유일하다시피 했고, 최근에는 옥주현이 ‘마리 퀴리’ 출연을 확정하며 1000석 이하 규모의 무대에 서는 파격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 교수는 “극장의 규모로 경계를 나누지 말고, 파격적으로 기용할 수 있는 캐스팅의 유연성을 발휘해야 겹치기 출연도 사라지고 뮤지컬 시장도 발전할 수 있다”고 봤다.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shee@heraldcorp.com

2020.07.02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