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4대에 걸쳐 지켜낸 100년 냉면의 비결을 듣다
개업 100주년 부산 내호냉면 풀 스토리
1919년 흥남 ‘동춘면옥’서 1대 시작
일가족 피란 내려와 부산에서 이어와
59년 밀가루 구호품으로 밀면 첫 개발
문재인 대통령, 곽경택 영화감독 단골
여름엔 하루 1000그릇 훨씬 넘게 팔려
4대 대표 “서울에서 직영점 내고 싶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허약한 풍토에도 ‘백 년 명가’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는 식당이 있다. 한 가족 4대가 음식 하나만으로 100년을 맞이한 집. 1919년 개업한 ‘내호냉면’이다. 부산시 우암동 늙고 낡은 시장 골목이 내호냉면의 자리다. 허름한 이 냉면 집에 고달팠던 우리네 100년도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내호냉면 3대 대표 이춘복(69)씨의 남편 유상모(70)씨가 오래전 떠난 고향 얘기를 어제 일처럼 말했다. 다행이었다. 내호냉면은 언론에 많이 나온 집이다. 그러나 보도마다 내용이 다르다. 『식객』을 비롯한 책도 마찬가지다. 개업 연도는 물론이고 4대째 내려온 대표들 이름과 관계도 제각각이다. 개업 100주년을 맞아 공식기록을 작성하고 싶었다. 이제는 물러난 3대 내외를 어렵게 불러낸 까닭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씨의 기억도 따져보면 사실과 다르다. 세 살 때 피란 왔다고 했으니 1951년이어야 맞다. 그러나 LST를 투입한 미군의 피란민 수송 작전은 1950년 12월 마무리됐다. 거제도에 들어간 LST도 12월 25일이 마지막이었다.
유씨 가족이 뿌리를 내린 우암동은 ‘소막마을’이라고도 불린다.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팔려가는 소가 우암동 막사에 일단 모였다. 전쟁이 터지자 우사(牛舍)에 피란민이 들어가 살았다. 그 흔적이 여태 남아 있다. 소막마을은 지난해 5월 등록문화재로 지정됐고 ‘피란수도 유적지’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예비 잠정목록에 선정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내가 살아 있는 한 이사는 절대 못 가. 어머니 유언이야. 골목도 우리 땅이야. 어머니가 길을 막지 말라고 하셨어. 솥도 원래 자리에서 움직이지 말라고 하셨고. 그래서 골목을 못 막고 옆집 앞집을 하나씩 샀어. 나도 여기 위층에 살아. 여태 9번을 고쳤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옛날 우암동에 불쌍한 사람들이 많이 살았거든. 거지도 많았어. 옆 동항성당에서 불쌍한 사람들한테 밥을 줬어. 어느 날 신부님이 배급 나온 밀가루로 ‘삯국수’를 해달라고 한 거야. 삯국수 알아? 이북에선 많이 해 먹었어. 집에서 감자 전분을 갖고 식당에 와. 그러면 식당에서 반죽하고 기계로 눌러 면을 만들어 줘. 국수 만들어주는 삯만 받아서 삯국수야. 성당에서 준 밀가루로는 면이 잘 안 나왔어. 어머니가 고생이 심했어. 실패하면 우리 식구가 다 먹었지. 한참 만에 밀가루와 고구마 전분을 7대 3 비율로 면을 만들어냈어. ‘밀냉면’이라고 지었는데 언제부턴가 다들 밀면이라고 하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물론 지금은 아니다. 밀면이 유명해진 뒤로 내호냉면의 대표 메뉴는 냉면에서 밀면으로 바뀌었다. 여름에는 하루 1000그릇 이상 냉면과 밀면이 팔리는데, 단골 아니면 밀면을 찾는 손님이 더 많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버지는 사실 겉돌았어요. 그래서 할머니가 어머니한테 물려주신 거예요. 저는 당연히 제 일이라고 생각했어요. 할머니가 ‘네가 해야 한다’고 수없이 말했거든요. 바꾸고 싶은 건 없어요. 내호냉면도 계속 여기에 있을 거예요. 다만 서울에 직영점은 내고 싶어요.”
끝으로 비결을 물었다. 할머니와 어머니가 꼭 지켜야 한다고 했던 귀띔 같은. 한참을 고민하던 그가 고개를 저었다.
“아무리 생각해도 없어요. 가르쳐 준 대로, 하라는 대로만 했어요. 어머니도 할머니한테 그렇게 배웠고, 할머니도 증조외할머니한테 그렇게 배웠어요. 저는 그냥 우리 가족의 것을 지키고 싶어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해 겨울 흥남 사람 모두가 LST를 탈 수 있었던 건 아니다. 표가 모자랐다. 유복연씨의 장인, 그러니까 1대 이영순 여사의 남편이 제 표를 맏사위에게 줬다. 그 표가 운명을 바꿨다. 그날 이후 이영순 여사는 고향에 혼자 남은 남편이 사무쳤고, 홀로 고향을 떠난 유복연씨는 평생 제 가족을 그리워했다. 고향 이름 내건 냉면 집이 100년을 하루같이 고향 음식을 내는 비결을 알 것도 같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내호냉면의 밀면은 냉면에 가깝다. 냉면과 같은 육수를 쓰기 때문이다. 소고기 사골에 쇠심줄·사태 등을 넣고 육수를 낸다. 센 불로 빨리 끓이고 한 번 끓으면 바로 끈다. 오래 끓으면 육수가 텁텁해져서다. 고명도 냉면과 똑같다. 가오리를 쓰는데, 생가오리를 숙성한 뒤 양념을 넣고 다시 숙성한다. 밀면과 냉면이 다른 건 면 성분뿐이다. 냉면은 고구마 전분만으로 면을 뽑고, 밀면은 밀가루와 고구마 전분 비율이 7대 3이다. 그래서 냉면이 밀면보다 비싸다. 비빔냉면 1만원(대), 물밀면 7000원(대).
부산의 다른 밀면집은 내호냉면보다 맛이 강하다. 맵고 시고 달다. 부산 사람이 기억하는 밀면도 맵고 시고 단 여름 별미다. 내호냉면과 면도 다르고, 육수도 다르다. 내호냉면보다 고구마 전분 비율이 낮다. 밀가루만 쓰는 집도 많다. 돼지고기로 육수를 내거나, 육수에 한약재를 넣는 집도 있다.
부산=손민호 기자 ploveson@joongang.co.kr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