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D "폰보다 10배 선명한 올레도스"…LGD "세계 최고 OLED" 맞짱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서 최신 기술·최고 제품 선봬


디스플레이 양강(兩强)인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7일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력으로 맞붙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보다 최대 10배 선명한 혼합현실(XR) 기기용 초미세 올레도스(OLEDoS)를, LG디스플레이는 세계 최고의 해상도와 주사율을 갖춘 OLED 패널을 선보였다.

XR기기용 초미세 올레도스, 6000니트 마이크로 LED 공개

뉴스1

삼성디스플레이가 'K-디스플레이 2025'에서 최초 공개한 스마트워치용 커브드(curved) 마이크로 LED 제품(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는 7~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 'OLED 혁신으로 여는 미래 라이프 스타일 탐험'(Exploring Future Lifestyles with OLED Innovation)을 주제로 부스를 꾸리고 차세대 OLED 기술들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3형 1만 니트(4000PPI) 화이트(W) 올레도스 화질을 체험할 수 있는 양안 데모제품을 선보이며 '초미세 올레도스'를 전면에 내세웠다.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기물을 증착해 픽셀 크기를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구현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로 XR 헤드셋의 핵심 부품이다.


최신 스마트폰의 PPI(해상도)가 500PPI 안팎인 점을 고려하면 스마트폰보다 8~10배 선명한 화질을 경험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손목시계 크기 화면에 4K TV 3배 수준의 픽셀 수(2400만 개)를 구현한 현존 최고 해상도의 RGB 올레도스(1.4형·5000PPI), 2만 니트(4200PPI)의 1.3형 RGB 올레도스도 선보였다.


뉴스1

삼성디스플레이가 'K-디스플레이 2025'에서 선보인 1.4형 5,000PPI의 RGB 올레도스 제품(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는 차세대 스마트워치용 6000니트 밝기의 마이크로 LED도 최초 공개했다. 앞서 올해 1월 CES 2025에서 4000니트 제품을 공개한 바 있는데, 반년 만에 2000니트 밝기를 더 올렸다. 이 제품 해상도는 326PPI로, 30㎛ 크기 RGB 색상 LED 칩 70만 개가 빼곡히 전사됐다. 디스플레이를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고,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휘도와 색이 변하지 않는다.


OLED 모니터로 꾸민 게이밍룸도 이번 전시회의 볼거리다. 올 초 삼성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자발광 모니터로 500헤르츠(㎐)를 구현한 27형 QHD(2560x1440)부터 자발광 최고 픽셀밀도를 자랑하는 27형 UHD(3840x2160) 제품, 멀티태스킹에 용이한 와이드 모니터(9형 듀얼(Dual) QHD(5120x1440), 34형 WQHD(3440x1440)) 등 다양한 제품을 한눈에 둘러볼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독보적인 시장 지배력을 가진 폴더블 OLED의 신규 브랜드인 'MONTFLEX™'(몽플렉스), 세계 최초로 개발한 무(無)편광판 OCF의 기술 브랜드인 'LEAD™'(리드)도 소개했다.


아울러 바심 마그디(Basim Magdy), 마크 데니스(Marc Dennis) 등 유명 현대 미술가들의 작품을 OLED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는 'OLED 갤러리', 퀀텀닷(QD) OLED의 초고해상도 카메라로 '셀피'를 찍고 AI 이미지까지 만들 수 있는 이벤트 존도 마련했다.

4세대 OLED, 세계 가장 빠른 모니터 등 기술력 선봬

뉴스1

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K-디스플레이 2025' 전시회에서 LG디스플레이 임직원이 27인치 540Hz 게이밍 OLED를 소개하고 있다.(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034220)는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디스플레이 기술'(Shaping the Future)을 주제로 부스를 차리고 대형(TV)부터 중소형(모니터·스마트폰), 오토에 이르기까지 혁신 디스플레이 기술 및 제품을 선보인다. 특히 세계 최초·최고 디스플레이 기술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체험존을 운영, LG디스플레이 역량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도를 높였다.


먼저 LG디스플레이 부스를 방문한 참가자는 OLED TV 시제품(15인치·2009년)부터 △탠덤 OLED의 2층 구조 △2세대 OLED 패널의 중수소 원자 구조 △3세대 OLED 패널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기술 △4세대 OLED 패널의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까지 16년간의 OLED 역사를 감상할 수 있다.


부스 입구에서는 LG디스플레이가 올해 공개한 4세대 OLED 기술이 적용된 83인치 OLED 패널을 볼 수 있다. 4세대 OLED 기술은 업계 최초로 빛의 삼원색(RGB)을 모두 독립된 층으로 쌓은 '프라이머리 RGB 탠덤' 기술을 기반으로 최대 4000니트 밝기를 달성했다.


뉴스1

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K-디스플레이 2025' 전시회에서 LG디스플레이 임직원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소개하고 있다.(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OLED 모니터 패널'인 540㎐ 27인치 OLED 패널(QHD)도 이날 최초 공개했다. 다이내믹 프리퀀시 & 레졸루션(DFR)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 필요에 따라 최대 720㎐(HD)의 초고주사율을 구현한다. 또 4세대 OLED 기술을 더해 DCI-P3 색 재현율 99.5%, 최대 휘도 1,500니트 등 OLED 모니터 가운데 최고 수준의 화질까지 갖췄다.


LG디스플레이 부스에선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을 넘어 완전 자율 주행이 가능한 생활공간 콘셉트카에서 LG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 및 제품도 체험할 수 있다. SDV에 최적화된 '57인치 필러투필러(P2Pr) LCD'(액상표시장치)는 현존 최대 크기의 차량용 디스플레이로 자연스러운 곡면 화면으로 필요에 따라 정보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LG디스플레이는 업계 최초로 상용화한 탠덤 구조를 적용해 저전력으로 고휘도를 구현한 14인치 탠덤 ATO, 진보된 옥사이드 TFT와 저전력 백라이트 기술로 배터리 수명을 최대화한 14.5인치 LCD 등도 선보였다.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dongchoi89@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2025.08.07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새로운 개념의 종합 뉴스통신 뉴스1
채널명
뉴스1
소개글
새로운 개념의 종합 뉴스통신 뉴스1
    이런 분야는 어때요?
    오늘의 인기
    TOP10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