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 이슈 ]

틱톡 “인도, 우릴 끊지 말아달라” 美제재 끄떡 않던 中의 애원

by중앙일보

"서버가 싱가포르에 있다." "중국 정부가 요청하더라도 따르지 않겠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애원이다. 중국에서 시작해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으로 큰 틱톡 얘기다. 애원의 대상은 인도 정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케빈 메이어 틱톡 최고 경영자(CEO)가 최근 인도 전자정보기술부에 편지를 보냈다. 그는 편지에서 “인도 내 틱톡 사용자의 정보들은 싱가포르에 위치한 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다”며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는 인도 내 틱톡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란 사실도 언급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현지 채용을 늘리는 등 인도 시장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할 것”이라고 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메이어는 “틱톡은 인도 정부의 모든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요구사항 등을 준수하고 있다”며 “만에 하나 중국에서 인도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요청한다 하더라도 회사 측은 이를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자신들은 ‘중국’에서 자유롭다는 말을 나열하고 있다.



이유가 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발단은 지난달 29일이다. 이날부터 인도에서 틱톡 접속이 차단됐다. 인도 정부가 막았다. 이유는 ‘개인정보 보호’다. 인도 전자정보기술부는 이날 성명에서 “중국 앱이 인도의 주권과 안보, 공공질서를 침해했다”며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 금지 조치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중국 앱들이 승인받지 않은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인도 밖 서버로 무단 전송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사용 금지된 것은 틱톡과 위챗을 비롯한 59개 중국산 앱이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이슈를 들었지만, 결정적 계기는 최근 중국과 인도 간 국경 분쟁이다. 인도군과 중국군은 지난달 15일 히말라야 갈완 계곡에서 충돌했고 인도군 수십 명이 숨졌다. 인도에선 시위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사진을 불태우고, 중국산 제품 불매운동에 나섰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중국 정부는 유혈 사태의 책임이 인도에 있다며 국경지대에 병력을 추가 투입했다.


이런 가운데 틱톡 CEO가 인도에 구걸하다시피 다급한 편지를 보낸 것이다.



역시 시장 때문이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에 인도는 특별하다. 사실상 틱톡을 먹여 살리는 곳이라서다. 숫자가 보여준다. WSJ에 따르면 틱톡의 인도 내 다운로드 건수는 6억 6500만여 건이다. 전체 다운로드의 30.3%나 된다. 실제 사용자도 1억 2000만 명에 달한다.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는 틱톡 외에도 인도에 소셜미디어 플랫폼 헬로와 동영상 앱 비고비디오도 운영하고 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인도 정부의 조치로 모두 활동이 퇴출 조치를 받았다. 중국 관영 언론 글로벌타임스는 바이트댄스가 최대 60억 달러(약 7조 2000억 원)의 손실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인도, 틱톡 다운로드 30% 차지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틱톡의 간절함은 사실 중국 기업의 생각이다. 미국 무역제재에도 중국은 끄떡없었다. 하지만 인도는 다르다. 인구 13억의 시장은 세계 디지털 업계가 주목한다. 이곳을 선점해야 글로벌 시장 영향력과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미 중국이 인도에 발을 많이 담그기도 했다. CNN은 시장조사기관 캐널라이스(Canalys)를 인용해 “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이 인도 스마트폰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중국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인도의 주요 투자사”라며 “이번 조치로 중국은 국외의 강력한 기반을 잃게 되고, 중국 디지털 산업도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틱톡 외에도 인도 국영통신사인 BSNL과 MTNL이 최근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구축 사업에서 화웨이와 ZTE 등 중국 기업 배제를 결정했다. 중국 정부의 강경한 입장과 별개로 틱톡과 같은 중국 기업이 적극적 구애에 나서는 이유다.



물론 반중 정서는 인도 경제에도 큰 부담이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기업의 인도 투자가 많다는 건 그만큼 인도 기업들이 중국 자금에 의존하고 있다는 말과 같다. 실제로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인도판 배달의민족인 조마토는 중국 디지털결제 기업 앤트파이낸셜로부터 약 1억달러(1197억원)의 자금을 지원받는데 난항을 겪고 있다. 코로나19로 고전 중인 조마토로선 당장의 자금지원이 절실하다. 투자를 받으려면 인도 정부 승인이 있어야 하는데 최근 양국 분쟁으로 불투명해졌다.


코로나19로 중국이나 인도 모두 수십 년 만의 경제 위축을 경험할 전망이다. 두 나라의 치킨 게임은 언제까지 계속될까.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