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추억' 엔딩…송강호가 카메라를 직시한 까닭

봉준호 감독 작품 분석한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 ③ 끝

부산국제영화제 '살인의 추억' 스페셜 토크 지상중계

30여 년 만에 특정된 화성연쇄살인사건 용의자의 자백을 받아내기까지, 한국 사회는 이 사건을 잊지 않고자 끈임없이 끄집어내고 또 끄집어내 왔다. 봉준호 감독 작품 '살인의 추억'(2003)은 우리 시대 친숙한 영화 매체를 빌려와 그러한 기억의 끈을 잇는 데 일조한 문화 콘텐츠로 꼽힌다. '살인의 추억'은 우리네로 하여금 어떻게 시대 모순을 외면하는 대신 직시하도록 도왔을까. 영화 '아사코'(2019), '해피아워'(Happy Hour·2015) 등으로 독창적인 영화 문법을 선보이며 아시아 영화계 이목을 끄는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이 이와 관련한 흥미로운 분석을 내놨다. 6일 부산 해운대구 롯데시네마 센텀시티점에서 열린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스페셜 토크 '살인의 추억' 행사에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살인의 추억'은 어떻게 화성을 잊지 않도록 했을까

봉테일 '단순화' 노림수…경계 넘어서는 '침입'

③ '살인의 추억' 엔딩…송강호가 카메라를 직시한 까닭 (현재글)

노컷뉴스

영화 '살인의 추억' 스틸컷(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하마구치 감독이 봉준호 감독 작품의 특징으로 꼽은 '높낮이 차'와 '침입'은 마지막 특징으로 지목한 '반전'과 만남으로써 뚜렷하게 균형을 이루며 완성되는 모습이다.


그는 "이 부분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작품이 '괴물'인데, 지하의 딸을 구하는 장면 같은 경우 하강운동이 상승운동으로 역전되는 반전이 일어난다"며 "'살인의 추억'에서도 상하 관계가 역전되는 장면이 나온다"고 했다.


이때 소개한 영상은 전봇대에 올라간 박노식을 형사들이 올려다보며 달래는 장면이었다.


"박노식은 영화 전반부에서 용의자로 지목돼 땅을 파기도 하는 등 계속 하강하던 존재다. 이 장면은 그것이 역전되는 순간이다. 전봇대에 올라가는 식으로 운동 방향이 시각적으로 역전되는 것은 물론, 캐릭터 자체도 용의자에서 목격자로 반전된다."


하마구치 감독은 "봉 감독 작품에서 이러한 반전, 역전은 한 번 정의 내린 경계가 무너지고 파괴되는 순간"이라며 "'살인의 추억'에서는 높낮이 차에 의한 낙하운동과 침입으로 인해 형사들이 폭력을 저지르던 존재에서 폭력을 당하는 존재가 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봉 감독은 캐릭터를 단순화 시킨다고 말했는데, 영화를 보면 알겠지만 이렇듯 단순하게 설정된 인물들은 결말에 이르러 모두 파괴된다. 김뢰하는 다리 절단술을 받고 아무도 발로 찰 수 없는 존재가 됐다. 이성적인 김상경의 경우 마지막에는 손이 부드러운 박해일을 범인으로 확신하고 사적인 복수를 하려 한다. 반면 송강호는 용의자 눈을 보면서 '모르겠다'고 한다."


그는 "이렇듯 처음 설정된 캐릭터의 정체성이 결말에 이르러 모두 무너진다. 결국 봉 감독 작품에서 처음에 세팅된 단순화는 마지막에 무너지고 흐트러지기 위해 만들어진 설정이다. 이러한 파괴를 통해 단순화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복잡한 현실을 오히려 드러내고 있다."

"왜 실패·무력감 다룬 봉준호 작품들 보면 오히려 힘이 솟을까"

노컷뉴스

영화 '살인의 추억' 스틸컷(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하마구치 감독은 "이러한 파괴는, 앞서 언급했던 봉 감독 특유의 '명료한 애매함'과도 연관이 있다고 본다"며 분석을 이어갔다.


"'살인의 추억'은 미스터리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해결이 드러나지 않는다. 결국 미스터리의 진실은 밝혀지지 않는다. 세계의 진실은 이렇듯 해명이 불가능한 게 아닐까. 우리가 사는 세계 자체가 그러하듯이 봉 감독 작품은 모두 미해결인 채로 끝난다. 사회를 구할 만한 초인적인 영웅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는 "결과적으로 이 영화에서 송강호는 '나는 모르겠다'고 형사를 그만둔다"며 "증거를 날조하고 고문까지 불사했던 악덕 형사가 해결할 수 없는, 변화시킬 수 없는 세계와 마주하게 된 까닭"이라고 했다.


이어 "이 영화는 그러한 패배감, 무력감, 이 세계의 복잡함과 마주하게 된 인물, 세계를 바꿀 수 없다는 부분을 그렸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무력감, 실패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봉 감독 작품을 보면 마지막에 힘이 솟는다. 그 이유를 생각해 봤다"며 말을 이었다.


"봉 감독 작품 속 세계의 복잡함, 폭력과 마주한 개인을 무력하다고 해석하는 것은 너무 단순화시키는 것이다. '살인의 추억' 마지막에 송강호가 카메라를 쳐다보는 시선을 생각해 주기 바란다. 송강호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 것도 없다. 다만 뭔가를 계속 직시하는 것을 멈추지 않을 뿐이다."


하마구치 감독은 "봉 감독 작품 속 인물들은 자기가 바꿀 수 없는,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부터 시선을 돌리지 않는다"며 "이때 개인은 아주 미력한 존재로 드러난다. 그토록 미력하나마 힘을 지닌 존재다. 그 힘을 어떻게 쓸 것인지, 책임에 관해 묻는다는 점에서 봉 감독 작품 속 개인은 무력하거나 무책임한 존재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봉준호 작품에서 '본다'는 행위 자체는 입구이자 결말"

노컷뉴스

영화 '살인의 추억' 포스터(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그는 "개인의 미력함, 무기력함에는 책임이 주어져 있다. 그러한 무기력함에 맞서 세계를 제대로 바라볼 필요가 있는 것"이라며 설명을 이어갔다.


"봉 감독 작품은 간단히 이해할 수 없는 세계의 애매함을 그리고 있다. 이러한 부분을 마주하도록 돕기 위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애매함을 확실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한 세계의 복잡함과 마주하기 위해 포기하지 않는 존재의 '명료한 애매함'이 그곳에 있다."


이어 "그 인물들이 어떤 식으로 반응하는지를 보는 것에 따라 관객들도 세계 자체를 마주하게 된다고 생각한다"며 "봉 감독은 이렇듯 명료한 애매함을 멋지게 구현하는 대가"라고 평했다.


"특히 기생충을 보고 났을 때 히치콕을 잇는 유일한 존재가 봉 감독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앞으로도 애매하면서도 명료한 작품을 계속 만들어갈 것이라고 확신한다. 개인적으로 정말 재밌는 영화는 그런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한 명의 팬으로서 봉 감독에게 경의를 표한다."


하마구치 감독은 "봉 감독 작품은 공동적으로 뭔가를 보는 행위,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 애쓰는 지점이 있다"며 "경계를 넘어서면서 역전, 반전을 일으키는 일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 하는 행위와 연결된다"고 강조했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는 행위를 통해 불명확했던 것이 명확해질 수 있다. 등장인물들은 최종적으로 막다른 골목에 다다른다. 어둠을 뚫고 아무리 보려 해도 결국 어둠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모든 것에 빛을 비추어 명백하게 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인물들은 어느 지점에서 멈출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다는 행위 자체는 최종적인 힘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 세계와 맞닥뜨릴 압도적인 힘인 것이다. 봉 감독 작품에서 본다는 행위 자체가 입구이자 결말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부산=CBS노컷뉴스 이진욱 기자​

2019.10.07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