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여행 준비물 리스트 :: 여행 내내 요긴하게 쓰이는 꿀템은?
![]() |
여행하고 기록하는 에디터 선명입니다.
얼마전 저는 도쿄에 다녀왔어요.
여행은 가벼운 마음으로 떠날 때 가장 즐겁지만,
당황스러운 순간을 마주하고 싶지 않다면
준비물 몇 개만 잘 챙겨 보자고요.
일본 여행 준비물 리스트, 시작하겠습니다.
1. 동전지갑
![]() |
동전지갑은 사실 일본 여행에 있어 필수품 중 하나예요.
일본은 아직도 현금만 받는 가게가 많거든요.
해외여행하면 마스터, 비자카드가 필수인데,
이 카드 결제를 지원하지 않는
카드 단말기만 취급하는 곳도 가끔 있어요.
![]() |
카페나 음식점이 아니더라도
동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가챠샵은 동전을 넣어야 하죠.
그리고 일본은 잔돈을 동전으로 받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1,000엔, 그러니까 우리나라로 치면
1만 원 이상부터 지폐를 사용하거든요.
![]() |
![]() |
동전지갑은 엔화 단위별로 칸이 나누어진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평범한 지갑도 괜찮아요.
동전마다 재질과 크기가 다르기도 하고,
너무 작은 단위 동전은
자동으로 동전을 세는 기계에 넣으면 되니깐요.
2. 트래블로그 하나카드
![]() |
사실 동전지갑보다 더 유용한 준비물은
트래블로그 카드입니다.
일본뿐만 아니라 해외여행 준비물의 가장 핵심이죠.
여행 중 외화를 즉시 환전해서
현지 통화처럼 사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트래블로그는 장점이 다양한데요.
먼저 환전 수수료가 무료입니다.
언제 어디서 바꿔도 부담이 없죠.
또한, 원하는 시기에 미리 환전을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엔화가 쌀 때 미리 환전해 두었다가
훗날 여행에 사용할 수 있어요.
![]() |
환전 방식도 간단합니다.
충전해둔 하나머니를 당일 기준 환율로
즉시 환전할 수 있는데요.
만약 하나머니가 없다면 연결된 통장에서
자동으로 출금됩니다.
환전한 엔화가 다 떨어졌을 때도 마찬가지예요.
연결된 통장 > 하나머니 > 엔화 순서로 환전됩니다.
자동 환전 서비스는 언제든 비활성화시킬 수 있어요.
![]() |
![]() |
마지막으로 일본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세븐일레븐에서 무료로 출금이 가능합니다.
한국에서 만든 체크카드를
일본 편의점에서 무료로 환전할 수 있다니
에디터는 실제로 도쿄 여행을 하며
이 부분이 너무 편했어요.
발급하는 방법도 어렵지 않으니,
꼭 챙겨가세요!
3. 도쿄 메트로패스
![]() |
도쿄 여행은 지하철과의 전쟁입니다.
국내와 다르게 사철이 많아 서로 환승도 안 되는 데다
워낙 라인이 많아서 초행이면 쉽게 헷갈릴 수 있어요.
그럼에도 도쿄 메트로 패스를 추천하는 이유는
의외로 가격 대비 활용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 |
![]() |
![]() |
도쿄 메트로패스는 도쿄메트로 9개 노선과
도에이 지하철 4개 노선을
시간 내에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패스권이에요.
옵션은 24시간, 48시간, 72시간권이 있고,
72시간권 기준, 하루에 500엔 꼴입니다.
따라서 지하철을 세 번만 타도 이득인 셈이죠!
또한, 거리에 비례해 요금이 비싸지는 일본 지하철 특성상
너무 유용한 패스권이에요.
![]() |
![]() |
도쿄 메트로패스는 특정 역에서만 발권할 수 있어요.
도쿄메트로나 도에이 지하철이 지나가지 않는
장소에서는 판매하지 않으니 주의해 주세요.
여행 중 자주 들르게 되는
도쿄역과 시부야역, 신주쿠역에서 발권하는 걸 추천해요.
# 도쿄 메트로패스 예약 바로가기
4. 비짓재팬웹
![]() |
팬데믹 이후로 일본의 입국심사 과정은 더 편리해졌어요.
입국 전 미리 작성해 둔 입국 및 세관 신고서를
QR코드로 보여주면 바로 허가되거든요.
수기로 작성하던 과거와 달리
여행 전에 미리 체크인하듯 작성해두면
여러모로 입국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답니다!
![]() |
보통 비행기 출발 전 대기 시간에 작성하는 편이에요.
나리타 공항에 도착하고
비짓재팬웹으로 입국 심사를 통과하면
마지막으로 짐을 찾고 세관 신고를 거쳐야 하는데요.
이 과정에서 비짓재팬 QR코드를
사진첩에 저장해뒀다면
다른 이용객들보다 더 빨리
세관 절차를 통과할 수 있어요.
5. 유심 혹은 이심
![]() |
데이터 없는 해외여행? 저는 상상하고 싶지 않아요.
에디터는 가방에 자리도 차지하고
충전도 필요한 와이파이 도시락 대신
유심이나 이심을 강력히 추천하는데요,
둘 중에서도 별도의 준비물 필요 없는
이심을 더 추천합니다.
유심은 기존의 심카드를 따로 보관해야 하고
분실 위험도 있지만,
이심의 경우, 바우처 하나면 쉽게 등록하고
해지할 수 있어서 매우 매우 편리해요.
사전 구매를 통해 바우처를 받고,
캡처한 뒤 공항에서 등록할 수 있어요.
![]() |
처음 이심을 사용한다면 약간 헤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틀을 이해하면 그리 어렵지는 않은데요.
국내에서 사용하던 데이터를 비활성화하고,
새로 등록한 이심의 데이터를 활성화하면 끝입니다.
메인 데이터를 새로 등록한 심으로 사용하는 거죠.
# 일본 이심 예약 바로가기
──────
![]() |
여행을 미리 준비하는 과정은 경비를 아끼거나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도 있지만,
낯선 여행지에서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는
대처법이기도 해요.
다음에는 더 유용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 가을 일본 여행도 KKday와 함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