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세에 첫사랑과 결혼했다, 83세 여걸의 766억 쾌척

[이슈]by 중앙일보

이수영 광원산업 회장, 전 재산 기부

경기여고·서울법대 '엘리트 인생'

기자 해직 후 소·돼지 키워 종잣돈

2년 전 대학 동기인 첫사랑과 결혼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는 과학은 모르지만, 과학의 힘이 얼마나 큰 줄은 압니다. 한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과학 기술 인재를 키워주기 바랍니다. 바라는 것은 그것 뿐입니다.”


23일 오후 2시 대전 KAIST 본원에 80대 할머니가 모습을 드러냈다. 평생 모은 재산을 KAIST에 기부하는 약정식의 주인공이었다. 이번에 기부하는 금액만 무려 676억원. ‘KAIST 개교 이래 최고 기부액’ 이라는 기록을 세웠지만, 시종일관 담담한 모습이었다. 그 와중에도 감사의 말을 전하는 KAIST 학생 대표에게서는 눈을 떼지 못했다. 할머니의 정체는 바로 이수영(83) 광원산업 회장이다.



총 766억원 기부…KAIST 개교 이래 최고액


이 회장이 KAIST에 기부금을 낸 것은 이번이 세번째다. 2012년 약 80억원 상당의 미국 부동산을 유증(유언으로 재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상으로 타인에게 증여)한데 이어 4년 뒤 또 다시 10억원 상당의 미국 부동산을 내놨다. 이번에 약정한 금액까지 총 766억원이다. 현재 KAIST 발전재단 이사장도 맡고 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금은 KAIST ‘싱귤래러티(Singularity) 교수‘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싱귤래러티에 선발된 교수는 임용 후 10년간 논문 평가를 받지 않고 연구에만 몰두할 수 있다. KAIST가 국내 최초로 도입한 제도다. 이를 통해 KAIST에서 국내 최초의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는 것이 이 회장의 바람이다.


서울대 법대 출신인 이 회장이 모교가 아닌 KAIST에 가장 많은 금액을 기부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미래는 과학기술 발전에 달려있고, 한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관이 KAIST라고 봤기 때문이다. 그만큼 KAIST에 대한 애정과 기대가 각별하다. 이 회장은 “세상 만사는 사람으로 시작해 사람으로 끝난다”며 “국내 GDP의 16%를 차지하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석ㆍ박사 연구인력의 25%가 KAIST 출신”이라고 설명했다. 2년 전 펴낸 이 회장이 자서전의 제목도 ‘왜 KAIST에 기부했습니까?’다.



美 연방정부 세 받는 '건물주'…"KAIST 기부 하고 행복"


대학을 졸업한 이후 이 회장은 법조인 대신 기자로 사회에 첫 발을 내딛었다. 1963년 서울신문에 입사해 한국경제신문을 거쳐 서울경제신문에 뿌리를 내렸다. 이후 1980년 전두환 정부의 언론통폐합 때 강제 해직됐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회장이 사업의 길로 들어서게 된건 기자 재직 시절 시작한 주말농장이 계기가 됐다. 농장 규모가 커지자 낮에는 신문사에서 일을 하고, 밤에는 경기도 안양의 목장에서 돼지와 소를 키웠다. 목장과 서울을 오가느라 하루에 한 시간 남짓 차에서 눈을 붙이며 살기도 했다.


기자를 그만두고 나서는 본격적으로 농장 일과 사업을 벌였다. 선친이 딸의 결혼 비용 등으로 남긴 50만원짜리 적금 통장 두 개가 사업 밑천이었다. 돼지 두 마리로 시작한 목장은 1000마리로 늘어나 전국에 소개될 만큼 주목 받기 시작했다. 돼지 출하 과잉으로 가격이 폭락했을 때는 국군장병 위문품으로 돌려 이익을 남겼고, 우유가 남아도는 ‘우유 파동’ 때는 농림부에 초등학생 우유 무료 제공을 건의해 판로를 뚫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목축업으로 시작했지만 이후 모래 채취 사업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부를 일궜다. 1988년에는 부동산 사업을 시작하며 광원산업을 세우고 여의도백화점 일부 매입 등을 통해 사업을 확장했다. 덕분에 미국의 연방정부가 세들어 있는 빌딩의 ‘건물주’라는 타이틀 까지 거머쥐었다. “성조기가 펄럭이는 건물의 주인이 나라고 생각하니 뿌듯했다”고 이 회장은 말했다. 이게 바로 KAIST에 유증하며 처음으로 인연을 맺게된 건물이다.


이 회장은 조직폭력배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기도 하고 신장암 투병을 하며 죽음의 고비도 넘겼다. “어떻게 모은 돈인데… 의미 없이 쓰이길 바라지 않았다”고 말한 배경이다. 이 회장은 “젊은 학생들은 조금만 도와줘도 스스로 발전해 사회에 더 큰 공헌을 한다”며 "KAIST에 기부하고 참 행복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가족은 장학사업으로 제2의 인생을 사는 이 회장의 든든한 조력자다. 80년 넘게 독신으로 살던 이 회장은 2년 전 서울대 법대 동기동창이며 첫사랑이었던 현재의 남편과 결혼했다. 대구지검 지청장을 지낸 김창홍 변호사가 그 주인공이다. 이날 행사에도 부부가 동행했다. 재력가의 기부에는 가족들의 으레 반대가 따를 수 있지만 이 회장은 “남편이 오히려 ‘이왕 마음 먹은거 빨리 하라’며 기부를 독려했다”고 전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2.08.07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