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로 가장 비만한 연령은? "남성 30대 후반, 여성 70대 초반"

[라이프]by 파이낸셜뉴스
파이낸셜뉴스

비만이 발생하는 나이가 남성과 여성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남성의 경우 35~39세에 최고를 찍고 서서히 감소하고 여성의 경우 고령화되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해 70~74세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비만학회는 8일 국민건강보험서비스 표본코호트 자료를 이용해 2018~2019년 국가일반건강검진을 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을 조사했다.


학회는 전반적으로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증가하는 추세지만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다른 추이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성인의 비만은 체질량지수 25kg/㎡ 이상으로 정의하며 이는 1단계 비만에 해당한다. 남성의 경우 20대부터 연령 증가에 따라 비만 유병률도 증가 추이를 보이다가 35~39세에서 53.4%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비만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비만 유병률을 보였다. 이후에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했다.


반면 여성의 경우 20~30대에서는 20% 전후의 낮은 비만 유병률을 보이다가 40대 이후 서서히 증가하다가 70~74세에서 44.6%로 가장 높은 비만 유병률을 보였다.


성인의 경우 체질량지수 30kg/㎡ 이상은 2단계 이상 비만으로, 체질량지수 18.5 kg/㎡ 미만이면 저체중으로 정의한다.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도 1단계 비만 유병률과 유사하게 남성은 30~34세에서 12.5%로 여성은 70~74세에서 6.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저체중의 경우엔 남성에서는 80세 이상의 높은 연령(5.5%)에서, 여성에서는 20~24세의 낮은 연령(13.4%)에서 가장 비율이 높았다.


만성질환의 유병률도 전반적으로 연령의 증가에 따라 함께 상승했다. 특히 비만인 경우 2형 당뇨병,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지방간질환의 유병률이 각각 모두 뚜렷하게 높았다.


2형 당뇨병과 고혈압 유병률은 비만군의 경우 비비만군에 비해 각각 평균 1.9배 높았으며 모두 50~54세 연령에서 만성질환의 유병률 차이가 최대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도 비만이 아닌 사람에 비해 비만인 경우 1.4~1.5배 높았으며 남자와 여자 모두 52세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 차이를 보였다.


지방간질환의 경우 질환의 유병률이 비만군과 비비만군 사이에 가장 큰 차이를 보였는데, 비만 남자에서는 2.8배, 비만 여자에서는 8.4배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남자는 28세에서 비만군의 유병률 (77.6%)와 비비만군의 유병률 (13.8%) 차이가 최대 63.8%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는 80세 이상에서 비만군의 유병률(67.7%)과 비비만군의 유병률(11.1%)의 차이가 56.6%로 가장 컸다.


비만은 국내 성인 약 1700만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만성질환으로, 2형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지방간, 심혈관계 질환 등 200여 종의 합병증 위험을 증가시킨다. 주요 건강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음주, 흡연보다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비만은 개인의 의지 및 생활 습관 중재만으로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박철영 대한비만학회 이사장은 "비만 치료를 효과적으로 하려면 비만 치료제의 적절한 사용과 함께 식이요법, 운동을 꾸준히 병행해야 한다"면서 "최근 새로운 기전의 항비만 치료제들이 개발되고 있는 만큼 비만 치료의 급여 확대를 통해 체중 관리의 한계에 직면한 비만 환자들이 약물 치료 등 다양한 의학적 개입을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pompom@fnnews.com 

2024.08.08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First-Class 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
채널명
파이낸셜뉴스
소개글
First-Class 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
    이런 분야는 어때요?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