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테일 '단순화' 노림수…경계 넘어서는 '침입'

[컬처]by 노컷뉴스

봉준호 감독 작품 분석한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 ②

부산국제영화제 '살인의 추억' 스페셜 토크 지상중계

30여 년 만에 특정된 화성연쇄살인사건 용의자의 자백을 받아내기까지, 한국 사회는 이 사건을 잊지 않고자 끈임없이 끄집어내고 또 끄집어내 왔다. 봉준호 감독 작품 '살인의 추억'(2003)은 우리 시대 친숙한 영화 매체를 빌려와 그러한 기억의 끈을 잇는 데 일조한 문화 콘텐츠로 꼽힌다. '살인의 추억'은 우리네로 하여금 어떻게 시대 모순을 외면하는 대신 직시하도록 도왔을까. 영화 '아사코'(2019), '해피아워'(Happy Hour·2015) 등으로 독창적인 영화 문법을 선보이며 아시아 영화계 이목을 끄는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이 이와 관련한 흥미로운 분석을 내놨다. 6일 부산 해운대구 롯데시네마 센텀시티점에서 열린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스페셜 토크 '살인의 추억' 행사에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살인의 추억'은 어떻게 화성을 잊지 않도록 했을까

② 봉테일 '단순화' 노림수…경계 넘어서는 '침입' (현재글)

'살인의 추억' 엔딩…송강호가 카메라를 직시한 까닭

노컷뉴스

영화 '살인의 추억' 스틸컷(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하마구치 감독은 봉준호 감독 작품의 두 번째 특징으로 꼽은 '침입'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봉 감독 영화 속 인물들은 경계선을 자유자재로 넘나든다. '괴물'은 수중생물이 육지로 올라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이고, '설국열차'도 꼬리칸에서부터 머리칸까지 계속 침입해 간다. 특히 미스터리 장르 '살인의 추억'에서 형사 캐릭터는 침입을 반복적으로 하는 존재다."


그는 "형사 캐릭터는 가택수사를 비롯해 어느 공간이든 폭력적으로 침입해 들어갈 수 있다"면서도 "물론 그렇다고 해서 형사가 안전지대에 있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이어 "'살인의 추억'에서 이를 두드러지게 나타낸 장면을 보자"며 극중 형사들이 박노식(백광호 역)네 고깃집에 앉아 있을 때 다락방에서 별안간 박노식이 굴러떨어지는 신을 소개했다.


"오늘 영화를 보면서 관객들이 가장 많이 웃은 장면인데, 여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다들 놀라고 있다. 그 놀라움을 소화하기 위해 웃음이 동반되는 것이다. 다들 놀란 이유를 생각해 보면, 그 장소에 어울리지 않는 존재가 갑자기 침입해 들어왔기 때문이다."


하마구치 감독은 "봉 감독 영화에서는 경계를 넘어서는 침입이 반복되는데, 그 경계선을 허물고 확장하는 부분이 많이 드러난다"며 "고깃집에서 다들 식사를 할 때 누가 침입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기에 웃음을 동반한 놀라움이라는 무의식적인 반응이 나오는 것"이라고 했다.


봉준호가 그리는 '침입'…진실 드러내는 직접적인 감각"

노컷뉴스

영화 '살인의 추억' 스틸컷(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그는 "시각적인 면과 별개로 봉 감독 영화 특징은 초반부 캐릭터를 단순화 하는 작업이 일어난다는 점"이라며 설명을 이어갔다.


"특히 '살인의 추억'에서는 형사 캐릭터를 뚜렷하게 단순화 한 뒤 등장시키는 게 눈에 띈다. 시골형사와 도시형사의 대립이 그 단적인 예다. 극중 대사에도 나오지만, 시골형사는 몸을 써서 두 발로 움직이면서 수사한다. '사건만 해결하면 된다'고 결과만 따지는, 현실에 기반한 행동이다."


이어 "반면 서울에서 온 김상경의 경우 프로파일링하는 듯한, 영어도 이해할 수 있는 인텔리 형사 같은 느낌이 있다"며 "그는 고문이나 증거날조 등을 거부하는 이상주의자 같은 면이 있다"고 부연했다.


하마구치 감독은 "이런 식의 단순한 설정 자체가 어느 정도 봉 감독 작품들을 특징 짓는데, 복잡한 세계를 단순화 함으로써 이에 반발하는 현상도 드러난다"며 "이렇게 세계를 단순화해서 정의내리는 것은 나중에 결론과 연결돼 다른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이 부분은 나중에 다시 한번 이야기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봉 감독 작품에서 시각적인 침입, 그러니까 경계를 넘어서는 일은 액체를 시각화함으로써 남다른 효과를 얻는다"며 "'기생충'의 위대한 점을 말하자면, 높낮이 차에 의한 낙하운동, 그리고 지금 말하는 침입이 액체를 통해 아주 종합적으로 극명하게 드러난다는 데 있다"고 평했다.


"액체는 중력에 의해 낙하운동을 하고 뚜렷하게 구분지어지는 공간에 침입한다. 이로 인해 안정된 사회 생활이 파괴되기 시작한다. 이것은 메타포와는 다른 차원이라고 생각한다. 뭔가의 은유가 아니라, 그런 침입의 순간을 본 관객들이 진실의 순간을 목격하도록 하는, 하나의 직접적인 감각 자체로 다가오는 것이다."


CBS 노컷뉴스 이진욱 기자

2019.10.07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