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에도 동요 없는 ‘사이코패스 눈빛’… 동공 반응으로 밝혀낸 사이코패스 특성
고통을 봐도 동요 없는 ‘사이코패스의 눈빛’. 동공 반응으로 사이코패스를 구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심장이 아니라 눈동자였다… 사이코패스를 식별하는 방법
![]() ⓒ게티이미지뱅크(사람 동공) |
사이코패스를 구별할 수 있는 단서가 바로 ‘동공 반응’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카디프대학교와 스완지대학교 심리학과 공동 연구팀은 사람의 비언어적 생리 반응, 특히 동공의 변화를 통해 사이코패스 성향을 구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범죄심리학의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일반인과 다른 사이코패스의 동공
연구에 따르면 일반인은 고통스럽거나 불쾌한 이미지를 볼 때 무의식적으로 동공이 확장되는 반응을 보인다. 이는 위협에 대한 자연스러운 생리적 반응이다.
하지만 사이코패스 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이런 자극에도 동공 반응이 거의 없었다. 연구의 주 저자인 댄 벌리 박사는 “동공은 우리가 충격을 받거나 두려움을 느낄 때 확장되는데, 사이코패스는 이러한 생리 반응이 감소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 ⓒ게티이미지뱅크(사람 동공) |
또한, 로버트 스노든 교수는 “사이코패스 범죄자들은 대담하고 냉혈한 행동을 하며,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특성은 흔히 ‘사이코패스의 눈빛(psychopathic stare)’이라 불리는데, 일반적인 사람들이 공포를 느낄 자극에도 무표정하고 냉정한 눈빛을 유지하는 특징을 의미한다.
사이코패스는 모든 감정에 무감각한 것은 아니다. 연구진은 “사이코패스는 특히 위협이나 공포 같은 감정 자극에 둔감하다”고 분석했다. 사이코패스는 감정적 결핍을 보이며, 동공 반응의 결여는 이를 입증하는 생리적 지표라는 것이다.
사이코패스
![]() ⓒ게티이미지뱅크(사이코패스) |
사이코패스는 의학적 진단명은 아니지만, 반사회적 성격장애(ASPD)와 유사한 성격 특성의 집합으로 분류된다.
ASPD가 사회 규범을 무시하고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데 초점이 있다면, 사이코패스는 공감 능력 결여와 조종 성향이 뚜렷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심리학자 데이비드 찰 박사는 “사이코패스는 외견상 매력적이고 침착해 보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교정기관이나 임상에서 사이코패스 성향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심리학계는 동공 반응이라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생리적 지표가 사이코패스 평가의 객관적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지연 기자 jk7364@newskrw.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