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그 견딜수 없는 아름다움...크리스 조던의 '만다라'

[컬처]by 뉴시스

변호사 접고 환경 사진가로...22일부터 성곡미술관서 한국 첫 개인전

미드웨이 섬에서 찍은 작품 등 64점 전시...영화 '알바트로스'도 상영

플라스틱, 그 견딜수 없는 아름다움.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크리스 조던이 미드웨이 섬에 8년여간 머물며 찍은 알바트로스의 참혹한 죽음을 전하는 사진. 알바트로스 뱃속에 드러난 플라스틱을 통해 환경 오염 공포와 슬픔의 메시지를 전한다.

깊은 슬픔으로 출렁이게 한다. 빨강 노랑 파랑 알록달록 플라스틱 병뚜껑은 '녹지 않는 독'이다. 세상에서 가장 긴 날개를 가진 알바트로스가 삼킨 뚜껑은, 그 새를 화석으로 만들었다.


플라스틱을 먹을수 밖에 없었을까. 아름다운 생명이 전하는 공포와 슬픔의 메시지는 참혹하기만 하다.


'정말 이럴수가 있을까?' 의심의 생각이 스칠때 그가 말했다.


"이 사진을 찍을때 조작하거나 플라스틱 뚜껑 위치를 바꾸지도 않았다. 포토샵도 안했다."


20일 서울 성곡미술관에서 만난 환경 사진작가 크리스 조던(56)은 "이 작품은 우리를 반영하는 거울"이라고 했다.


실제로 플라스틱 오염은 심각하다. 바다 쓰레기섬의 90%가 플라스틱이라고 한다. 유엔환경계획(UNEP)이 2016년 5월 펴낸 보고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와 미세 플라스틱'에 따르면, 플라스틱이 2010년에만 최소 480만t에서 최대 1270만t이 바다로 흘러들어갔다고 한다.


'바보 새'가 된 알바트로스. 8년간 북태평양 미드웨이섬을 오가며 그도 가장 힘들었던 건 인간인 우리가 아는 것을 알바트로스가 모른다는 사실이었다. "인간이 쓰고 버린 쓰레기들을 먹이인 줄 알고 새끼의 입으로 건네주고, 궁극에는 그것이 자기 새끼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다는 것을 그들 스스로는 모르고 있었다는 것이다."


2009년 전 세계인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한 이 사진은 그를 환경 사진가로 등극시켰다.

플라스틱, 그 견딜수 없는 아름다움.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20일 서울 성곡미술관에 사진전을 여는 크리스 조던이 보티첼리의 대표작 을 24만개의 비닐 봉지로 부활시킨 사진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아름다움과 사랑’을 상징하는 비너스가 흘리는 눈물을 자세히 보면 비닐봉지여서 우리시대 환경문제를 자각하게 한다.

사진 작가 이전 미국 시애틀에서 10년간 변호사로 살았다. (1991년 텍사스 대학교 로스쿨 법학 박사를 취득했다)


"안정된 변호사 생활, 그 직업을 그만두는 것은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행동이었다"고 했다. 예술가로 변신하려는 그에게 주변에서는 "실패하면 변호사로 돌아오면 되지 않느냐"고 했다. 하지만 그 말은 그를 예술가의 길로 더 밀어붙였다.


"그 안전 장치를 버리기 위해서 변호사협회에 등록증과 라이센스도 반납했다. 솔직히 '실패하면 어쩌지?'라는 두려움도 있었다. 하지만 변호사가 주는 편안함보다 마음속의 공허함이 더 컸다."


2003년 사진작가로 데뷔했다. "예술가로의 길을 선택하니까 훨씬 더 활력이, 살아있다는 것을 느낄수 있었다."


2009년 방문한 태평양 미드웨이 섬은 자석처럼 그를 끌어들였다. '플라스틱 쓰레기' 같은 섬에서 8년간 머물며 알바트로스의 출생에서부터 죽음까지를 담아 사진을 찍고 영화를 만들었다.


새를 위한 애도의 작업이었다. 가장 높이, 멀리, 오래 나는 새로 알려진 알바트로스는 바다환경의 오염으로 인간이 버린 쓰레기를 먹이로 착각하고 쓰레기를 배에 가득 채운 체 처참한 죽음을 맞이한다. 그의 다큐 영화 '알바트로스(Albatross)'는 지난해 ‘런던 세계보건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인류와 자연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찾을 것인가. 균형을 찾는 것이 내 작업의 이유다" 그는 "예술은 인간의 본질, 감정으로 이끈다"며 "예술의 역할은 인간의 치유에 있다"고 했다.


그의 작품은 '인간이 저지른 거대한 문제'를 직시하게 만드는 '자각몽'같다. 현실 같지 않은 작품이 의식을 뚜렷하게 해준다.


사진과 개념미술, 영화와 비디오아트를 통해 동시대 환경 이슈의 현장을 보여주는 크리스 조던의 한국 첫 개인전이 서울 성곡미술관에서 열린다.


'크리스 조던 : 아름다움 너머'를 타이틀로 그의 작품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사진, 영상, 영화 등 64점을 전시한다.


경고나 고발로 드러낸 이전 '환경 사진'과 달리 '그림 같은 사진'으로 서정성이 감도는게 특징이다. 보는 순간 마음을 움직이게 한다.

플라스틱, 그 견딜수 없는 아름다움.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보름달이나 지구로 보이지만 다가서 보면 온갖 신용카드를 이어 붙인 작품이다.

작품은 깊게 보게한다. 멀리서 보는 것과 가까이 보는 것의 차이가 크다. 언뜻 단순한 색감의 모노크롬 회화 같지만, 현대인의 소비 생활을 보여주는 극사실화다.


회색 작품을 들여다보면 플라스틱 컵이 촘촘이 쌓여있다. 미국의 항공기 운항에 6시간마다 사용하는 플라스틱 컵 100만개로 만든 이미지다. 검은 색감의 박힌 화면은 버려진 핸드폰으로 휘몰아친다. 편리하고 쾌적한 현대의 문명 너머에 펼쳐지는 '플라스틱의 견딜 수 없는 아름다움'이다.


작가의 영악한 상상력이 돋보인다. 유명 명화들을 패러디해 전 세계의 공통 과제인 환경과 기후문제를 숙고하게 한다. 보티첼리의 ‘비너스’는 10초 마다 전 세계에서 소비되는 비닐 봉지 24만개로 부활시켰고, 점묘화의 대표작 조르주 쇠라의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는 점대신 병뚜껑으로 만들어 대량 소비 사회의 폐단을 표현하는 식이다.


예술가로서 미덕인 장인정신도 빛난다. 한 땀 한 땀 수를 놓듯이 이미지들을 엮어서 만들어냈다. 수십만장 신용카드, 수십만개의 백열구등을 모아 현대소비 사회의 초상을 자각시킨다.


환경문제에 대해 명쾌한 메시지를 전하는 작품은 둥근 수레 바퀴처럼 이어져 반복의 반복을 거듭하는 '만다라'처럼 보여진다. 결국 인류는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떠나온 곳은 다르나 인류는 하나'임을 가시화하고 있다.


작가가 ‘슈마바’ 숲에 머물며 숲의 신령스러운 아름다움에 깊이 빠진 덕분이다. "나무들이 모여 숲을 이루고, 다시 숲은 한 그루 나무에서 시작되듯 둥글게 순환하는 생태계의 경이로운 질서를 표상하고 싶었다."


작가의 생태 윤리는 비디오 작업 ‘Mandala 432’와 ‘E Pluribus Unum’에서 더욱 고조된다. 끝없이 변이되는 프랙탈(fractal) 형상은 나의 영역에서 확장해서 주변의 생물과 그들의 서식지, 나아가 지구 전체 생태계로 뻗어가는 전 세계가 하나라는 의식을 보여준다.

플라스틱, 그 견딜수 없는 아름다움.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우주처럼 보이는 이 사진은 비효율적인 전기 사용으로 매 분마다 미국에서 낭비되는 전기의 킬로와트 수와 동일한 320,000개의 백열전구로 만든 이미지다. 백열전구들(Light Bulbs), 100x133cm, Archival Pigment Print_PLEXIGLAS. XT (UV100), 2008 ? Chris Jordan

전시를 기획한 최연하 큐레이터는 " 크리스 조던이 프랙탈 이미지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를 예속하는 자본주의를 향한 욕망에서 좀 더 다른 차원의 욕망 즉, 생태계와의 관계맺음을 새롭게 제안하려는 것이다"며 "작가가 수 천, 수 만 장의 사진이미지를 모아 단 한 장의 사진으로 펼쳐낸 것도 이미지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차원에 접속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숲이 파괴되고 동물이 멸종되고 있다"는 강력한 구호는 메아리만 친다. "모든 생명체에 대한 사랑과 감정을 느낀다면 변화시키고자 하는 동기가 생길 것"이라는 크리스 조던의 말처럼 그의 작품은 가슴을 울리는 '환경 캠페인'이다.


단순하고 명백한 메시지, ‘아름다움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 알바트로스의 아름다움과 슬픈 현실을 극적인 영상으로 포착한 그의 영화 '알바트로스Albatross'가 알려준다. 전시 개막일인 22일 오후 3시30분 크리스 조던이 사전 신청 관객과 함께하는 영화 상영회가 열린다. (영화는 전시기간 내내 볼수 있다.)


이 전시는 재단법인 숲과나눔이 주최하고. 플랫폼C, 성곡미술관이 주관한다. 입장료 3000~8000원. 5월5일까지.

플라스틱, 그 견딜수 없는 아름다움.

【서울=뉴시스】 알바트로스의 꿈(Albatross’s Dream), CF13089, Archival Pigment Print_PLEXIGLAS. XT (UV100), 56x67cm 2012, ? Chris Jordan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hyun@newsis.com

2019.02.25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정보의 그늘이 없는 세상을 만듭니다
채널명
뉴시스
소개글
정보의 그늘이 없는 세상을 만듭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