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이 있다고?"...'세균 잔뜩' 당신이 몰랐던 생활용품의 교체주기
생활용품에도 유통기한이 있다? 오래된 수세미, 고무장갑, 베개, 칫솔, 수건이 세균 번식의 원인이 될 수도!
유통기한 있는 생활용품?
![]() 이미지 = 게티이미지뱅크 |
일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 얼마에 한 번 바꾸시나요?
'낡거나 더러워지면 버리는거 아냐?'라고 생각했던 생활용품에도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세계 보건 기구(WHO)에 따르면 생활용품 중 황색 포도상 구균(식중독 균)이 두번째로 많이 발견 된 것이 수세미라고 했습니다.
또한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새 고무장갑에선 발견 할 수 없었던 세균이, 사용된 고무장갑 안쪽에서 검출됐다고 하는데요. 이처럼 무심코 사용했던 물건에서 세균이 심심찮게 발견 되는데요. 그냥 쓰면 되는 줄 알았던 일상용품의 적절한 교체 주기를 알아봅시다.
매일 쓰는 생활용품의 적절한 교체주기
![]() 이미지 = 게티이미지뱅크 |
수세미는 주방에서 가장 물기가 많은 물건 중 하나입니다. 습한 환경 때문에 박테리아와 곰팡이가 생기기 쉬우며, 설거지 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와 기름때가 스며들어 세균이 쉽게 번식합니다. 때문에 수세미는 적어도 1달에 한 번은 교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오래된 수세미는 오히려 오염물을 퍼뜨릴 수 있으며 세척력도 떨어집니다. 평소엔 뜨거운 물로 소독해주거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살균 작업을 해주면 좋습니다. 또한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사용 후 통풍이 잘되는 곳에 완전히 건조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무장갑 역시 주방에서 자주 사용 되는 소모품입니다. 물과 접촉이 많고, 고무 장갑 안쪽은 손과 접촉이 많아 세균이 번식하기 쉽습니다. 특히 고무장갑 안쪽에 땀과 습기가 차게 되면 식중독 균 같은 세균이 번식 할 수 있는 환경이 됩니다.
고무장갑을 사용 한 후에는 안쪽까지 완전히 건조해주는 것이 좋고 갈라지거나 구멍이 생겼다면 바로 교체해야 합니다. 멀쩡해 보여도 1~2개월에 한 번은 교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매일 밤 사용하는 베개는 1~2년에 한 번 교체 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수면 중 배출되는 각종 땀, 피지, 각질등이 흡수되어 세균이 번식하게 됩니다. 또한 머리와 목을 바쳐주는 것이 중요한 베개는 시간이 지나면서 형태가 무너지게되고, 목을 올바르게 지지하지 못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됩니다. 솜·메모리폼 베개는 정기적으로 햇빛에 말려 소독하고 베개 커버는 매주 세척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미지 = 게티이미지뱅크 |
화장실에 있는 생활 용품도 마찬가지 입니다. 화장실은 습도가 높은 공간으로 항상 세균 번식에 유의해야하는 곳인데요. 거기다 위생과 관련된 제품이 많아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샤워볼 같은 경우, 젖어 있는 상태일 때가 많고 피부의 노폐물과 비누 찌꺼기가 남기 쉬워 1~2달에 한 번은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칫솔 역시 마찬가지로 물기에 젖어 있어 세균 번식이 쉬운 곳인데요. 음식물 찌꺼기가 끼기 쉬우며, 마모된 칫솔모는 오히려 치아를 깨끗하게 닦지 못하고 잇몸을 손상시키기 쉽습니다. 늦어도 3개월이 지나면 교체해야 하며 칫솔 모가 벌어졌다면 즉시 바꿔줘야 합니다.
몸과 직접 닿는 수건도 마찬가지 입니다. 오래된 수건은 물기를 제대로 흡수 하지 못하며, 각종 노폐물이 쌓여 박테리아가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 연구에 따르면 가정에서 사용하는 수건을 조사한 결과 33%에서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곰팡이가 발견 되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수건은 1~2년에 한 번은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위생적으로 좋습니다. 또한 수건을 세탁 할 땐 섬유유연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민경 기자 mk0823@pickdaily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