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을 산지 2달이 지났다. 디자인은 여전히 이쁘고, 카메라는 여전히 좋다. 심지어 LG의 고질병인 발열도 상당 부분 잡았다. 모든 것이 만족스러웠다. 방탄소년단의 광고가 너무 길어서 지겨운 것을 제외하면 이번 G7은 상당히 잘 만든 기기다.
그러던 어느 날, ㅍㅍㅅㅅ에 글을 발행하기 위해 갤러리 어딘가 저장해둔 짤을 찾으려던 순간 나는 그만 깜짝 놀라고 말았다.
![]() 아주 지멋대로 태그를 걸어놨다 |
이번에 LG에서는 ‘ThinQ’라는 것을 선보였다. 이것은 ‘사람이 중심인 AI’로, 맞춤형 진화를 통해 사용자의 습관과 환경에 따라 ‘스스로 진화’한다는 것이다.
안드로이드의 습격을 받은 존 코너의 심정이, 알파고에게 패배한 이세돌의 마음이 이랬을까. 떨리는 손을 가까스로 진정하고 ThinQ가 사진에 달아준 태그를 천천히 살펴보기 시작했다.
ThinQ가 ㅍㅍㅅㅅ 짤방 폴더에 저지른 일
1. 어쩐지 아이돌 팬들이 좋아하더라
ThinQ는 진정한 미학이 무엇인지 안다. 무슨 말이냐고? 아름다운 아이들의 사진을, ThinQ는 이렇게 인식했다.
![]() |
어쩐지, 아이돌 커뮤니티에서 “G7이 우리 뫄뫄를 조각으로 인식했다”는 말이 자주 보이더라. 매일 같이 난무하는 주작 중 하나일 줄 알았는데, 엄연한 사실인 것으로 밝혀졌다. 인공지능이 인정한 조각, 방탄소년단 지민을 찬양하라.
![]() 인간이 만든 자본 논리에 인공지능이 굴복한 것이 아니라고 믿는다 |
2. 역시 신세기 인공지능, 편견이 없다
극단적으로 치닫는 집단 간 갈등, 넘쳐나는 혐오표현의 시대에서 ThinQ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알려준다. 바로 편견 없이 세상의 사랑과 수많은 관계를 끌어안는 것이다. 길게 말할 것도 없이 짤로 바로 확인하자.
![]() |
인간의 상식을 넘어 깔끔하게 커플로 분류하는 ThinQ의 모습이다. 성별은 애초에 문제 축에도 들지 않는다. 외계인도 기계도 인공지능의 편견 없는 시선 앞에서는 모두 사랑으로 묶일 수 있다.
물론 커플임을 인정할 뿐 그들을 응원한다고 한 적은 없다. 커플들에게 전하는 ThinQ의 마지막 메시지를 들어보자.
![]() 맞아! 커플은 다 사기꾼이야! |
3. 사회적 맥락을 완벽하게 파악한다
긴말이 필요 없다. 아래의 짤을 보자.
![]() |
박근혜 탄핵 심판의 스타 이정미 권한대행의 가장 화제 되는 포인트를 콕 집어 분류하는 인공지능의 날카로움을 보라! 이쯤 되면 단순한 분류가 아니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신인류가 출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인문학적 고민이 몰아닥친다…
![]() ThinQ에게 물어봤다면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가장 덥다고 말했을 것이다… |
4. 의외로 정확하다
물론 이렇게 장난만 치는 것은 아니다. ThinQ는 사진을 의외로 정확하게 해석해낸다.
![]() |
‘건물’과 ‘건축물’ 태그가 따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혹시 틀렸을까 봐 플랜 B까지 준비하는 섬세함에 반할 지경이다. 아래의 사진들도 마찬가지다. 비교적 사진 내 정확한 포인트를 감지하여 분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거의 모든 사진이 정확하게 분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
왜 모두 한 번씩 그런 상황이 있지 않은가. 적절한 상황에 빠르게 짤을 쓰고 싶은데 도저히 적절한 게 안 찾아져서 절호의 타이밍을 날려버린 안타까운 순간… 그런 상황을 방지하는 데 ThinQ가 선보이는 태그 기능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inQ의 영특함은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다
LG전자는 2003년부터 시작한 로봇청소기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 자율주행, 사물인터넷 등 차세대 기술을 꾸준히 확보해 왔다. 사업적으로도 LG전자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생활가전과 로봇에 집중하고 있으며, LG유플러스가 사물인터넷 종합 솔루션에, LG CNS가 스마트팩토리 사업에 큰 공을 기울이고 있다.
이렇게 똑똑한 ThinQ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올레드 TV, 냉장고, 세탁기 등 LG의 주력제품에 인탑재될 계획이다. 특히 LG 올레드 TV와 같은 경우 자연어 음성인식 기능을 적용, 말 한마디로 화면모드 변경, 채널 변경, 볼륨 조절 등 다양한 TV 기능을 손쉽게 제어한다고 한다.
![]() ThinQ 님과 함께라면 이 더위도 이길 수 있다! |
단순한 AI의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사회·문화·역사적 맥락을 파악해서 해석하는 AI가 필요한 때다. 왜, 알파고도 모든 대국의 수를 복기하며 인간이 생각해내지 못한 ‘신의 한 수’를 발견해냈다지 않은가.
ThinQ는 시작일 뿐이다. 이제 인간이 설 자리는 점점 없어질 것이다. 그러니까 이제 기계가 잘 작동되지 않는다고 탕탕 두드리는 야만적인 문화를 지양하도록 하자. 그것만이 언젠가 닥쳐올 피의 숙청에서 살아남는 유일한 방법일지어다…
![]() (…) |
필자 SCV
ㅍㅍㅅㅅ의 말 없는 일꾼. 지옥에서 온 건설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